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용 치약의 세포독성 평가의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cytotoxicity evaluation of adult dentifric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3, 2019년, pp.305 - 312  

최유리 (한림성심대학교 치위생과) ,  심연수 (선문대학교 치위생학과) ,  장선옥 (한림성심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치약의 성분이 구강 내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활성도, 세포독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일반치약 6종, 미백치약 3종, 천연치약 2종, 양성대조군으로 SLS(sodium lauryl sulfate)를 사용하였다. Immortalized human gingiva fibroblast cell 을 사용하여, 세포활성도 평가를 위하여 WST test, 세포 독성평가를 위해 Agar diffusion test를 시행하였다. 일반치약그룹, 미백치약그룹, 천연치약그룹 순으로 세포 생존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Agar diffusion test는 일반치약그룹과 미백치약그룹은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낸 반면 천연치약그룹은 낮은 독성을 나타냈다. 세포핵염색 결과 세포모양과 핵활성도 또한 천연치약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고, 미백치약, 일반치약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치약의 사용목적에 따라 나누어지는 종류와 성분별 세포독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 치약의 자세한 성분표기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ffect the cell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dentifrice. For the study, 6 kinds of general dentifrice, 3 kind of whitening dentifrice, 2 kinds of natural dentifrice and SLS(sodium lauryl sulfate) of positive control group. Immortalized human gingiva fibroblast cell was u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치약마다 전 성분을 표기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시판되고 있는 성인용 치약을 제조사에서 제시한 내용에 따라, 일반 치약, 미백 치약, 천연치약으로 구분하여 제품을 평가하고자하였으며 구강 내에 접촉되는 시간과 횟수에 따라 독성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실제 구강점막에서 나타나는 독성이 임상적으로 나타나지는 않더라도 세포독성 결과에 따라 구강점막에 나타나는 자극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리라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성인용 치약 제품의 세포활성도와 세포 독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 하지만, 치약마다 전 성분을 표기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시판되고 있는 성인용 치약을 제조사에서 제시한 내용에 따라, 일반 치약, 미백 치약, 천연치약으로 구분하여 제품을 평가하고자하였으며 구강 내에 접촉되는 시간과 횟수에 따라 독성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실제 구강점막에서 나타나는 독성이 임상적으로 나타나지는 않더라도 세포독성 결과에 따라 구강점막에 나타나는 자극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리라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성인용 치약 제품의 세포활성도와 세포 독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포 독성 평가을 하기위해 사용한 방법은 무엇인가요? 직접적인 치약의 독성평가를 위하여 ISO 7405[16]에 따라 agar diffusion assay를 시행하였다. 세포 부유액을 petri-dish에 10 mL (2.5×105 cells/mL)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액의 단층 배양 상태 (배양 용기 면적의 80% 이상)와 세포의 형태를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medium(배지 4 mL : FBS 1 mL : agar 5 mL)을 10 mL 첨가 후 굳혔다. Agar가 굳으면 염색용액 (Neutral red :PBS = 300 µL : 10mL)을 filtering(200 µm filter) 하여 주입하고 은박지로 밀폐 후 30분 동안 CO2 Incubator에 보관하였다. 이후 현미경으로 염색 여부를 확인한 후 염색 약을 제거하고 PBS 10 mL로 씻어내고 건조하고 시험군과 대조군 시편을 위치한 후 24시간 동안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시편 주변에 세포 사멸 zone의 크기에 따라 0-5로 grade를 구분하였다(Table 2 참고, ISO 10993-5 [17]).
본 연구에서 치약에 들어있는 세제란 무엇인가요? 치약의 주성분 중 세정제는 세마제의 세정작용을 보완하여 치아 표면을 깨끗이 세정하는 작용을 하는 성분 으로 세제(cleaning agent)라고도 하며[2], 세정제는 물의 표면장력을 낮추고 치아 표면에 부착된 물질에 침투하여 떨어지기 쉬운 조건을 만들며,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음식물잔사를 유화시키고 부유시켜 세정작용을 발휘 하는 계면활성제(surface active agents)라고도 한다[4]. 계면활성제는 사용하는 동안 거품을 형성하여 상쾌하고 부드러운 느낌이 나타나게 한다.
세치제에 배합하는 가장 흔한 성분은 무엇인가요? 현재 세치제에 배합하는 가장 흔한 세 가지의 합성계 면활성제는 sodium lauryl sulfate와 sodium N-lauryl sarcosinate 및 sodium cocomonoglyceride sulfonate이다. 이 중에서 낮은 표면장력으로 치약이 치아 표면 위로잘 흐르게 해주고, 현재의 치약 성분들과도 친화성을 가지는 sodium lauryl sulfate(SLS)와 같은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가장 많이 세치제에 배합되는 합성중성세제이며[4], 약간의 항균작용도 나타낸다[4,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 Y. Kang et al. (2014). Preventive Dentistry, 5th edn., Koonja. 

  2. B Cvikl & A Lussi,R Gruber. (2015). The in vitro impact of toothpaste extracts on cell viability. European Journal of Oral Science, 123, 179-185. 

  3. M. Fiume et al. (2010). Final Report on the Safety Assessment of Sodium Cetearyl Sulfate and Related Alkyl Sulfates as Used in Cosme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Toxicology 29 (Supplement 2) 115S-132S. DOI: 10.1177/1091581810364665. 

  4. H. G. Kwon et al. (2006). Primary Preventive Dentistry, 6th edn, Daehannarae, Seoul. 

  5. G. C. Ryu, H. J. Park, J. M. Kim & J. B. Lee. (2001). Comparsion of protein removal effects and cytotoxicity in the L-929 cell line by tyloxapaol and tromthamine. The Korean Journal Vision Science, 3(1), 61-68. 

  6. N. Evelyn, E. C. Daniela, K. V. Olav & C. J. Anne. (2007). Dual effects of sodium lauryl sulphate on human oral epithelial structure. Experimental Dermatology, 16(7), 574-579. 

  7. S. Jenkins, M. Addy & R. Newcome. (1991). Triclosan and sodium lauryl sulphate mouthrinses. (II). Effects of 4-day plaque regrowth.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 18, 145-148. 

  8. M. Fiume et al. (2010). Final report on the safety assessment of sodium cetearyl sulfate and related alkyl sulfates as used in cosmetics. Internationl Journal of Toxicology, May; 29 (3 Suppl), 115S-32S. DOI : 10.1177/1091581810364665. 

  9. S. Marrakchi & H. I. Maibach. (2006). Sodium lauryl sulfate-induced irritation in the human face: regional and age-related differences. Skin Pharmacology and Physiology, 19(3), 177-180. DOI : 10.1159/000093112. 

  10. B. B. Helofson & P. Barkwoll. (1996). Oral mucosal desquamation caused by two toothpaste detergents in an experimental model. European Journal of Oral Science, 104, 21-26. 

  11. A. B. Shaare, G. Rolla & P. Barkvoll (1997). The influence of triclosan, zinc or prophylene glycol on oral mucosa xposed to sodium lauryl sulphate. European Journal of Oral Science, 105, 527-533. 

  12. M. J. Choi, J. Y. Park, M. Y. Lim, J. Shuai, J. Heo, D. Y. Jung & H. S. Ryu. (2017). Factors affecting usage of toothpaste in infants and preschoolers. Journal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7, 49-62. DOI :10.13065/jksdh.2017.17.01.49 

  13. S. M. Levy, T. J. Maurice & J. R. Jakobsen. (1993). Dentifrice us amo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American Dental Association. 124(9), 57-60. 

  14. R. P. Illeperuma et al. (2012). Immortalized gingival fibroblast as a cytotoxicity test model for dental materials. J. Mater. Sci. Mater. Med, 23, 753. 

  15.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 10993-12. (2012). Biological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Part 12: Sample Preparation and Reference Materials. 

  16.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 7405. (2008). Dentistry-Evaluation of Biocompatibility of Medical Devices Used in Dentistry. 

  17.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 10993-5. (2009). Biological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 - Part 5: Tests for in vitro cytotoxicity. 

  18. N. Zhou, H. M. Wong & C. McGrath. (2019). Oral health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al health care needs. Oral Diseases. Feb 6. DOI : 10.1111/odi.13057. [Epub ahead of print] 

  19. O. I. Karadaglioglu, N. Ulusoy, K.H.C. Baser & A. Hanoglu, I. Sik. (2019). Antibacterial Activities of Herbal Toothpaste Combined with Essential Oil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Pathogens, Feb 1;8(1), pii: E20. DOI : 10.3390/pathogens8010020. 

  20. A. Green, S. Crichard, N. Ling-Mountford, M. Milward, N. Hubber, S. Platten, A.K. Gupta & I. L. C. Chapple. (2019). A randomised clinical study comparing the effect of Steareth 30 and SLS containing toothpastes on oral epithelial integrity (desquamation). Journal of Dentistry, Jan;80 Suppl 1, S33-S39. DOI : 10.1016/j.jdent.2018.11.005. 

  21. J. Aramaki, I. Effendy, R. Happle, S. Kawana, C. Loffler & H. Loffler. (2001). Which bioengineering assay is appropriate for irritant patch testing with sodium lauryl sulfate? Contact Dermatitis, 45, 286-290. 

  22. B. L. Kuehl, K. S. Fyfe & N.H. Shear. (2003). Cutaneous cleansers. Skin therapy Letter, 8. 

  23. E. Newburn, Dentifrices. In: Newburn A, ed. cariology. Chicago: Quintessence, 1989, 274-290. 

  24. C. M. Healy, A. T. cruchley, M. H. Thornhill & D. M. W. illiams. (2000). the effect of sodium lauryl sulphate, triclosan and zincon the permeability of normal oral mucosa. Oral Disease. Mar, 6(1), 107-111. 

  25. M. A. Jeong. (2010) Relationship of sodium lauryl sulfate content to the effects of dentifrice on halitosi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5, 902-905. 

  26. E Neppelberg, D. E. Costea, O. K. Vintermyr & A. C. Johannessen. (2007). Dual effects of sodium lauryl sulphate on human oral epithelial structure. Experimental dermatology, 16, 574-579. 

  27. S. O. Jang, Y. S. Shim & Y. R. Choi. (2016). Evaluation of cytotoxicity of child toothpaste. Science Advanced Materials, 8(2), 331-335. 

  28. G. B. Nam, S. A. Cho, J. C. Cho, C. H. Kim, Y. J. Kim, J. H. Lee & K. H. Shin. (2012). The New in vitro Oral Irritation Test Method for Toothpaste using YD-38 Oral Mucosal Cell Line.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38(4), 305-310. 

  29. H. Y. Jeong & Y. S. Kim. (2010). Variations of oral cavity environment according to sodium lauryl sulfate concentration of toothpast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8), 240-248. 

  30. J. L. Jensen & P. Barkvoll. (1998).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dry mouth. Oral mucosal diseases Annals new york academy of sceince. Apr15, 842, 156-162. 

  31. J. W. Cho, S. C. Shin, Y. J. Jee, H. Y. Jung, J. H. Park & S. Y. Kang. (2006). Effect of Sodium Lauryl Sulfate Non-containing Dentifrice on Salivary Flow and Oral Malodor. Internal Journal of Clinlical Preventive Dentistry, 2(3), 178-188. 

  32. M. H. Cho, R. Kim & S. H. Yu. (2017). A Research on Satisfaction of Toothpaste Added Natural Herbal Extrac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39(2), 111-118. 

  33. S. B. Lee, B. H. Kim, H. R. Jung, S. H. Lee, H. J. Kwon, H. J. Bae & M. H. Yoon. (2016). Monitoring of Antimicrobial and Preservatives in Dentifrice.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31(4), 272-2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