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8 no.1, 2019년, pp.63 - 70
Artificial lighting is an essential part, but it causes light pollution due to unnecessary or excessive use of light. Light pollution has negative effects such as power waste, adverse health effects,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But currently, light pollution is managed only post-management. The pu...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HFBS코드의 목적은? | HFBS코드는 조명기구의 다양한 설치조건에 대한 종합적인 계산을 실시해 설치 가능한 조명기구와 설치조건을 판단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방법으로 조명기구 설치계획 수립, 계획의 적합성 평가, 침입광 영향 예측, 사후영향평가시에도 활용가능한 방법이다(Lee 2014). | |
빛공해가 유발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 인공조명은 보행자의 안전보장과 범죄예방 및 차량의 안전한 통행을 위해 필수적인 부분이지만, 불필요한 부분을 비추게 되면 침입광(Light trespass), 산란광(skyglow), 글레어(glare) 등을 발생시켜 빛공해(Light Pollution)라는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빛공해는 인공조명을 불필요한 부분까지 사용하게 되는 소비전력의 낭비뿐만 아니라 수면장애, 질병·암의 유발 가능성 증가 등 인체 영향과 동식물의 생존력 저하, 서식지 파괴 등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Falchi et al. 2011), 매년 빛공해관련 민원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
빛공해 방지법 허용 기준의 대상은? | 빛공해 방지법의 적용대상은 크게 ①가로등/보안등 등, ②허가대상 광고조명, ③장식조명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개선명령을 내리고 명령에 따르지 않는 경우 과태료를 부과한다. 현행 빛방사허용기준은 가로등/보안등/공원 등의 경우 주거지 창문에서 연직면 조도(lx)의 최대값을 적용한다. 점멸 또는 동영상 변화가 있는 전광류 광고조명의 경우는 주거지 창문에서 연직면조도(lx)의 최대값과 발광표면 휘도의 평균값을 적용하며, 그 밖의 광고조명은 발광표면 휘도의 평균값을 적용한다. 장식조명의 경우 발광표면 휘도의 평균값과 최대값을 적용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2). |
Choi TB, Kim BK , Park SA, Lee JW, Jung JS, Lee GM, Jung DK, Kim H. 2017. Study on the Standard Guidelin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I).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Act No.14532, Ministry of Environment.
Act on the Prevention of Light Pollution Due to Artificial Lighting. 2012. Act No. 15197, Ministry of Environment.
Falchi F, Cinzano P, Elvidge CD, Keith DM, Haim A. 2011. Limiting the impact of light pollution on human health, environment and stellar visibi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2(10): 2714-2722.
CIE 150:2003. Guide on the Limitation of the Effects of Obtrusive Light from Outdoor Lighting Installations. CIE. 2003.
GN01. 2011. Guidance Notes for the Reduction of Obtrusive Light, Institution of Lighting Professionals.
Hinweise zur Messung. 2012. Beurteilung und Minderung von Lichtimmissionen, Bund/Lander-Arbeitsgemeinschaft fur Immissionsschutz (LAI).
Model Lighting Ordinance(MLO). 2011. International Dark-Sky Association & I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
PLG 04. 2013. Guidance on Undertaking Environmental Lighting Impact Assessments, Institution Lighting Professionals.
Lee MW. 2014. Classification of lighting fixtures and Installation plan for reduction of light pollu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n Literature]
Jung MS, Lee KJ. 2014. Light Pollution Prevention Act by artificial light of Problems.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