$\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 차이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Sex Differences in Episodic Memory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9 no.4, 2020년, pp.95 - 106  

이지영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료과학과) ,  박진혁 (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의 차이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성별에 따른 인지 중재 및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2019년 사이의 문헌을 Cochrane, Google Scholar, KISS, PubMed, PsycINFO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하였다. 검색 키워드로는 'Sex differences' or 'Gender differences' and 'Episodic memory' or 'Autobiographical memory'를 사용하였다. 8편의 연구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여 연구의 질적 수준, 연구 대상자, 일화기억 평가 방법, 주요 측정변수, 수행 결과 분석하였다. 결과 : 총 8편의 연구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수준 II에 해당하는 연구 5편(62.5%), 수준 III에 해당하는 연구는 3편(37.5%)으로 전반적인 질적 수준은 높았다. 분석 결과, 주로 성인과 노인이 연구 대상자에 포함되어 있었다. 일화기억 평가 방법은 인지과제 또는 표준화된 검사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되었으며, 시각 또는 청각 자극을 제시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자유회상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그 수행을 측정하였다.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고 특히 청각적 일화기억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시각적 일화기억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결론 :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를 실시하여 일화기억을 평가하고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수준의 일화기억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임상에서 성별의 차이를 고려한 인지적 중재를 시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생태학적인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일화기억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sex differences in episodic memory. Methods : We searched previous studies published in all electronic databases between 2010 and 2019. The key terms used in the search were 'sex differences' or 'gender differences' and 'episodic mem...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다면, 성별의 차이를 고려한 교육 및 노화에 따른 기억력 저하를 중재하기 위한 훈련에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과 자극의 종류 등의 다양한 조건 내에서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이를 임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의 차이에 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국내 작업치료사들에게 성별에 일화기억의 차이를 고려한 인지평가 및 인지훈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총 8편의 연구의 질적 수준, 대상자 특성, 일화기억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주요 측정변수, 수행결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총 8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의 대상자, 일화기억 평가 방법, 주요 측정변수,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12), 18-22. 

  2. Bellassen, V., Igloi, K., de Souza, L. C., Dubois, B., & Rondi-Reig, L. (2012). Temporal order memory assessed during spatiotemporal navigation as a behavioral cognitive marker for differential Alzheimer's disease diagnosis. Journal of Neuroscience, 32(6), 1942-1952. doi:10.1523/JNEUROSCI.4556-11.2012 

  3. Brinton, R. D. (2009). Estrogen-induced plasticity from cells to circuits: Predictions for cognitive function.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30(4), 212-222. doi:10.1016/j.tips.2008.12.006 

  4. Buckner, R. L., Logan, J., Donaldson, D. I., & Wheeler, M. E. (2000). Cognitive neuroscience of episodic memory encoding. Acta Psychologica, 105(2-3), 127-139. doi:10.1016/s0001-6918(00)00057-3 

  5. Davies, G., & Robertson, N. (1993). Recognition memory for automobiles: A developmental study. Bulletin of the Psychonomic Society, 31(2), 103-106. 

  6. Eichenbaum, H. (2017). Prefrontal-hippocampal interactions in episodic memory.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8(9), 547-558. doi:10.1038/nrn.2017.74 

  7. Farias, S. T., Harrell, E., Neumann, C., & Houtz, A.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and daily functioning in individuals with Alzheimer's disease: Ecological validity of neuropsychological tests.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18(6), 655-672. doi:10.1016/S0887-6177(02)00159-2 

  8. Feuntes, A., & Desrocher, M. (2013). The effects of gender on the retrieval of episodic and semantic components of autobiographical memory. Memory, 21(6), 619-632. doi:10.1080//09658211.2012.744423 

  9. Herlitz, A., & Rehnman, J. (2008). Sex differences in episodic memor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7(1), 52-56. doi:10.1111/j.1467-8721.2008.00547.x 

  10. Hoffman, M. L., Beran, M. J., & Washburn, D. A. (2009). Memory for "what", "where", and "when" information in rhesus monkeys (Macaca mulatta).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Animal Behavior Processes, 35(2), 143-152. doi:10.1037/a0013295 

  11. Jacobs, E. G., Weiss, B. K., Makris, N., Whitfield-Gabrieli, S., Buka, S. L., Klibanski, A., ... Goldstein, J. M. (2016). Impact of sex and menopausal status on episodic memory circuitry in early midlife. Journal of Neuroscience, 36(39), 10163-10173. doi:10.1523/JNEUROSCI.0951-16.2016 

  12. Jacques, P. L., Conway, M. A., & Cabeza, R. (2011). Gender differences in autobiographical memory for everyday events: Retrieval elicited by SenseCam images versus verbal cues. Memory, 19 (7), 723-732. doi:10.1080/09658211.2010.516266 

  13. Kessels, R. P., Hobbel, D., & Postma, A. (2007). Aging, context memory and binding: A comparison of "what, where, and when" in younger and older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117(6), 795-810. doi:10.1080/00207450600910218 

  14. Lei, X., Hu, Y., McArdle, J. H., Smith, J. P., & Zhao, Y. (2012). Gender differences in cognition among older adults in China. Journal of Human Resources, 47(4), 951-971. doi:10.2139/ssrn,1969030 

  15. Liu, F., Day, M., Muniz, L. C., Bitran, D., Arias, R., Revilla-Sanchez, R., ... Sung, A. (2008). Activation of estrogen receptor-β regulates hippocampal synaptic plasticity and improves memory. Nature Neuroscience, 11(3), 334-343. doi:10.1038/nn2057 

  16. McCarrey, A. C., An, Y., Kitner-Triolo, M. H., Ferrucci, L., & Resnick, S. M. (2016). Sex differences in cognitive trajectories in clinically normal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31(2), 166-175. doi:10.1037/pag0000070 

  17. McEwen, B. S., Alves, S. E., Bulloch, K., & Weiland, N. G. (1997). Ovarian steroids and the brain: Implications for cognition and aging. Neurology, 48(5), 8-15. doi:10.1212/WNL.48.5_Suppl_7.8S 

  18. McKelvie, S. J., Standing, L., Jean, D. S., & Law, J. (1993). Gender differences in recognition memory for faces and cars: Evidence for the interest hypothesis. Bulletin of the Psychonomic Society, 31(5), 447-448. 

  19. Pansky, A., Oren, Y., Yaniv, H., Landa, O., Gotlieb, A., & Hemed, E. (2019).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gender expertise on episodic memory. Memory & Cognition, 47(2), 257-265. doi:10.3758/s13421-018-0863-z 

  20. Park, J. H., & Heo, S. Y. (2018). The preliminary study on effects of episodic memory training on memory and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7(2), 5-25. 

  21. Park, J. H., & Park, J. H. (2016). A systematic review on computerized cognitive function test for screeningg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2), 19-31. doi:10.14519/jksot.2016.24.2.02 

  22. Pauls, F., Peterman, F., & Lepach, A. C. (2013). Gender differences in episoidc memory and visual working memory including the effects of age. Memory, 21(7), 857-874. doi:10.1080/09658211.2013.765892 

  23. Petersen, R. C., Smith, G. E., Waring, S. C., Ivnik, R. J., Tangalos, E. G., & Kokmen, E. (1999). Mild cognitive impairment: Clinical characterization and outcome. Archives of Neurology, 56(3), 303-308. doi:10.1001/archneur.56.3.303 

  24. Pflueger, M. O., Stieglitz, R. D., Lemoine, P., & Leyhe, T. (2018). Ecologically relevant episodic memory assessment indicates an attenuated age-related memory loss - A virtual reality study. Neuropsychology, 32(6), 680-689. doi:10.1037/neu0000454 

  25. Pillemer, D., Wink, P., DiDonato, T., & Sanborn, R. (2003). Gender differences in autobiographical memory styles of older adults. Memory, 11(6), 525-532. doi:10.1080/09658210244000117 

  26. Plancher, G., Gyselinck, V., Nicolas, S., & Piolino, P. (2010). Age effect on components of episodic memory and feature binding: A virtual reality study. Neuropsychology, 24(3), 379-390. doi:10.1037/a0018680 

  27. Plancher, G., Tirad, A., Gyselinck, V., Nicolas, & Piolino, P. (2012). Using virtual reality to characterize episodic memory profiles in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Influence of active and passive encoding. Neuropsychologia, 50(5), 592-602. doi:10.1016/j.neuropsychologia.2011.12.013 

  28. Rentz, D, M., Weiss, B. K., Jacobs, E. G., Cherkerzian, S., Klibanski, A., Remington, A., ... Goldstein, J. M. (2016). Sex differences in episodic memory in early midlife: Impact of reproductive aging. The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24(4), 400-408. doi:10.1097/ GME.0000000000000771 

  29. Sauze, H., N'Kaoua, B., Pala, P. A., Taillade, M., & Guitton, P. (2016). Age and active navigation effects on episodic memory: A virtual reality study.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107(1), 72-94. doi:10.1111/bjop.12123 

  30. Scarf, D., Boden, H., Labuschagne, L. G., Gross, J., & Hayne, H. (2017). "What" and "where" was" when?" memory for the temporal order of episodic events in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biology, 59(8), 1039-1045. doi:10.1002/dev.21553 

  31. Tulving, E. (1993). What is episodic memor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3), 67-70. 

  32. Weber, D., Skirbekk, V., Freund, I., & Herlitz, A. (2014). The changing face of cognitive gender differences in Europ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1(32), 11673-11678. doi:10.1073/pnas.1319538111 

  33. Yonker, J. E., Eriksson, E., Nilsson, L. G., & Herlitz, A. (2003). Sex differences in episodic memory: Minimal influence of estradiol. Brain and Cognition, 52(2), 231-238. doi:10.1016/S0278-2626(03)00074-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