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여 능산리고분군 동하총 석재의 암석기재적 특성과 안구상편마암의 역사적 활용성 고찰
Consideration for Historical Application of Augen Gneiss and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for Rock Properties of Donghachong Tomb from Royal Tombs of Neungsanri in Buyeo,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2 no.1, 2019년, pp.91 - 106  

박준형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규혜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능산리고분군 동하총은 바닥을 포함하여 15면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장 많이 사용한 암석은 복운모화강암으로 7면(46.6%)에 활용하였다. 또한 안구상편마암 3면(20.0%), 화강섬록암, 편마상화강암 및 우백질화강암을 각각 1면(6.7%)으로, 모두 판석으로 구성하였다. 현실과 전실 바닥의 각섬석편암(13.3%)은 모전석으로 사용하였다. 이 암석들은 모두 부여 일대에서 산출되며 주로 금강변에 산지가 분포한다. 당유인원기공비는 뚜렷한 편리와 안구상조직을 갖는 전형적인 안구상편마암이다. 이 암석은 동하총, 산직리 고인돌 및 세탑리 오층석탑의 일부 석재에 활용한 안구상편마암과 같은 종류이다. 이 안구상편마암은 부여 증산리에서 공주 덕지리로 연장되는 대규모 암체로 분포하며, 현재 정원석과 조경석 및 골재용 채석장이 있는 것으로 보아, 부여일대에서는 청동기시대부터 안구상편마암을 활용하기 위한 공급지가 있었을 개연성은 충분하다. 이는 암질이 약해 가공에 수월성은 있으나, 어두운 색을 띠어 벽화의 바탕과 각자에는 단점도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백제인들이 거리와 지형 및 효율성과 수월성을 두고 어떤 운송체계를 선택했을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onghachong tomb from Royal Tombs at Neungsanri is composed of 15 sides including the floor, and the most highly proportion of rock, two-mica granite, are used on the 7 sides (46.6%). Also, augen gneiss consist with another 3 sides (20.0%), and each of the remaining 3 sides (6.7%) are made up of...

주제어

표/그림 (17)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하총의 벽과 관대에 사용된 암석은 무엇인가? 동하총은 능산리고분군에서 가장 유명한 고분으로, 유일하게 사신도가 그려진 무덤이다. 고분의 벽과 관대는 여러 종류의 암석을 다듬어 축조하였으며, 화강암 외에 편마암이라는 독특한 암석을 사용한 것으로 보고하 였다(Lee et al., 2018).
동하총은 무엇인가? 오래 전부터 왕릉으로 알려져 왔으며, 발굴조사 이전에 모두 도굴되어 출토유물은 거의 없다. 동하총은 능산리고분군에서 가장 유명한 고분으로, 유일하게 사신도가 그려진 무덤이다. 고분의 벽과 관대는 여러 종류의 암석을 다듬어 축조하였으며, 화강암 외에 편마암이라는 독특한 암석을 사용한 것으로 보고하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 S.J. (1975) A Study on the Ancient tombs of Backje. The Journal of Paekche Culture, v.8, p.81-176. (in Korean) 

  2.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993) Buyeo Sanjikri Dolmen. Research Reports, v.6, p.1-109. (in Korean) 

  3. Chang, T.W. and Hwang, J.H. (1980) Geological Report of the Nonsan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p.1-17. (in Korean) 

  4. Choi, Y.J. (2013) Form transition and system relation of Baekje stone chamber tombs in Baekje. The Journal of Paekche Culture, v.48, p.213-255. (in Korean) 

  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2012) Cultural Heritage and History of Chungcheong Province. Chungcheong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p.147-152. (in Korean) 

  6. Hong, S.J. (1966) Survey of Royal Tombs in Neungsanri in Buyeo: Historical Site No. 15.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v.7, p.172-174. (in Korean) 

  7. Jung, H.S. (2011) A study on the mural painting tomb of Baekje.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 v.61, p.301-3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ang, I.G. (1976) Study on Ancient tombs of Backje. Journal of Korean History, 3, 3-145. (in Korean) 

  9. Kang, H.S. (1996) On the transition of Baekche stone chambered tomb. Journal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v.34, p.83-134. (in Korean) 

  10. Kim, Y.T., Lee, C.H. and Lee, M.S. (2005) Deterioration assessment for conservation sciences of the five storied st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Buyeo,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8, p.657-6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orea Institute of Ancient Society (1992) Korea Ancient Epigraph (Translated). Institute of History and Development for Garakguk. p.1-592. (in Korean) 

  12. Lee, C.H., Ahn, Y.B., Park, J.H., Jin, H.J. and Yun, S.H. (2015) Investigation Study of Restoration and Maintenance for Jeongrimsaji Temple Site 2: Scientific Analysis (2). Report of The Baekje Culture Foundation, p.1-68. (in Korean) 

  13. Lee, C.H., Choi, S.W., Lee, H.M. and Lee M.S. (2006) Archaeological implication of lithic artifacts from the Unjeonri Bronze age site, Cheonan,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v.33, p.335-348. 

  14. Lee, C.H., Kim, Y.T. and Lee, M.S. (2007) Provenance presump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five storied st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Buyeo,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3, p.183-1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C.H., Kim, M.Y., Jo, Y.H. and Lee, M.S. (2010) Conservation treatment based on material characteristics, provenance presumption and deterioration diagnosis of the seven-storied Jungwon Tappyeongri stone pagoda, Chungju, Korea.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43, p.4-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M.H. and Lee, C.H. (2009) Transportation route, provenance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ve-storied stone pagoda in Seongjusaji temple sit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5, p.725-7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C.H. and Yi, J.E. (2007) Weathering damage evaluation of rock properties in the Bunhwangsa temple stone pagoda, Gyeongju,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al Geology, v.52, p.1193-1205. 

  18. Lee, N.S. (2014) Baekje Archaeology of Sabi Period. Seokyeong Publishing Co., p.1-296. (in Korean) 

  19. Lee, S.O., Bae, G.W., Namgung, H., Nam, D.H., Choi, Y.G. and Chung, K.W. (2018) Conservation state of mural paintings of Royal Tombs in Neungsan-ri,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4, p.333-3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National Museum of Korea (2010) A Series of History. National Museum of Korea, v.10, p.164-177. (in Korean) 

  21. Noh, C.K. (2003) History of Revival Movement in Baekje. Iljogak Publishing Co., p.1-384. (in Korean) 

  22. Saito, T. (1976) Consideration about chronologic order and burial person of ancient tombs based on the Muryeong Royal Tomb of Baekje. Journal of the Academic Association of Koreanology in Japan, Chosen Gakuho, v.21, p.61-77. (in Japanese) 

  23. Uchida, E., Cunin, O., Suda, C., Ueno, A. and Nakagawa, T. (2007) Consideration o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sandstone quarries during the Ankor period based on the magnetic susceptibilit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v.34, p.924-9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