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4 no.1, 2019년, pp.92 - 105  

김규범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강수민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이준백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지구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10개의 정점 0, 30 m 수심에서 수온, 염분, 용존산소 등 환경 요인과 현존량 및 출현종 등을 매월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제주 연안의 평균 수온은 0 m 13.7~25.9, 30 m $13.6{\sim}20.8^{\circ}C$의 범위로써 3월에 최소값, 8월에 최대값을 보였다. 평균 염분은 0 m 31.51~34.47, 30 m 33.03~34.47psu의 범위였으며, 7월에 최소값, 2월에 최대값을 보였다. 평균 용존산소는 0 m 6.12~8.10, 30 m $5.73{\sim}7.88mg\;L^{-1}$의 범위를 보였으며, 평균 Chl-a 량은 0 m 0.28~2.48, 30 m $0.44{\sim}1.01{\mu}g\;L^{-1}$ 범위를 보였고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연중 $5,300{\sim}639,900cells\;L^{-1}$ 범위로써 현존량은 전 정점에서 2월에 최소, 북부와 서부해역은7월, 남부와 동부해역은 8월에 최대를 보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총 종수는 362종으로써 규조류(Bacillariophyta) 181종, 와편모조류(Dinophyta) 147종, 그리고 기타 식물편모조류(phytoflagellates) 34종으로 구성되었다. 20%이상의 현존량 점유율 차지한 우점종을 계절별로 보면, 춘계(3월)와 추계(10월)에 Paralia sulcata와 Skeletonema costatum 두 종이었으며, 하계(8월)에는 Chaetoceros 속 6종류, 그리고 동계(12월)에는 Chaetoceros 속 2종류와 Thalassionema frauenfeldii가 우점하여, 각 우점종의 계절적 분포가 뚜렷하였다. 해역별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를 보면, 북부와 서부해역의 현존량 월변화가 비슷한 경향성을 보였으며, 남부와 동부해역이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이상의 종조성과 우점종의 천이는 이전 조사와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변화는 수온과 염분, 그리고 해류 등의 물리적 환경 변화에 기인된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round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with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Monthly samples were collected at 0 and 30 m depths of 10 stations from March 2015 to Feb...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Yoon, 2015)과 같이 특정 해역과 특정 계절의 연구가 일부 있었지만, 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제주 연안 전 해역 대상으로 한 최근의 연구 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연안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를 계절별, 해역별로 분석하고 환경요인과의 상관성을 분석하며, 과거1980년, 1990년대와 비교하여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플랑크톤은 생태계 피라미드에서 어떤 역활인가? 식물플랑크톤은 수서생태계의 1차생산자로서 생태계 피라미드의 기반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들은 광합성을 하여 각종 유기물을 화합하고 이들을 섭식하는 1차 포식자 군집구조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식물플랑크톤은 1차 포식자 군집구조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식물플랑크톤은 수서생태계의 1차생산자로서 생태계 피라미드의 기반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들은 광합성을 하여 각종 유기물을 화합하고 이들을 섭식하는 1차 포식자 군집구조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제주 연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해류는 대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 TWC), 제주난류(Jeju Warm Current, JWC) 그리고 양쯔강 유출수(Yangtze river Discharge Flow, YDF)이다.
제주도 주변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제주도 주변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연구는 1960년대 제주도 남방해역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출현종 조사(Choe, 1966)가 이루어진 이후, 한국해협의 조사정점에 포함된 연구가 진행되었다(Choe, 1969). 1970년대는 동중국해의 미세플랑크톤 분포와 서귀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계절변화 연구가 일부 이루어졌지만(Choe, 1978), 본격적인 연구는 1980년대부터 수행되기 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ffan, A., J.B. Lee, J.T. Kim, Y.C. Choi, J.M. Kim and J.G. Myung, 2007.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around the Chagwi-do off the West Coast of Jeju Island, Korea. Ocean Science Journal, 42(2): 117-127. 

  2. Choa, J.H. and J.B. Lee, 2000. B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al habitats around Moonsom, Cheju Island, Korea I. Environmental properties and community structures of phytoplankton. The Sea J. Korean Soc. Oceanogr., 5(1): 59-69 (in Korean). 

  3. Choe, J.S., 1978. A preliminary report on the distribution of microplankton in two different areas of the East China Sea. Korean J. Fish. Aquatic. Sci., 11: 123-127 (in Korean). 

  4. Choe, S., 1966. Phytoplankton studies in Korean waters I. Phytoplankton survey of the surface in the Korea Strait in summer of 1965. J. Oceanogr. Soc. Korea, 1: 14-21 (in Korean). 

  5. Choe, S., 1969. Phytoplankton studies in Korean waters IV. Phytoplankton in the adjacent seas of Korea. J. Oceanogr. Soc. Korea, 4: 49-67 (in Korean). 

  6. Choi, Y.C., Y.B. Go and J.B. Lee, 1989. Sea water characteristics around coast line of Cheju Island from June 1987 to April 1988. Korean Earth Sci. Soc., 10(1): 54-61 (in Korean). 

  7. Chung, C.S. and D.B. Yang, 1991. The primary productivit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26(3): 242-254. 

  8. Dodge, J.D., 1982. Marine Dinoflagellates of the British Isles. London: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303 pp. 

  9. Guiry, M.D. and G.M. Guiry, 2018. 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http://www.algaebase.org; accessed on 10 October 2018. 

  10. Hoppenrath M., S.A. Murray, N. Chomerat and T. Horiguchi, 2014. Marine Benthic Dinoflagellates - Unveiling Their Worldwide Biodiversity. Kleine Senckenberg-Reihe Vol. 54, 276 pp. 

  11. Jeon, D.S. and Y.B. Go, 1983. The distribution of chlorophyll a in the neighboring waters of Jeju Island. Bull. Mar. Res. Inst., Cheju Nat. Univ., 7: 23-27 (in Korean). 

  12. Lee, J.B., Y.C. Choi and Y.B. Go, 1989.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around the coast line of Cheju Island. Kor. Earth Sci. Soc., 10(1): 62-67 (in Korean). 

  13. Lee, J.B. and J. H. Choa, 1990.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t Hanrim and Sungsan harbor of Cheju Island, Korea. Bull. Mar. Res. Inst., Cheju Nat. Univ., 14: 9-24 (in Korean). 

  14. Lee, J.B., Y.B. Go and J.H. Choa. 1990.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round the coastline of Cheju Island, Korea. Korean J. Phycology, 5(2):159-171 (in Korean). 

  15. Lee, J.B., J.H. Choa, Y.B. Go and Y.C. Choi. 1993. Bioecological studies of the eastern coastal area in Cheju Island (II) Phytoplankton dynamics and primary productivity around U-do. J. Korea Earth Sci. Soc., 14(4): 458-466 (in Korean). 

  16. Lee, J.B., H.B. Koh, Y.B. Go and Y.C. Choi, 1995. Bioecological studies of the northern coastal area in Cheju Island -phytoplankton dynamics and primary productivity at the Hamduk area. Bull. Mar. Res. Inst., Cheju Nat. Univ., 19: 103-113 (in Korean). 

  17.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SA 144 pp. 

  18. Shim, J.H., 1994.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34 Marine Phytoplankton. Ministry of Education, Korea (in Korean). 

  19. Shim, J.H. and Y.C. Park, 1984.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in early summer. J. Oceanol. Soc. Korea, 19: 68-81. 

  20. Shim, J.H. and Y.C. Park, 1986. Primary productivity measurement using carbon-14 and nitrogenous nutrient dynamic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21(1): 13-24. 

  21. Tomas, C.R. ed., 1993. Marine Phytoplankton - a Guide to Naked Flagellates and Coccolithophorids. Academic Press, USA. 

  22. Tomas, C.R. ed., 1996. Identifying Marine Diatoms and Dinoflagellates. Academic Press, USA. 

  23. Yamaji, I., 1984. Illustrations of the Marine Plankton of Japan 3rd Edition. Hoikusha Publishing Co. Ltd., Osaka, Japan (in Japanese). 

  24. Yeh, S.W. and C.H. Kim. 2010. Recent warming in the Yellow/East China Sea during winter and the associated atmospheric circulation. Cont. Shelf. Res., 30: 1428-1434. 

  25. Yoon, Y. H., 2015.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Jeju marine ranching area (JMRA). J. Korea Academia -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7761-7772 (in Korean). 

  26. Yoon, Y.H., H. K. Rho and Y.K. Kim, 1990. Variable of naked phytoflagellates in the coastal water of Hamduk, northern Cheju Island during spring and summer 1989. Bull. Mar. Res. Inst., Cheju Nat. Univ., 14: 1-8 (in Korean). 

  27. Yoon, Y.H., H.K. Rho and Y.K. Kim, 1992.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population in the Hamduk port, Northern Cheju Island. Bull. Mar. Res. Inst., Cheju Nat. Univ., 16: 27-4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