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기호식품 중 인공감미료의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Sweeteners in Children's snack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6 no.4, 2011년, pp.448 - 453  

이유미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나병진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이유시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김수창 (식품의약품안전청) ,  이동호 (식품의약품안전청) ,  서일원 (식품의약품안전청) ,  최성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김동호 (서원대학교) ,  하상도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교주변에서 유통되는 어린이기호식품 중 빙과류, 음료류, 캔디류를 대상으로 인공감미료 4종(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의 사용실태와 사용량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어린이의 일일추정섭취량 (Estimated Daily Intake, EDl)을 산출하여 일일섭취허용량 (Acceptable Daily Intake, ADI)과 비교함으로써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어린이기호식품 섭취에 대한 인공감미료 4종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빙과류, 음료류, 캔디류의 평균 함량은 삭카린나트륨의 경우 각각 0.41, 0.47, 0.00 mg/kg, 아스파탐은 0.00, 20.54, 197.09 mg/kg, 아세설팜칼륨은 0.00, 28.10, 0.00 mg/kg, 수크랄로스는 9.99, 1.40, 0.00 mg/kg으로 나타났다. 섭취량 분석 결과, 그 수준이 평균적으로 매우 낮고 상위섭취군(95th)에서도 ADI의 0~2.6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어린이기호식품 섭취에 따른 어린이의 인공감미료에 대한 위해성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appropriate management for safety of children snacks. In this study, monitorings of food additives such as four kinds of sweeteners (sodium saccharin, aspartame, acesulfame potassium, sucralose) which are sold in children snacks at stationary store around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일반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인공감미료에 대한 섭취량 조사가 수행되고 있으나 학교주변에서 판매되는 어린이기호 식품의 인공감미료 함유현황에 대한 조사는 부족한 실정이다11).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주변에서 유통되는 어린이기호식품 (빙과류, 음료류, 캔디류)을 대상으로 인공감미료 중 우리나라에서 허용된 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의 사용실태와 사용량을 분석하고 어린이의 일일주정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EDI)을 산출하여 ADI와 비교함으로써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Lee, C.H., Park, S.K., Yoon, H.J., Park, J.S., Lee, J.O. and Lee, C.W.: Estimation of daily intake of artificial sweetener and antioxidants i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519-524 (2000). 

  2. Jung, K.H.: Research directions for food additives safety. J. Fd. Hyg. Safety, 4, 398-407 (2009). 

  3. Kim, Y.S., Lee, Y.H., Bang, J.H., Om, A.S., Shin, J.W., Kim, J.H., Ahn, H.J., Eom, M.O. and Lee, Y.J.: Managements on food additives by various foreigen organizations. Safe Food, 5, 33-37 (2010). 

  4. Choi, C.W., Jeong, J.Y., Park, H.S., Moon, J.H., Lee, K.H. and Lee, H.M.: Evaluation of toxicological data on food additives and guideline for ADI establishment - Polydimethylsiloxane as emulsifier -. J. Fd. Hyg. Safety, 24, 352-356 (2009). 

  5. Kim, H.Y., Yoon, H.J., Hong, K.H., Lee, C.H., Park, S.K., Choi, J.D., Choi, W.J., Park, S.Y., Kim, J.H. and Lee, C.W.: A study on the analytical method of artificial sweeteners i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4-18 (2004). 

  6. The Japanese Standards for Food Additives with Commentary. Sixth edition D-36-D-49, D-443-D-448 (1992).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food additives code (1996). 

  8. Lee, Y.M., Na, B.J., Lee, Y.S., Kim, S.C., Lee, D.H., Seo, I.W., Choi, S.H. and Ha, S.D.: Monitoring of tar color content in children's snack and its exposure assessment. J. Fd. Hyg. Safety, 26, 57-63 (2011). 

  9. Choi, Y.S., Chang, N.S., Joung, H.J., Cho, S.H. and Park, H.K.: A study on the guideline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in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Korean J. Nutr., 41, 561-572 (2008). 

  10. Kim, H.Y., Nam, H.S., Jung, J.H., Lee, J.H. and Ha, S.C.: Tar color in foods distributed throughout the Gyeong-In region - monitoring favorite good items of children near elementary schoo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43-250 (2008). 

  11. Han, Y.J., Kim, J.H., Park, S.Y., Oh, J.H., Jang, Y.M. and Kim, M.H.: Monitoring of food additives as an artificial sweetener on favorite foods of children. J. Fd. Hyg. Safety, 2, 185-191 (2010). 

  1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계절별 영유아, 어린이, 청소년의 식품 및 영양섭취량 심층연계분석, 식품의약품안전청 용역사업연구결과보고서 (2010). 

  13. Kim, I.Y., Du, O.J., Lee, S.D., Park, Y.H., Kim, M.S., Bea, C.H. and Chae, Y.Z.: Determination of six sweeteners in children's favorite foods by HPLC-MS/MS. J. Fd. Hyg. Safety, 2, 118-121 (2010). 

  14. Seo, K.Y., Kim, J.P., Cho, B.S., Gang, G.L., Yang, Y.S., Park, J.T. and Kim, E.S.: Study on safety of children snacks in School Zone. J. Fd. Hyg. Safety, 2, 154-161 (2009). 

  15. Kim, H.Y., Yoon, H.J., Hong, K.H., Choi, J.D., Park, S.K., Park, H.O., Jin, M.S., Choi, W.J., Park, S.Y., Lee, K.J. and Lee, C.W.: Estimated Dietary Intake of sodium saccharin and acesulfame potassium in Kore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804- 811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