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전구조물의 자산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설물분류체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Asset Management System for Power Generation Structure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0 no.2, 2019년, pp.113 - 118  

전석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정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안진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창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유지관리는 기존 시설물의 안전진단 등을 통한 구조물의 안정성 위주의 관리에서 시설물의 성능을 평가하여 관리하는 자산관리 개념으로 추세가 바뀌어 가고 있다. 시설물의 자산관리를 위해서는 시설물의 유지관리 및 서비스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분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발전 시설물의 경우 복합구조물로 매우 복잡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국내 통합 건설분류체계 형식을 반영하여 발전 시설물을 시설, 공간, 부위, 요소로 구분하고 보일러 건물을 사례로 하여 분류를 실시하였다. 본 분류체계는 시설물의 환경조건 등을 반영한 열화조건을 반영하기 위해서 기존의 분류체계에서는 볼 수 없는 방향, 내부, 외부 등을 추가하여 분류하였다. 이는 발전구조물의 특성상 해안가에 위치하고 비례 염분 및 습도 등의 환경조건에 따라 열화속도를 반영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류체계는 발전시설물의 자산관리를 위한 전산시스템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게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maintenance concept of infrastructure has been changed from the stability management of the structure determined by the safety inspection of the existing facilities to the asset management related to evaluating and managing the performance of the facilities. For management of the prope...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전시설물의 보일러 건물을 대상으로 부재의 종류(주기둥, 보조기둥, 사재), 방향(동, 서, 남, 북), 위치(내부, 외부, 상, 하 등)을 고려하여 관리할 수 있는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본 분류체계의 장점은 보일러 건물 어느 위치에 있던 통일된 분류기준을 토대로 안전진단, 유지관리 이력, 서비스수준 평가 등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자산관리를 위한 전산시스템을 구축하는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차후 연구는 이를 토대로 발전구조물의 자산관리를 위한 절차분석과 유지관리 정보의 흐름을 반영하여 전산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국내 발전시설물의 유지관리와 자산관리를 위해 전산시스템의 개발에 앞서 이와 관련된 정보를 통합하기 위한 방안으로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발전시설물은 주로 강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어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 [Table 1]과 같이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의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통합건설분류체계의 분류기준을 토대로 발전시설물의 자산관리 및 유지관리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제시한다.
  • 본 절에서는 화력발전소의 핵심 시설인 보일러 건물을 대상으로 강구조물의 분류 사례를 제시한다. 대분류에 해당하는 기둥위치 선정은 주기둥과 보조기둥을 두 가지로 분류하여 나뉘었고, 주기둥은 시설물 상부에서 재하되는 여러 종류의 하중을 하부로 전달하는 요소로서 하중이 행해지는 부재를 주기둥으로 구분을 하였고, 보조기둥은 작업자 및 관리자가 시설물에 대해 정비 및 관리하기 위하여 순찰할 수 있는 통로 및 기타 기기들을 지탱하는 부재를 보조기둥으로 구분하였다.
  • 따라서 발전 시설물의 자산관리를 위해서는 시설물의 유지관리 이력과 서비스수준(Level of Service)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를 통합하여 전산화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정보분류체계 형식을 반영하여 시설물을 시설, 공간, 부위, 요소로 구분하고 유지관리 정보 등을 연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본 분류체계는 시설물의 환경조건 등을 반영한 열화조건을 반영하기 위해서 발전시설물의 위치(방향), 내부, 외부, 상층, 하층 등을 추가하여 시설물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가 어떻게 되나요? 국내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는 선진외국의 분류방향인ISO체계와 Uniclass체계를 기초로 하였으며,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시설물(Facility)분류, 공간(Space)분류,부위(Elements)분류, 공종(Works)분류, 자원(Resources)분류로 5개 파셋으로 구성되었고(Jung et al., 2009), 구성형태는 [Fig.
건설정보 분류체계가 가져야하는 특징은 무엇인가요? 건설정보 분류체계란 가공되어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형태의 건설관련 정보를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체계화함으로서 설계, 공사계획 및 관리와 전반적인 사업관리 업무 등 여러 형태의 건설행위에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활용된 정보는 다시 일정한 기준에 따라 축적, 가공, 분석시키는 것으로 정보가공의 매개역할을 수행한다. 즉, 건설 산업의 업무 발생에 따라 나타나는 건설정보를 업무 주체별, 업무 흐름별, 사업 형태별 정보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설정되어야 하는 것이 건설정보의 분류이며, 이는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는 각종 건설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구성 체계 이어야 한다.
발전시설물 관리에 체계적인 분류와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발전시설물은 사회 인프라 시설물에 비해 그 규모가 크고 매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시설물의 관리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분류와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안전진단 등을 통한 시설물의 안전성과 내구성 위주의 관리에서 시설물의 특성을 반영한 성능위주의 자산관리 개념으로 점차 유지관리방법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Park, S.H., Kwon, T.H., Kim, J.M., and Lee, S.H. (2016). "A Framework for a Domestic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Manual." Journal of Com 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29(4), pp. 327-334. 

  2.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10). "Development of Asset Management Framework to Improve Performance and Service-Efficiency of Bridges." 

  3. Cho, G.H., and Ju, K.B. (2015). "Development on Extension Contents of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for Containing BIM Elem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7), pp. 4942-4949. 

  4. Cho, G.H., Ju, K.B., and Song, J.G. (2014). "Improvement of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for Applying BI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0), pp. 6379-6387. 

  5. Jung, Y.S., Kim, Y., Kim, M., and Ju, T.W. (2013). "Concept and Structure of Parametric Object Breakdown Structure (OBS) for Practical BIM."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3), pp. 88-96. 

  6. Hyun, J.H., Yang, B.S., and Moon, S.W. (2012). "Development of Urban Metro Maintenance Facility System Using Construction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3(4), pp. 69-77. 

  7. Park, J.D., and Kim, J.Y. (2012).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System of the BIM-Librar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8(5), pp. 119-126. 

  8. Kim, C.H., and Kim, J.Y. (2012).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System of the BIM-Librar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8(5), pp. 119-126. 

  9. Jung, J.S., and Kim, D.H. (2009). "Architecture Materials ;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onstruction Information ; Classification of Materia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12), pp. 191-198.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1). Application criteria of Integrate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