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농촌 공간계획의 특징에 관한 연구 - 김일성 시기 도농연계이론을 바탕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ural Planning in North Korea - Focused on the Urban-Rural Integration Strategy in Kim Il-Sung Era - 원문보기

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21 no.4, 2019년, pp.9 - 16  

김민아 (국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ural spatial structure and to establish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based on urban-rural connections strategy of North Korea. For this purpose, they were collected such as documents and drawings including primary data related to rural planning in North Korea,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해 북한의 도시는 산업 공장을 포함한 지역으로 ‘일부 군을 포함한 시’뿐 아니라 ‘군 내 읍 지역’이 해당되며, 북한의 농촌은 계획이론상 군 단위를 기준으로 읍과 리(협동농장)를 연계한 도농복합형의 공간구조를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군-읍-리(협동농장)-작업반-분조로 내려오는 하향식 의사결정체계가 북한 농촌 공간구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 사실도 확인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촌 연계 이론을 바탕으로 북한 농촌의 공간구조를 파악하고 이것의 특징을 도출했다. 이를 위해 먼저 체제구축기 당시 신설된 행정단위이자 경제단위인 ‘군(郡)’의 성격을 파악하고, 농촌 속의 도심지라고 할 수 있는 ‘읍’의 계획 방식을 살펴보며, 농촌 집단화를 위해 설계된 ‘농촌부락’ 계획의 내용 및 이들과 읍의 연계 방식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김일성 시기 도시-농촌 연계 이론을 바탕으로 계획된 북한 농촌의 공간 구조를 파악하고 계획상 주요 특징을 규명한다. 북한은 현재까지 농가인구 비중이 40% 가까이 육박하고,1) 국내 총생산에서 농업의 비중이 25%를 차지할 정도로2) 여전히 농업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가설 설정

  • 북한의 도시 농촌 연계에 관한 경제이론은 1964년 2월 25일 김일성이 농촌문제에 관한 테제를 발표한 이후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5) 현재 북한에 적용된 공간계획은 같은 시기 소련, 독일 등 사회주의 국가의 다양한 이론을 도입하여 현지화 시킨 것이다. 따라서 공간계획적 차원에서 북한의 국토공간은 사회주의적 가치를 재검토 할 수 있는 사례로 여겨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2017 

  2. 김광윤, 농촌부락계획방도, 건축과 건설, 공업출판사(평양), 1962(1) 

  3. 김광윤.백완기, 군소재지의 합리적인 계획구조, 조선건축, 공업출판사(평양), 1994(1) 

  4. 김두섭 외 4인, 북한 인구와 인구센서스, 통계청, 2011 

  5. 김룡철 외 5인, 농촌부락계획, 공업출판사(평양), 1991 

  6. 김병희, 새로 건설되는 송호리 하송마을, 조선건축, 공업출판사(평양), 1997(1) 

  7. 김웅채, 우리 농어촌,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 것인가: 농어촌 정주생활권 개발사업, 나라경제, 1991. 

  8. 김일성, 국토관리사업을 강화할데 대하여(1964년 2월 10일), 김일성저작집 제18권, 조선로동당출판사(평양), 1982 

  9. 김종진, 농어촌정비사업의 부처별 추진현황 및 전망: 농어촌정주생활권개발사업(농림부), 농촌계획, 2(1), 1996 

  10. 김철수, 군 소재지 계획, 건축과 건설, 공업출판사(평양), 1963(10). 

  11. 김춘성, 도시와 농촌의 경제적 련계 실현 경험, 사회과학출판사(평양), 1989 

  12. 남성욱, 현대 북한의 식량난과 협동농장 개혁, 한울아카데미, 2016 

  13. 라이너 도멜스, 북한 도시의 내부구조에 관한 연구, 북한학연구, 12(2), 2016 

  14. 라인원, 군소재지(읍도시)계획에서 지방공업의 배치, 건축과 건설, 공업출판사(평양), 1967(1) 

  15. 리순건, 읍계획(3), 건축과 건설, 공업출판사(평양), 1963(2) 

  16. 리화선, 조선건축사 2, 도서출판 발언, 1993 

  17. 리화선, 조선건축사 3, 도서출판 발언, 1993 

  18. 박명호, 한국 농지개혁과 농업생산, 비교경제연구, 20(1), 2013 

  19. 백완기, 읍계획(1), 건축과 건설, 공업출판사(평양), 1962(10) 

  20. 사회과학원경제연구소 정치경제학연구실, 도시와 농촌의 차이를 없앨데 대한 문제, 사회과학출판사(평양), 1969 

  21. 법률출판사 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법전, 2012 

  22. 심익섭, 북한의 국가기관체제와 지방행정,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논집, 21(1), 1993 

  23. 안문석, 북한 현대사 산책 3, 인물과 사상사, 2016 

  24. 안지호.조충희.현주, 북한의 지방행정 두텁게 기술하기: 평안남도 ${\circ}{\circ}$ 군의 공간분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7(3), 2018 

  25. 윤원근, 한국농촌계획론, 대학사, 1999 

  26. 원중희, 산간지대 읍도시의 본보기: 창성읍 총계획, 조선건축, 공업출판사(평양), 1990(4) 

  27. 원중희.김영복, 민족적 특성과 현대성을 옳게 구현한 본보기도시: 향산군 향산읍 도시형성에 대하여, 조선건축, 공업출판사(평양), 1991(4) 

  28. 윤복녀, 군을 단위로 하는 지방공업의 합리적 배치를 위한 중요방도, 경제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평양), 1992(3) 

  29. 이상림, 고난의 행군기 이후의 북한 내 인구이동: 도시-농촌 간 인구이동, 통일문제연구, 25(2), 2013 

  30. 이상문, 농촌지역 공간계획체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1), 1995 

  31. 이왕기.오영식, 북한의 농촌 마을배치 및 주거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2), 1999 

  32. 임도빈.신혜용.안지호, 북한의 지방행정 두텁게 이해하기,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4(3), 2012 

  33. 정광원.김춘익, 은혜로운 해발아래 천지개벽한 사회주의 문화농촌: 신천군 새날협동농장마을 건축형성에 대하여, 조선건축, 공업출판사(평양), 1992(2) 

  34. 조선로동당중앙위원회직속 당력사연구소, 김일성저작선집 3, 조선로동당출판사, 1975 

  35.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연감, 1960 

  36. 최익주, 공산주의촌 석하리 양지마을 건축형성, 조선건축, 공업출판사(평양), 1995(3) 

  37. 최혁재 외, 농어촌지역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농어촌뉴타운사업 발전방안, 국토연구원, 2010 

  38. 최혁재 외, 농촌활력 증진을 위한 농촌토지이용의 계획적 관리방안, 국토연구원, 2007 

  39. 통계청, 2018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2018 

  40. 평양도시계획설계연구소 농촌부락계획설계실, 농촌마을에서 묶음식 주택배치방법, 건축과 건설, 공업출판사(평양), 1967(5). 

  41. 평화통일연구소 편, 북한개요, 1991 

  42. 한념, 평원군 룡이리 소재지 마을 건축형성, 조선건축, 공업출판사(평양), 1996(1) 

  43. 한재권, 마전협동농장 중심부 건축형성, 조선건축, 공업출판사(평양), 1996(1) 

  44. 황찬수, 은혜로운 빛발아래 천지개벽된 산간도시: 삭주읍 도시형성에 대하여, 조선건축, 공업출판사(평양), 1992(4)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