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 해상풍력단지 조성 예정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 생체량에 대한 생태학적 평가
Ecological Evaluation on the Biomass of Macrobenthic Communities Observed from a Planned Offshore Wind Farm Area, We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41 no.4, 2019년, pp.311 - 318  

정수영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이채린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김성현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김성태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명정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물자원연구단) ,  오승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물자원연구단) ,  박진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물자원연구단) ,  진승주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유재원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the preliminary survey data (2014-2016) of macrobenthic community biomass (n = 112) from the wind farm area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west coast of Korea and compared this data with data from the entire west coast (n = 369; 2006-2008). Modal classes from frequency distribution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사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 생체량이 다른 해역의 것과 비교하여 차이가 존재하는 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현재까지는 대형저서동물 군집 생체량의 해역 간 차이를 규명하는 데에 있어서 타당성이 확보된 방법은 없다.
  • 앞서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풍력단지의 연구자료는 효율적, 균형적인 해양공간의 활용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 조사로부터 획득된 것이다. 본 연구진이 이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것은 이 해역의 저서생태계 생산량이 결코 높은 수준이 아니라는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계 서비스란? 생태계 서비스는 자연이 인간에게 베푸는 혜택을 의미한다. 전 세계적으로 그리고 전통적으로 해양은 식량공급이나 탄소저장, 수질정화 기능,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위한 장소 제공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인간들에게 제공하여 왔다.
인간이 해양에서 받은 생태계 서비스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생태계 서비스는 자연이 인간에게 베푸는 혜택을 의미한다. 전 세계적으로 그리고 전통적으로 해양은 식량공급이나 탄소저장, 수질정화 기능,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위한 장소 제공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인간들에게 제공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분별한 남획이나 개발, 육상으로부터의 각종 오염물질 유입 등으로 해양생태계에 변화가 발생하고 해양이 인간에게 제공하는 혜택과 수용력은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대형저서동물의 군집 생체량이 밀도에 비해 생산성을 가늠하는 매개변수로 더 좋은 이유는? 1997). 특히 생체량에는 상수(생산량/생체량 전환율, P/B ratio)를 곱하여 생산량을 추정하기도 하므로 생산성과 보다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게다가 밀도의 경우에는 변동성이 매우 높아 교란이 심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경우 해석이 어렵다. 반면 군집 생체량은 교란이 심한 상태부터 안정적인 상태에 이르기까지 단조적이며 예측 가능한 변동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dum 1969). 높은 생체량이 관찰되는 것은 큰 몸체의 생물이 오랜 기간동안 수명을 유지해야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Robertson 19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LTM (2007) National investigation of marine ecosystem: $35.5^{\circ}$ Gomso Bay Mouth- $37^{\circ}$ Asan Bay.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861 p 

  2. MLTM (2009) National investigation of marine ecosystem: Southern part of the West Sea ( $35.5^{\circ}$ N Yeonggwang- $34.5^{\circ}$ N Jindo).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692 p 

  3. MLTM (2012) National investigation of marine ecosystem: Jeju-Ieodo (Ieodo $125.1^{\circ}$ E-Woodo $129.2^{\circ}$ 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919 p 

  4. Choi BS (1992) Univariate time series analysis. Sekyungsa, Seoul, 736 p 

  5. KOWP (2015) A basic survey report on the marine environment and ecosystem of the offshore wind power development project in the Southwestern Sea. Korea Offshore Wind Power Co. Ltd., Seoul, 723 p 

  6. MOMAF (2006) The General investigation of marine ecosystem: $37^{\circ}$ Asan Bay- $38^{\circ}$ Northernmost part.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687 p 

  7. Akaike H (1973) Information theory and an extension of the maximum likelihood principle. In: Petrov BN, Csaki F (eds) Proceedings of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heory. Academiai Kiado, Budapest, pp 267-281 

  8. Brey T, Gerdes D (1997) Is antarctic benthic biomass really higher than elsewhere? Antarct Sci 9(3):266-267 

  9. Conlan K, Hendrycks E, Aitken A, Williams B, Blasco S, Crawford E (2013) Macrofaunal biomass distribution on the Canadian beaufort shelf. J Marine Syst 127:76-87 

  10. Diamond JM (1983) Ecology: Laboratory, field and natural experiments. Nature 304(5927):586-587 

  11. Halpern BS, Longo C, Hardy D, McLeod KL, Samhouri JF, Katona SK, Kleisner K, Lester SE, O'Leary J, Ranelletti M, Rosenberg AA, Scarborough C, Selig ER, Best BD, Brumbaugh DR, Chapin FS, Crowder LB, Daly KL, Doney SC, Elfes C, Fogarty MJ, Gaines SD, Jacobsen KI, Karrer LB, Leslie HM, Neeley E, Pauly D, Polasky S, Ris B, St Martin K, Stone GS, Sumaila UR, Zeller D (2012) An index to assess the health and benefits of the global ocean. Nature 488(7413):615-622 

  12. Hong JS, Yoo JW (1996) Salinity and sediment types as sources of variabil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macrofauna in Han Estuary and Kyonggi Bay, Korea. Ocean Sci J 31(4):217-231 

  13. Lange GM, Jiddawi N (2009) Economic value of marine ecosystem services in Zanzibar: Implications for marin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cean Coast Manage 52(10):521-532 

  14.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1969):262-270 

  15. Paine RT (1966) Food web complexity and species diversity. Am Nat 100(910):65-75 

  16. Paine RT (1980) Food webs: linkage, interaction strength and community infrastructure. J Anim Ecol 49:667-685 

  17. Pearson TH, Rosenberg R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16:229-311 

  18. Ricciardi A, Bourget E (1999) Global patterns of macroinvertebrate biomass in marine intertidal communities. Mar Ecol-Prog Ser 185:21-35 

  19. Robertson AI (1979) The relationship between annual production: Biomass ratios and lifespans for marine macrobenthos. Oecologia 38(2):193-202 

  20. Stephenson TA, Stephenson A (1949) The universal features of zonation between tide-marks on rocky coasts. J Ecol 37(2):289-305 

  21. Thistle D (1981) Natural physical disturbances and communities of marine soft bottoms. Mar Ecol-Prog Ser 6(2):223-228 

  22. Thrush SF, Hewitt JE, Norkko A, Cummings VJ, Funnell GA (2003) Macrobenthic recovery processes following catastrophic sedimentation on estuarine sandflats. Ecol Appl 13(5):1433-1455 

  23. Tumbiolo ML, Downing JA (1994) An empirical model for the prediction of secondary production in marine benthic invertebrate populations. Mar Ecol-Prog Ser 114(1/2):165-174 

  24. Weisberg SB, Ranasinghe JA, Dauer DM, Schaffner LC, Diaz RJ, Frithsen JB (1997) An estuarine benthic index of biotic integrity (B-IBI) for Chesapeake Bay. Estuaries 20(1):149-158 

  25. Wheatcroft RA (2000) Oceanic flood sedimentation: a new perspective. Con Shelf Res 20(16):2059-2066 

  26. Yoo JW, Hong JS (1996) Community structures of the benthic macrofaunal assemblages in Kyonggi Bay and Han Estuary, Korea. Ocean Sci J 31:7-17 

  27. Yoo JW, Lee HJ, Hong JS (2016) Long-term variations in macrobenthic community diversity (species number) in the Chokchon macrotidal flat, Incheon, Korea. Ocean Sci J 51(3):435-4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