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과학 수업에서 절차적 사고과정을 활용한 학습 전략이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Using the Process of Procedural Thinking on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3 no.3, 2019년, pp.329 - 341  

김현석 (김포신곡초등학교) ,  최선영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수업에서 절차적 사고 과정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컴퓨팅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교수 전략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절차적 사고 과정을 이용한 수업 전략이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김포시에 있는 S 초등학교의 실험반(29 명)과 비교반(29 명)의 6학년 학생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 수업에서 절차적 사고과정의 수업전략을 활용한 실험반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은 비교반 학생들에 비해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실험반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있어서도 비교반 학생보다 높게 향상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 < .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using the process of procedural thinking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on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For this purpose, instructional strategies using the process of proce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사와 학생들은 함께 문제해결절차를 실행한 결과가 문제해결에 도달했는지 확인한다. 실행한 문제해결절차가 적절한지 토론하여 보고 필요한 경우 수정하여 다시 실행하여 볼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 교육에서 탐구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절차적 사고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 이를 적용한 후 학생들의 컴퓨팅적 사고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절차적 사고과정 수업전략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개발하여 적용 한 후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절차적 사고과정 수업전략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개발하여 적용 한 후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초등과학 수업에서 절차적 사고과정의 수업전략을 활용한 실험반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은 비교반 학생들에 비해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이 연구에서는 절차적 사고가 수업의 목적이 컴퓨팅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 학습이 아니라 과학수업의 학습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한데서 그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절차적 사고력의 향상만으로는 종합적인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어려웠다. 그러나 과학교과에서 활용한 다양한 문제해결상황과 실험 설계 및 수행과정에 절차적 사고 활동 요소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실험반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있어서도 비교반 학생보다 높게 향상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절차적 사고과정 수업전략은 전체적으로 주어진 문제를 분해하고 문제해결절차를 스스로 계획, 실행 및 점검하는 등 문제해결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이 진행되기 때문에 창의적 문제해결력 전반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요소는 무엇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 (2016) 등의 정의를 종합하면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으로 문제를 찾아 정의하고, 컴퓨터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지 판단한 후,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하도록 절차를 만드는 것을 의미하고 아울러 컴퓨터가 처리하는 방식대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 요소는 크게 문제 해결을 위한 준비 단계, 해결 단계, 적용 단계 등의 3단계로 세부 단계로는 문제 정의, 자료 분석, 추상화, 자동화, 일반화의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Hwang, 2018). 이때 컴퓨팅 사고력의 핵심인 추상화 단계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일련의 단계를 알고리즘으로 표현하는 것에 바로 절차적 사고가 요구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절차적 사고의 향상을 위해 순서도를 활용한 알고리즘 표현 활동이 요구된다(Hwang, 2018).
컴퓨팅 사고력이란? 컴퓨팅 사고력에 대하여 Wing(2008), Csizmadia et al. (2016) 등의 정의를 종합하면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으로 문제를 찾아 정의하고, 컴퓨터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지 판단한 후,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하도록 절차를 만드는 것을 의미하고 아울러 컴퓨터가 처리하는 방식대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 요소는 크게 문제 해결을 위한 준비 단계, 해결 단계, 적용 단계 등의 3단계로 세부 단계로는 문제 정의, 자료 분석, 추상화, 자동화, 일반화의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Hwang,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i, S. Y., & Kim, J. (2011). The effects on students' leaning types through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teaching model in elementary science clas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615-623. 

  2. Choi, S. Y., & Kang, H. K. (2006).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for the selection of gifted scienc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1), 27-38. 

  3. Gott, R., & Duggan, S. (1995). Investigative work in the science curriculum. Buckingham, UK: Open University Press. 

  4. Hur, K. (2018). An educational application of an IoT device development task for visualiza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processes. The Journal of Education, 38(3), 255-267. 

  5. Hwang, A. R. (2018). Teaching & learning method and application of flow chart for procedural think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6. Jones, A. T., Simon, S. A., Black, P. J., Fairbrother, R. W., & Watson, J. R. (1992). Open work in science: Development of investigations in schools. Hatfield, AL: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7. Jung, U., & Lee, Y. (2017). The applicability and related issues of Bebras Challenge in informatics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5), 1-14. 

  8. Kang, E. H. (2019). Effects of software education using app inventory on computing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bat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9. Kim, J.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PL and physical computing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for computational think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10. Kim, Y., & Kim, J.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of App inventor utilization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girls'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9(4), 385-398. 

  11. Kwon, J., & Kim, J. (201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W programming education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Journal of the Society of E-learning, 3(1), 1-9. 

  12. Kwon, Y.-J., Jeong, J.-S., Park, Y.-B., & Kang, M.-J. (2003).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generating process of declarative scientific knowledge-focused on inductive, abductive, and deductive proces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3), 215-228. 

  13. Lee, E. (2009). A robot programm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4. Lee, S., & Kwon, N. (2018). The effects of elementary science class using SW on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The Journal of Education, 38(2), 289-304. 

  15.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a). General guideline draft for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Sejong, Korea: Author. 

  16.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b). 2015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Sejong, Korea: Author. 

  17.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c). 2015 Software education operating guide. Sejong, Korea: Author. 

  18.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d). 2015 6th grade elementary science teacher' guide. Sejong, Korea: Author. 

  19. Moon G. S. (2013). On learning algorithms for introducing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4(1), 295-300. 

  20. Moursund, D. G. (2006). Computational thinking and math maturity: improving math education in K-8 School. Eugene, OR: University of Oregon Press. 

  21. Park, H. (2018). The effects of project-based robot programming education on interests in robots and computational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22. Park, J. (2012).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and infant pla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3. Park, Y. J.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conceptual algorithms to algorithm interest and algorithmic thinking development with graph color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aegu, Korea. 

  24. Csizmadia, A., Curzon, P., Dorling, M., Humphreys, S., Ng, T., Selby, C., & Woollard, J. (2015). Computational thinking; A guide for teacher. Retrieved from http://computingatschool.org.uk/computationalthinking 

  25. Roychoudhury, A., & Roth, W. M. (1996). Interaction in an open-inquiry physics laborato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4), 423-445. 

  26. Wing, J. M. (2008).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366(1881), 3717-37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