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 구급대원의 업무관련성 근골격계 손상 위험성 평가 - 환자 들기 작업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risk with regard to patient lifting procedure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3 no.1, 2019년, pp.101 - 112  

손정원 (경기도 의왕소방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in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by evaluating ergonomic risk factors of patient lifting work-postures. Methods: Four procedures were evaluated: using long back-board (LBB) on the sit...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 들기 작업 자세에 대한 인간공학적 분석과 위험수준 평가를 통하여 추후 구급대원의 근골격계 손상 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향후 교육과정 변경 시 개선책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골격계 손상이란? 근골격계 손상(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이란 과도한 힘, 부적절한 자세, 반복적인 동작, 작업환경의 진동 및 온도, 소음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어깨, 팔, 다리, 허리 등의 신경과 근육을 비롯한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손상을 말한다[2].
근골격계 손상을 직업병으로 공식 인정한 연도는?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가 늦어지면 만성화되는 경향이 강하여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에서는 1960년 공식적으로 작업과 관련된 근골격계 손상을 직업병으로 인정하였다[3]. 우리나라에서는 근골격계 부담 작업 유해요인을 작업 자세 및 반복성, 부자연스러운 자세, 접촉 스트레스, 진동, 과도한 힘 등으로 정의하고 있으며[4], 구급업무는 무거운 환자를 올리고, 내리며, 밀고, 당겨서 옮기는 작업이 많으며 과도한 힘의 요구, 무리한 자세를 취하게 되어 근골격계 손상 위험 이 높다[5].
소방공무원이 근골격계 손상을 많이 호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한민국 119구급대원의 현장 활동은 환자상담 및 처치, 이송6로 되어 있고, 모든 과정을 대부분 2명의 대원(전국 58.1% 2인 탑승, 2018년 6월 30일 기준)이서 처리하고 있다[13]. 구급 현장은 주택뿐만 아니라 산, 강, 바다, 도로 등의 사람이 있는 모든 장소에 발생하며, 특히 Elevator(E/V)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장소에서의 환자 이송은 주로 긴 척추 고정판이나 가변형 들것을 사용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환자 들기 및 내리기, 당기기 동작 등의 부적절한 작업 자세와 과도한 힘의 사용으로 인해 근골격계 손상을 많이 호소한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National Fire Agency. Statistical Yearbook of National Fire Agency 2018. Available at: http://www.nfa.go.kr/nfa/releaseinformation/statisticalinformation/main/?boardIdbbs_0000000000000019&modeview&cntId16&category&pageIdx&searchCondition&searchKeyword 

  2. Kim MG, Kim KS, Ryoo JH, Yoo SW.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Korean male firefighter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3;25(9):11-7. https://doi.org/10.1186/2052-4374-25-9 

  3. Regehr C, Hill J, Glancy G. Individual predictors of traumatic reactions in firefighters. J Nerv Ment Dis 2000;188(6):333-9. https://doi.org/10.1097/00005053-200006000-00003 

  4. Kim JM, Suh BS, Kim DI, Kim WS, Cho HS, Kwon J et al. The study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job stress in firemen.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7;17(2):111-9. 

  5. Hong SG. The evaluation of musculoskeletal symptom and patient transport work of 119 EMTs by ergonomics tools. Fire Sci & Eng 2014;28(4):81-8. https://doi.org/10.7731/KIFSE.2014.28.4.081 

  6. Choi ES, Hong SG, Kwon HR, Koh BY, Lee KY, Jung HH et al. Standadization of a curriculum for paramedic students in South Korea. Korean J Emerg Med Ser 2017;21(2):17-37. https://doi.org/10.14408/KJEMS.2017.21.2.017 

  7. Seoul Metropolitan Fire Academy. Available at: http://fire.seoul.go.kr/school/pages/cnts.do?id1667&typeview&srchKey&srchVal&s_board_cate_seqno&page1&board_seqno&boardlist_seqno23485 

  8. Karhu O, Kansi P, Kuorinka I. Correcting working posture in industry: A practical method for analysis. Appl Ergon 1977;8(4):199-201. 

  9. Hignett S, McAtamney L.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Appl Ergon 2000;31(1):201-5. PMID: 10711982 

  10. Myong JP, Yim HW, Kim HR, Chae JM, Jung YK, Park JI. Depression symptom features of a fire-station workers by job. Korean J Occup Health 2007;46(3):85-94. 

  11. Jang YS, Lee TY, Bak SY. Analysis of the risk level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for workers at automative component factory using work sampling. J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08;16(4):77-88. 

  12. Lee JW. Comparison study of ergonomic posture analysis-comparison of cross section analysis and work samp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Seoul 2008, Seoul, Korea. 

  13. Fire prevention news. Available at: http://fpn119.co.kr/sub_read.html?uid103719§ionsc72 

  14. Kim DS, Moon MK, Kim KS. A survey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isk factors for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EMS) activities. J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10;29(2):211-6. https://doi.org/10.5143/JESK.2010.29.2.211 

  15.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 survey on human rights situation of the fire fighter. 2015;1:36-8. 

  16. Yoon JW. Muscuoloskeletal disorders of korean fire fighters: applicants for public worker's compensation from 2011 to 2013. Fire Sci & Eng 2016;30(3):133-7. https://doi.org/10.7731/KIFSE.2016.30.3.133 

  17. Son JW. Assessing fire fighters'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ris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14, Seoul, Korea. 

  18. Son JW, Park JB. Evalua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risk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duri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procedures in firefighter combat challenge. Korean J Emerg Med Ser 2017;21(3):59-71. https://doi.org/10.14408/KJEMS.2017.21.3.05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