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s)의 공간구성 요인과 혁신 간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Spatial Composition and Innovation in Makerspaces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5 no.4, 2020년, pp.263 - 275  

서진원 (한밭대학교 경영학과) ,  최종인 (한밭대학교 경영회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 산업혁명으로 통칭하는 변화의 소용돌이에서 우리나라는 추격형 경제구조에서 선도형 구조로 경제성장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하는 국가적 과제를 안고 있다. 지속적인 경제발전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정부와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의 모든 자원이 혁신과 성장에 동참하여야 하는 시대가 왔으며, 주요 선진국들은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정책과 제도로 구성원들의 혁신 활동을 자극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민의 자발적인 혁신환경을 만들기 위해 메이커스페이스나 팹랩 등으로 지칭되는 개방형 창의공간 조성에 힘쓰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메이커스페이스가 혁신(창업)공간으로 발전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을 탐색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메이커스페이스의 특징으로 개방성과 전문성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메이커스페이스에 부족한 역량과 추후 확보해야 할 역량이 개방성과 전문성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개방성과 전문성의 세부 구성요인을 제시하고, 개방성 중심, 전문성 중심, 사업화 중심 등 대상별 메이커스페이스 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vortex of change, commonly referred to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 has a national task of changing the paradigm of economic growth from a chase-type economic structure to a leading one. The era has come when all resources of the country, as well as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혁신에 대한 정의는 경영과 창업의 관점에서 어떻게 정의되는가? 혁신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의 해당 분야의 관점과 주제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경영과 창업의 관점에서 혁신은 기존자원이 부를 새로 만들도록 새로운 능력을 부여하는 활동(Drucker, 1985)과 창의적 아이디어를 제품이나 서비스 형태로 구체화하는 활동(Robbins, 2001), 조직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새로 만들고, 그것을 개발하여 상용화하는 것(김인수, 2007)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정의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메이커스페이스 내의 혁신을 ‘메이커 개인 또는 팀이 창발을 통해 만들어 낸 창의적 아이디어와 도출된 아이디어를 시장에서 가치를 제안할 수 있는 제품 또는 서비스로 구체화하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개방성과 전문성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개방형 창의공간이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메이커스페이스 같은 개방형 창의공간이 기업이나 일반영역에서는 물론 정부나 지자체의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메이커스페이스가 가진 높은 사회적·경제적 혁신 잠재력 때문이다. 메이커운동(Maker Movement)으로 대변되는 메이커 관련 활동의 높은 잠재적 역량은 인간본능에 내재한 ‘만들기 활동’의 본질적 특성에 기인한다.
정치 철학자 Arendt가 정의한 만들기는 무엇인가? 메이커운동(Maker Movement)으로 대변되는 메이커 관련 활동의 높은 잠재적 역량은 인간본능에 내재한 ‘만들기 활동’의 본질적 특성에 기인한다. 정치 철학자 Arendt(2013)는 ‘만들기’를 인간이 생명의 유한성을 극복하기 위한 영속적인 자신만의 세계 구축과 공유 행위로 보았다. 즉, 인간에게 ‘만들기’는 기존의 것(세상)을 파괴하고 새롭게 재창조하는 행위이며, 타인에게 창조한 세계를 전파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rendt, H.(2013). The human con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Calgary Economic Development(2016). How Makerspaces Support Innovative Urban Economies,Calgary: Calgary Economic Development. Retrieved from file:///C:/Users/cavin/Downloads/Makerspace-report.pdf. 

  3. Choi, J. I., & Markham, S.(2019). Creating a Corporate Entrepreneurial Ecosystem: The Cas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RTP, USA. Journal of Open Innovation: Technology, Market, and Complexity, 5(3), 62-76. 

  4. Drucker, P. F.(1985). Innovation and enterpreneurship: Practice and Princile. London; Heineman. 

  5. Phelps, E. S.(2013). Mass flourishing: How grassroots innovation created jobs, challenge, and chan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Eo, Y. K., Choi, J. M., & Kim, S. E.(2015).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Welfare Efficiency for the Elderly in Local Governm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Local Governments, 487-510. 

  7. Eul, K. B., Dong, M. J., & L. Ho, J. (2011).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on Expertise Research: Outcome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HRD, 13(1), 1-26. 

  8. Halbinger, M. A.(2018). The role of makerspaces in supporting consumer innovation and diffusion: An empirical analysis. Research Policy, 47(10), 2028-2036. 

  9. Oh, H. S., & Kim, J. A.(2007). Critical Research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in Expertise Research.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9(1), 143-168. 

  10. Joint Action with Related Departments(2017). A Study on the Spreading of Korean Maker Space to Build the Foundation for Participating Innovative Start-ups. 

  11. Kelly, A.(2013). Why do we need one of those?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y in creating and promoting makerspaces. In ALIA National Library & Information Technicians Symposium. 

  12. Kim, I. S.(2007). Macro-Organizational Theory. Seoul: Trade management history, 130-141. 

  13. Koo, J. H., Han, J. P., Jeon, S. Y., & Lim K. W.(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Makerspace Construction Operation(KDI).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4. Kwon, H. N., & Kim, J. H.(2019). Invigorating Makerspaces in Korea, Empirical Analysis on Operating Components of Makerspac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4(2), 105-118. 

  15. Kwon, K. W., & Choi, J. I.(2014). The Effects of Value Innovation Culture on Individual Creativity: Focus on SMEs and Ventures Companies in Daejeon Reg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2), 129-146. 

  16. Kwon, K. W., & Choi, J. I.(2016). The Cross-Level Moderating Role of Open Communication Climate between Individual Creativity and Champion Behaviors. The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38(3), 73-95. 

  17. Lang, D.(2013). Zero to maker: Learn (just enough) to make (just about) anything. Maker Media, Inc. 

  18. Lee, S. M.(2017).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omestic and Foreign Maker Space Trends. NIPA Issue Reports, 25. 

  19. Rainwater, B.(2016). How Cities Can Grow: the Maker Movement. Washington, D.C: National League of Cities. 

  20. Robbins, S. P., & Judge, T. A.(2001).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6). New Jersey: Prentice Hall. 

  21. Saorin, J. L., Melian-Diaz, D., Bonnet, A., Carrera, C. C., Meier, C., & De La Torre-Cantero, J.(2017). Makerspac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to enhancecreative competence in engineering students. ThinkingSkills and Creativity, 23, 188-198. 

  22. Seo, J. W., & Choi, J. I.(2019). The Needs for a Start-up and Business Approach to Makerspace; Why Should we Develop Makerspace through Management Techniqu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4(3), 111-127. 

  23. Seong, J. E, Han, K. Y., & Jeong, S. H. (2016). A Case Study on Korean Living Labs for Local Problem-Solving.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16(2), 65-98. 

  24. Smith, A.(2017). Social innovation, democracy and makerspaces. SWPS 2017-10. 

  25. Taylor, N., Hurley, U., & Connolly, P.(2016). Making community: the wider role of makerspaces in public life. In Proceedings of the 2016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1415-1425. 

  26.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2016).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the Maker Movement. 

  27.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2017). 2017 Survey on Domestic Maker Movement. 

  28. The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2020). MakerSpace Construction and manage Project Performance Survey. 

  29. Thomas Jr, R. R.(1992). Managing diversity: A conceptual framework. Diversity in the workplace. 

  30. Van Holm, E. J.(2015). What are Makerspaces, Hackerspaces, and Fab Labs?. Available at SSRN, Retrieved from https://ssrn.com/abstract2548211 

  31. Wang, D.(2016). Grassroots Maker Spaces: A Recipe For Innovation?. In the value of design research 11th european academy design conference. 

  32. Wolf-Powers, L., Doussard, M., Schrock, G., Heying, C., Eisenburger, M., & Marotta, S.(2017). The Maker Movement and Urban Economic Developmen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83(4), 365-3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