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이커 스페이스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가이드 라인
Service Design Guideline for Maker Spa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2, 2019년, pp.389 - 397  

곽소정 (김포대학교 게임콘텐츠) ,  백윤철 (상명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권지은 (상명대학교 휴먼지능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메이커 운동의 확산으로 증가하고 있는 메이커 스페이스의 효과적인 운영 및 내실화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메이커 스페이스의 정의 및 현황 등에 관해 문헌 조사 및 선행 연구를 조사한다. 둘째, 정성조사 방법으로 메이커 스페이스 서비스에 대한 비디오 에스노그라피, 참여관찰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셋째, 조사한 내용을 분석하여 메이커 스페이스에 대한 퍼소나, 블루프린트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메이커 스페이스를 일반랩과 전문랩으로 분류하고, 메이커 스페이스에서 나타나는 4가지 형태의 퍼소나를 도출하고 체계화를 위한 블루프린트를 구축하여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비스 디자인의 퍼소나와 블루프린트는 기존 메이커 스페이스의 서비스 개선과 신규 메이커 스페이스의 설계, 콘텐츠 구성 및 운영의 내실화에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guidelines for service design for efficient operation of Maker Space due to the proliferation of Maker Movement. First, we investigate the literature survey and prior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status of Maker space. Second, we performed video ethnography,...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333px;">) 등으로 정부 지원 하에 126개 여개를 설치 운영 중이고, 2022년까지 367개로 확충 예정이며, 3,200여개의 온오프라인 커뮤니티가 활동 중이다(메이크올, 2018) 메이킹 활동(문화체육관광부, 2018)이라는 것은 물리적으로 사람이 직접 무엇을 만든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을 하는 물리적 공간 또는 환경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이커 운동의 본래 가치인 메이킹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공간의 메이커 스페이스를 중심으로 공간 및 장비 등의 하드웨어적인 요소와 교육 프로그램, 워크샵, 커뮤니티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콘텐츠 서비스, 그리고 그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방문객과 사용자의 행태를 조사 분석한다.
  • 첫째, 메이커 스페이스를 이해하고, 구성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문헌조사를 실시한다. 메이커와 메이커 스페이스의 정의 및 현황 그리고 서비스 이해관계자와 컨텍스트에 대하여 학술 논문과 리서치 자료, 그리고 인터넷 자료 등을 활용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다.
  • 본 논문은 메이커 활동에 중심인 메이커 스페이스 운영하는 공간에 대한 서비스 디자인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메이커 스페이스가 메이커 운동의 본래 가치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고, 내실화에 따른 올바른 성장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커 스페이스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메이커 스페이스의 설계 및 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효율적 운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Table 2의 퍼소나는 메이커 스페이스의 운영자 2명과 사용자 2명을 설정하여 각 특징, 메이커 스페이스와 관련된 행태와 니즈 등을 정립하였다. 운영자는 메이커 스페이스를 관리하는 대표 운영자와 교육을 진행하는 교육 운영자로 가정하였으며 사용자는 메이커 스페이스의 장비를 직접 활용하여 메이킹 활동을 하는 사용자와 교육을 수강하러 온 어머니와 아들로 설정하여 작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이커 운동의 구성은? 정영미(Youngmi Jung, 2018)는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는 메이커가 활동하는 물리적 공간이면서 메이커 운동의 근간이 되는 플랫폼으로 다양한 메이커 관련 콘텐츠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곳을 말했다. 메이커 운동은 ‘만들기’라는 제작의 ‘기술성’과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성’, 공유와 문화적 가치로서의 ‘대중성’ 등의 요소들이 융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메이커 운동의 확산으로 국내에서도 융복합적 활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메이커 스페이스가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질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인 운영과 활용을 위한 내실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이다.
메이커 스페이스는 어떠한 공한을 의미하는가? 이승민(Lee, Seung-min, 2017)과 박지선(Park, jiseon, 2018)은 메이커 스페이스란 메이커 활동을 위한 필요한 도구와 장비를 갖춰놓은 작업 장소로 메이커 운동의 핵심 요소이자 활동의 근원지라 하였다. 즉, 메이킹 활동을 위한 커뮤니티, 작업 공간, 교육, 전시 등이 이루어지는 물리적 공간을 말한다. 메이커 스페이스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미국통계청(삼성뉴스룸, 2018) 기준에 따르면 Fig.
메이커란? 최근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이 하나의 문화·사회적 운동으로 대두되고 있다. 마크해치(Haatch, M2014)는 메이커(Maker)란 ‘발명가, 공예가, 기술자 등의 기존의 제작자 카테고리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쉬워진 기술을 응용하여 폭넓은 만들기를 하는 대중’이라고 정의 내렸다. 정영미(Youngmi Jung, 2018)는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는 메이커가 활동하는 물리적 공간이면서 메이커 운동의 근간이 되는 플랫폼으로 다양한 메이커 관련 콘텐츠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곳을 말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 Anderson. (2012). Makers: The New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 Random House. 

  2. Center for Creative Economy and Innovation. (2018). ccei.creativekorea.or.kr 

  3. Civic Creative Center. (2018). https://blog.naver.com/k3850797 

  4. E. S. Lee. (2016). Suggestion on Modified Models of Service Blueprint for Product-Service System,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5. M. Hatch. (2014). The maker movement manifesto. New York:McGraw-Hill Education 

  6. Ideaall. (2018). http://ideaall.net/ 

  7. J. E. Kwon. (2017).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 Makers,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8. J. G. Ju. (2018). https://wl.nl.go.kr/usr/com/prm/BBSList.do?bbsIdBBSMSTR_000000000451&menuNo11000&upperMenuId11 

  9. Makeall (2018). https://www.makeall.com/ 

  1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Guidelines for creating and operating a public library maker space. www.mcst.go.kr 

  11. J. S. Park. (2018). A study on the elements of university library makerspace oper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Samsung Newsroom. (2018). https://news.samsu ng.com/ 

  13. Samsung Newsroom. (2018). Maker's movement will spread more widely than web, https://news.samsung.com/ 

  14. S. M. Lee. (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omestic and foreign manufacturers space trend,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Issue Report, 2017-2025. 

  15. Y. G. Jung & B. S. Kang. (2018). A Qualit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Makerspaces Operation among School Library Professio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4(4). DOI : 10.4275/KSLIS.2018.52.3.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