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정직(李定稷)의 서예론과 한(韓)·중(中) 서예가 비평
The calligraphy theory of Lee, Jeongzic and Criticism of Korean and Chinese calligraph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5 no.1, 2019년, pp.107 - 112  

김도영 (예원예술대학교 교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1841~1910)은 호남(湖南) 유학(儒學)을 대표하는 실학자이자 시(詩) 서(書) 화(畵)에 능통한 삼절작가(三絶作家)이다. 석정(石亭)의 서예술 활동은 창작활동 뿐만 아니라, 서예이론 및 비평가로써의 학문 활동을 들 수 있다. 석정(石亭)은 왕희지(王羲之)를 서예의 전범(典範)으로 삼아 경완(勁婉)을 진숙(眞熟)하게 연마하여 완숙(婉熟)해지면 저절로 조화로움의 경지에 도달하여 법고창신 한다고 보았다. 한편, "연석산방미정시고(燕石山房未定詩藁)" "제서결상론오고팔수(題書訣詳論五古八首)"에서는 석정(石亭)이 역대 서예를 연마한 후 느낀 종합적 견해를 이시론서(以詩論書)의 방식으로써 중국의 역대 서예가를 비평한 오언고시(五言古詩) 8수(首)가 있다. 여기에는 왕희지(王羲之),등 중국의 역대 서예가 11인을 선정하여 특징과 장 단점을 비평하였다. 또한, "원교진적(圓嶠眞跡)" "송하진적(宋下眞跡)" "창암서첩(蒼巖書帖)"의 제발(題跋)을 통해 한국의 원교(圓嶠), 송하(松下), 창암(蒼巖) 등의 서예가에 대해서도 나름의 서예비평을 하여 자신의 서예이론을 구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okjeong LeeJeongzic(1841~1910) is a representing scholar in Honam Confucianism and master of three classes, caligography, painting. Seokjeong's calligraphy activities include not only creative activities, but academic activities as calligraphers and critics. Seokjeong uses Wang Hui-ji as an exa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曺允亨이 興趣를 부치고(寄興) 그 뜻을 얻어 서예가로써 이름을 세상에 떨쳤는데, 그 서예는 圓嶠에 근원 한다고 긍정적으로 비평하였다. 『蒼巖書帖』에서는 蒼巖의 서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蒼巖이 「瘞鶴銘」을열심히 임서하였는데, 瘞鶴銘은 梁代 刻石으로써 커다란 글씨로 쓴 장엄하고 강건한 필운과 생동감있는 호방함이 압권이다.
  • 石亭은 王羲之를 典範으로 하여 특히 米芾에게서는 筋骨을, 元代의 趙孟頫에게서는 精意를, 그리고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비슷한 서체를 보이는 董其昌에게서는 風神을 얻고자 하였다. 주로 전통적인 帖學派 계열의 楷行 계통의 서체나 서풍을 견지함으로써 표면적으로는 보수적이고 전통에 입각한 서예론을 주창하였다.
  • 이에 본 고는 구한말 역사적 격동기에 師古를 바탕으로 한 石亭 李定稷의 서예론과 한국과 중국의 역대 서예가를 비평한 학문 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가 추구했던 서예술의 지향성을 살펴보고, 그의 한·중 역대 서예가 비평이 서예비평사적으로 어떤 의미와 가치가 있는지 고찰코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石亭 李定稷은 누구인가? 石亭 李定稷(1841∼1910)은 舊韓末 湖南 儒學을 대표하는 실학자이자, 詩·書·畵에 능통한 三絶作家이다. 石亭은 지금의 전북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 요교마을에서 태어났는데, 字를 馨五, 號를 石亭 혹은 石亭山人, 燕石이라고도 하였다.
石亭가 서예 이론 및 비평가였다는 걸 확인할 수 있는 활동엔 무엇이 있는가? 石亭의 서예술 활동은 창작활동 뿐만 아니라, 서예이론 및 비평가로써의 학문 활동을 들 수 있다. 그는 『燕石山房未定稿』와 『書訣詳論』을 통해 중국 역대 서예가들의 書論을 모아 이론을 정립하고 서예비평을 하였다. 또한 서예 명가의 眞蹟을 모아 『諸家聚英』을 엮었는데, 이를 보면 전문서예가일 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서화이론을 겸비한 서예비평가였음을 알 수 있다.
石亭이 燕石山房를 짓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石亭은 전주에서 약방을 운영하면서 창작활동에 몰두하던 중, 1894년 동학농민군의 全州城 입성 때 화재로 인해 모든 재산과 저술, 작품 등을 잃고 고향으로 돌아와 ‘燕石山房’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지도에 전념하였다. 그리고 총25권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燕石山房未定稿』 를 통해 자신의 사상과 시문, 학문적성과와 서화가로서 서예론 등을 남겼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Jeongzic Lee, Seokjeong Lee Jeongzic Yugo (석정이정직유고) 

  2. Jeongzic Lee, SonghaJinjeok (송하진적) 

  3. Jeongzic Lee, WonkyoJinjeok (원교진적) 

  4. Jeongzic Lee, ChangamSeochub (창암서첩) 

  5. Jeongzic Lee, Hyangkwangchub (향광첩) 

  6. Sa whae Gu,(2013), A study Literary theory of Seokjeong LeeJeongzic on Modern Enlightenment, Taehak publisher. 

  7. Do young Kim(2014), A Study on the Value of Cultural Properties of Calligraphy and painting of Seokjeong Lee, Jeongzic, A doctoral dissert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