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의 흡연실태 및 금연에 대한 태도에 관한 조사
Health care students smoking status and attitude towards smoking cessation 원문보기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dental hygiene science, v.2 no.2, 2019년, pp.13 - 20  

곽정숙 (목포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우승희 (목포과학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moking status, knowledge of oral health related to smoking, and attitude toward smoking cessation in 161 health students of the University in Jeonnam. This was done to examine the role of smoking cessation guidance as health care professionals after gradu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보건의료인으로 역할을 하게 될 보건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흡연 실태를 파악하고, 흡연관련 구강건강지식, 금연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흡연 예방 및 금연유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 보건의료인으로서 금연지도에 관한 역할에 대해 조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보건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흡연 실태, 흡연관련 구강건강지식도, 보건의료인의 금연에 대한 태도 등을 조사함으로써 흡연예방 및 금연유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 보건의료인으로서 금연지도에 관한 역할에 대해 조망해 보고자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우리나라는 제3차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을 통해 흡연의 예방과 흡연자의 금연,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금연 환경을 실현하도록 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통합 건강증진 사업12)에서도 심혈관질환 예방사업, 금주사업과 더불어 금연사업은 핵심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의료계에 종사할 보건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흡연실태를 파악하고, 흡연관련 구강 건강지식, 보건의료인의 금연에 대한 태도 등을 조사함으로써 흡연예방 및 금연유도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 보건의료인으로서 금연지도에 관한 역할을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 3차 국민 건강증진 종합계획에서 추진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특히, 구강분야에서의 흡연은 구강건강을 악화시켜 치주조직병 발생과 진행 촉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치아 상실을 초래하며, 치주조직병 치료의 결과에도 불량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3,4). 이러한 흡연 문제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는 계속적인 금연 운동과 건강증진종합계획 등을 통하여 금연에 관한 부단한 노력을 해오고 있으며 특히 제 3차 국민 건강증진 종합계획5)에서는 흡연의 예방과 흡연자의 금연,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금연 환경을 실현함으로써 흡연율을 낮추고 비흡연자를 보호한다는 목적 하에 성인을 비롯한 청소년의 흡연율과 흡연 시작률, 간접 흡연율을 낮추고 금연 구역을 확대한다는 지표를 설정하여 금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금연운동에 환자와의 접촉이 빈번한 보건의료인의역할은 필수적으로 기대되고 있으며6), 금연을 원하는 흡연자가 스스로의 힘으로 금연에 성공하는 경우는 5~7%에 불과하지만, 보건의료인에 의해 약물 치료와 더불어 금연을 권고하면 흡연자의 30%가 금연에 성공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7).
금연운동을 실시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구강분야에서의 흡연은 구강건강을 악화시켜 치주조직병 발생과 진행 촉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치아 상실을 초래하며, 치주조직병 치료의 결과에도 불량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3,4). 이러한 흡연 문제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는 계속적인 금연 운동과 건강증진종합계획 등을 통하여 금연에 관한 부단한 노력을 해오고 있으며 특히 제 3차 국민 건강증진 종합계획5)에서는 흡연의 예방과 흡연자의 금연,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금연 환경을 실현함으로써 흡연율을 낮추고 비흡연자를 보호한다는 목적 하에 성인을 비롯한 청소년의 흡연율과 흡연 시작률, 간접 흡연율을 낮추고 금연 구역을 확대한다는 지표를 설정하여 금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금연운동에 환자와의 접촉이 빈번한 보건의료인의역할은 필수적으로 기대되고 있으며6), 금연을 원하는 흡연자가 스스로의 힘으로 금연에 성공하는 경우는 5~7%에 불과하지만, 보건의료인에 의해 약물 치료와 더불어 금연을 권고하면 흡연자의 30%가 금연에 성공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7).
구강분야에서의 흡연이 일으킬 수 있는 문제는? 흡연은 세계적으로 건강증진정책과제의 최우선 순위로, 심혈관질환과 암, 당뇨병, 호흡기질환 등 전신적인 만성질환 뿐 아니라 구강암,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1,2). 특히, 구강분야에서의 흡연은 구강건강을 악화시켜 치주조직병 발생과 진행 촉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치아 상실을 초래하며, 치주조직병 치료의 결과에도 불량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3,4). 이러한 흡연 문제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는 계속적인 금연 운동과 건강증진종합계획 등을 통하여 금연에 관한 부단한 노력을 해오고 있으며 특히 제 3차 국민 건강증진 종합계획5)에서는 흡연의 예방과 흡연자의 금연,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금연 환경을 실현함으로써 흡연율을 낮추고 비흡연자를 보호한다는 목적 하에 성인을 비롯한 청소년의 흡연율과 흡연 시작률, 간접 흡연율을 낮추고 금연 구역을 확대한다는 지표를 설정하여 금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inden GJ, Mullally BH. Cigarette smoking and periodontal destruction in young adults. J Periodontol 1994;65(7):718-23. 

  2. 정세환 et al. 생애주기별 구강보건사업 발전방안 연구. 강릉대학교 산학협력단.건강증진기금사업지원단. 2007. 

  3. Rosen PS, et al. Influence of smoking on long-term clinical results of intrabony defects treated with regenerative therapy. J Periodontol, 1996;l67(11):1159-1163. 

  4. Grossi SG, et al. Effect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on healing after mechanical periodontal therapy. J Am Dent Assoc. 1997;128(5):599-607. 

  5. 보건복지부. 제3차 국민 건강증진 종합계획. pp.96-109, 2011. 

  6. Fiore MC. Smoking cessation: principles and practice based upon the AHCPR Guideline, 1996.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Ann Behav Med. 1997;19(3):213-219. 

  7. Richmond RL. Physicians can make a difference with smokers: evidence-based clinical approaches. Int J Tuberc Lung Dis. 1999;3:100-112. 

  8. Lee HO, Kim AJ. Analysis of Smoking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Practice in Health and on-Health Related Majors. J Dent Hyg Sci 2014;14(2):183-190. 

  9. Lee JH, Jeon ES: A study on the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pattern and interest of oral health care according to smoking or not and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Korean J Health Serv Manag 2011;5:169-177. 

  10. Ji MG. The Effec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Self-efficacy and Smoking Knowledge on Their Perception on Guidance for Antismoking. J of Dental Hygiene Science. 2009;9(1):25-34. 

  11. Kim HK, et al. A Research on the Actual Smoking State and Awareness of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J of Dental Hygiene Science. 2009;9(2):241-247. 

  12. 보건복지부. 2019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설명회.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 개발원, pp.35, 2019. 

  13.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27602&SEARCHKEYTITLE&SEARCHVALUE%EC%B2%AD%EC%86%8C%EB %85%84+%ED%9D%A1%EC%97%B0%EC%9C%A8 

  14. Son, EJ, Jang KA.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ing attitude according to smoking experience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5;15(5):805-11. 

  15. 곽정옥. "일부 대학생의 흡연실태와 그 관련요인 분석,"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5;.2(12): 120-135. 

  16. Lee HK, et al. A Survey on Related of College Women's Smoking experience in a Certain Area and their Awareness of Oral Health. J Korean Acad Dental Hygiene Education. 2006;6(2):143-151. 

  17. Meade TW, Wald NJ. Cigarette smoking patterns during the working day. Brit J Prev Soc Med. 1977;31(1):25-29. 

  18. Seo CK. Smoking-free policy and role of Local govern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ukmin University, Seoul, 2005. 

  19. Lee US, Seo HK.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in Korea. J Korean Acad Fam Med. 2007;.28(1):39-44. 

  20. Kim JS, et al. Smoking cessation counselling activity among nurses in the community. J Korean Community Nurs. 2003;14(2):211-222. 

  21. Lee SL, et al. Smoking condition of students in dental hygiene and relations with self-esteem in a local district. J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2;12(1):123-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