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덕유산국립공원 빛공해 현황 및 빛공해가 공원 생태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Status of Light Pollution and its Potential Effect on Ecosystem of the Deogyu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4 no.1, 2020년, pp.63 - 71  

성찬용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영재 (영남대학교 산림자원및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8년 1월과 8월에 촬영된 VIIRS(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DNB(Day and Night Band) 야간 위성 영상에서 추출한 야간 빛방사량을 이용하여, 덕유산국립공원 지역 빛공해의 공간적·계절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빛공해가 덕유산국립공원 생태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원 내 주요 빛공해원 중 무주덕유산리조트의 빛방사량이 가장 높았고, 특히 8월에 비해 1월의 빛방사량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겨울철 스키 슬로프와 부대시설 조명이 덕유산국립공원 빛공해의 주요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공원 인근 도시지역에서 공원 내부로 이어지는 도시-자연 빛공해 경사(gradient)를 분석한 결과, 빛공해원에서 방사된 빛이 인접 지역으로 최대 1km까지 침투하여 공원 경계 지역을 빛공해로 오염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문헌 조사를 통해 덕유산국립공원 내 공간적 분포가 알려진 법정 보호종 중 포유류 4종(담비, 무산쇠족제비, 삵, 하늘다람쥐), 조류 2종(새호리기, 황조롱이), 양서파충류 9종(꼬리치레도롱뇽, 도롱뇽, 이끼도롱뇽,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누룩뱀, 유혈목이, 쇠살모사, 까치살모사), 어류(감돌고기, 돌상어)가 빛공해가 심각한 지역에 서식하고 있었다. 이 중 삵과 하늘다람쥐 등 야행성 종의 서식환경이 특히 나빠진 것으로 보인다. 이 결과는 빛공해로부터 국립공원과 같은 보호지역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공원 내부뿐 아니라 인접 지역의 야간조명을 관리하여야 하며, 야생동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야간 조명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는 결과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spatial and seasonal patterns of light pollu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and examined the potential effects of light pollution on ecosystems in the park using light intensities derived from VIIRS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DNB (Day and Night B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야간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덕유산국립공원 내부와 인접 지역의 빛공해 현황과 빛공해가 공원 생태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로 덕유산국립 공원을 선정한 이유는 공원 구역 내 대규모 스키 리조트가 위치 하여 빛공해가 심한 대표적 국립공원이기 때문이다.
  • 빛공해 심각 지역은 빛공해가 심각한 1월 영상을 기준으로 판단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위 기준에 의해 도출된 빛공해 심각 지역과 덕유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의 조사 격자를 중첩하여, 빛공 해가 심각한 지역에 서식하는 법정 보호종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 기준을 바탕으로 국립공원 내 빛공해 심각 지역을 50cd/㎡의 일반조명이 50m×50m의 지역에 하나 이상 있는 정도의 빛방사량을 가진 지역으로 정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빛공해의 영향 특성은? 관련 연구가 부족한 이유는, 인간에 비해 야생동식물의 영향 에 관한 관심이 부족한 이유도 있겠지만, 국내 야생동식물 서식 지들이 대부분 험준한 산악지형에 위치하여, 사고 위험 등 야간 조사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빛공해는 그 영향이 발생원 근처에만 한정되지 않고, 넓은 지역으로 전파되는 속성 을 가지고 있어, 빛공해가 야생동식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기 위해서는 넓은 지역에 걸친 경관 규모(landscape-scale)의 연구가 필요하나, 야간 현장 조사의 어려움 때문에 수행하기 쉽지 않다.
빛공해 심각 지역으로 분류된 지역에 서식하는 법정 보호종은 무엇인가? 빛공해 심각 지역으로 분류된 지역에 서식하는 법정 보호종 으로는 포유류 4종(담비, 무산쇠족제비, 삵, 하늘다람쥐) 조류 2종(새호리기, 황조롱이), 양서파충류 9종(꼬리치레도롱뇽, 도롱뇽, 이끼도롱뇽,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누룩뱀, 유혈 목이, 쇠살모사, 까치살모사), 어류(감돌고기, 돌상어)가 있었 다(Table 1). 법정 보호종 중 무산쇠족제비와 삵 등은 야행성 포식자로, 이들 종은 빛공해가 심한 지역에서는 사냥 중 피식자 에게 발각될 확률이 증가하여 사냥 성공률이 감소하는 등 개체 수가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Gaston et al.
인공조명이 인간 건강에 주는 영향 인공조명이 인간 건강에 주는 영향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인간이 과도한 빛공해에 노출되면 수면 유도 호르몬인 멜라토 닌 분비가 억제되어 수면 장애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유방암 등 각종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Kloo et al., 2008; Kong and K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W., K.S. Ki and C.Y. Sung(2014) Characterizing light pollution in national parks during peak and off-peak tourist seasons using nighttime satellite imag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 484-4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 Y.H., Y.E. Kim and H.Y. Kim(2018) Research on the light pollution for artificial illumination in Incheo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19:274-2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DeCoursey, P.J.(1986) Light-sampling behavior in photoentrainment of a rodent circadian rhythm. Journal of Comparative Physiology A 159: 161-169. 

  4. Duriscoe, D.M., C.B. Luginbuhl and C.D. Elvidge(2013) The relation of outdoor lighting characteristics to sky glow from distant cities. Lighting Research & Technology 46: 35-49. 

  5. Elvidge, C.D., K.E. Baugh, M. Zhizhin, F.C. Hsu and T. Ghoh(2017) VIIRS night-time ligh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8: 5860-5879. 

  6. Gaston, K.J., J. Bennie, T.W. Davies and J. Hopkins(2013) The ecological impacts of nighttime light pollution: A mechanistic appraisal. Biological Reviews 88: 912-927. 

  7. Guo, W., D. Lu, Y. Wu and J. Zhang(2015) Mapping impervious surface distribution with integration of SNNP VIIRS-DNB and MODIS NDVI data. Remote Sensing 7: 12459-12477. 

  8. Han, B.H., J.Y. Kim, S.H. Lee and S.Y. Yoo(2014) Analysis of effect on wild birds song by the light pollu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24: 77-78. (in Korean) 

  9. Jung, D.K., Y.K. Kang, J.W. Lee and M.H. Kwon(2019) The present status of the light trespass (iIluminance) by advertising sig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6: 313-3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empenaer, B., P. Borgstrom, P. Loes, E. Schilicht and A. Valcu(2010) Artificial night lighting affects dawn song, extra-pair siring success, and lay date in songbirds. Current Biology 20: 1735-1739. 

  11. Ki, K.S. and W. Cho(2014) Effects of light pollu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dawn song initiation time of great tit, Parus majo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411-4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J. and S. Cheon(2018) Monitoring nightlight emission changes in Seoul using satellite nightlight data to mitigate light pollu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3: 165-1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loog, I., A. Haim, R.G. Stevens, M. Barchana and B.A. Potnov(2008) Light at night co-distributes with incident breast but not lung cancer in the female population of Israel. Chronobiology International 25: 65-81. 

  14. Kong, H.J. and J.T. Kim(2010) Light pollution of outdoor lighting in coastal area: Focused on Bus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24: 18-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12) Deogyusan National Park Natural Resources Survey 2012.10. Korea National Park Service, Namwon, Korea. (in Korean) 

  16. Korea National Park Service(2018)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Light Pollution using Nighttime Satellite Image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Deogyusan National Park Office: Muju, Korea. (in Korean) 

  17. Lee, C.W.(2018) Analysis of light pollution problems and institutional alternatives: based on the sizes and types of cities: Focusing on Jeollabukdo. Journal of Urban Policies 9: 43-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ongcore, T. and C. Rich(2004) Ecological light pollution.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2: 191-198. 

  19. Park J.E. and S.H. Cheon(2018) Evaluation of Seoul residents' perception and experience on light pollu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3: 335-3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Stone E. L., G. Jones and S. Harris(2009) Street lighting disturbs commuting bats. Current Biology 19: 1123-1127. 

  21. Yorzinski, J.L., S. Chisholm, S.D. Byerley, J.R. Coy, A. Aziz, J.A. Wolf and A.C. Gnerlich(2015) Artificial light pollution increases nocturnal vigilance in peahens. PeerJ 3: e11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