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기 강우 시 소규모유역에서 생태저류지의 유출 저감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Outflow reduction effect of Bio-retention in Small watershed during Short-term rainfal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2, 2019년, pp.434 - 442  

천종현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재문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장영수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신현석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 내 빈번히 발생하는 홍수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 방안으로 자연상태의 수문순환 체계를 회복하기 위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이 대두되고 있다. LID 요소기술 중 하나인 생태저류지는 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저류 및 침투하여 우수 유출수 및 비점오염물질 저감효과를 갖는 시설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유출저감효과에 대한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문 해석이 가능한 K-LIDM을 이용하여 소규모유역에서 생태저류지의 유출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시나리오를 구성함에 있어 생태저류지의 저류용량을 증가시키거나 유역과 생태저류지를 분할하였고 확률강우량을 활용하여 단기강우를 모의하였다. 분석결과 저류용량 증가에 따라 20%, 분산형 시스템에서 5~15% 이상의 유출 저감효과를 나타냈으며 향후 생태저류지의 저류깊이, 지반의 침투능 및 유출부의 직경과 높이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다면 생태저류지의 물순환 효율성에 관하여 보다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w Impact Development(LID) techniques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countermeasure to solve frequent flood damage in urban areas. LID is a techniques for returning to the natural hydrological cycle system by infiltrating the runoff from the impervious surface into the soil. The Bio-retention,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유역에서 생태저류지의 정량적 유출 저감효과 분석을 위하여 K-LIDM을 이용하여 저류 용량 증가에 따른 유출 저감효과와 분산형 생태 저류지 시스템에서 유출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불투수유역을 분할하여 병렬식으로 소규모 저류지를 설치하였을 경우 각 저류지의 저감계수는 낮아지지만 부하되는 유입량이 감소함으로 총 유출저감효과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소규모 단위화 및 생태저류지의 분할을 통해 유출량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에 따른 수문순환체계 왜곡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의 요소기술인 생태저류지를 이용하여 단기 강우 시 소규모유역에서 생태저류지의 유출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생태저류지의 저류특성을 반영하는 유입유량과 수위에 대하여 검보정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검정 및 보정에는 생태저류지의 저류량 산정 실험을 통해 얻은 유입유량과 수위 관측값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WMM을 LID 시설에 적용하였을 때 생기는 한계는 무엇인가? 4에 보이는 한국형 저영향개발 해석모형(Korea Low Impact Development Model, K-LIDM)은 LID 시설의 수리·수문학적 거동 해석이 가능한 모형으로 강우-유출 과정에서 복합적인 LID 시설의 적용이 가능하다. 기존의 연구에 많이 사용되었던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은 도시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출량 및 오염물질 산정에는 효과적이지만 LID 시설 적용 시 한계가 발생하게 되는데, LID를 유역면적에 따른 비율로 적용함으로써 LID 시설간의 연계 부분이 미흡하여 연계 시 발생하는 수리·수문학적 거동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Western Washington Hydrology Model(WWHM)은 유역유출 연속모의를 통해 LID의 효과분석에 특화된 모형이지만 적용이 미국에 한정되어 국내에서 적용의 한계가 발생한다.
생태저류지란 무엇인가? 자연상태의 강우-유출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여 빗물이 우수관으로 들어가기 전 침투, 여과 및 저류 과정을 통해 유출량과 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다. LID의 요소 기술 중 하나인 생태저류지는 도시화된 유역의 빗물관리를 위한 자연 및 공학적 요소가 결합된 시설로 강우-유출 발생 시수량 및 수질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분산형 저류지이다. 생태저류지는 빗물유출 저감시설 중 저류형 시설로써 소규모 유역의 부지 내 건물, 공원, 공공시설 등에 설치되어 홍수량을 분담하게 하는데 우수를 저류하여 첨두유량 감소 및 첨두시간을 지연한 다음 천천히 방류하여 홍수조절의 효과를 갖는다.
생태저류지의 효과는 무엇인가? 생태저류지란 강우 시 유출 발생 지역에서 우수의 침투 및 일시적인 저류를 통해 첨두유출량을 저감하고 도달시간을 지연하여 유역 내 침수피해와 하류지역의 홍수 피해를 예방하는 분산형 저류지이다. 또한 초기 우수유출수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여과시켜 수질개선에도 기여하고 땅속으로 침투된 우수는 지하수를 함양하는 효과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Lee, J. J., Kwak, C. J., "A Development of Simplified Design Method of the Detention Pond for the Reduction of Runoff.",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7, pp. 693-700, June, 2008. DOI: https://doi.org/10.3741/jkwra.2008.41.7.693 

  2. Lee, J. J., Kim, H. N., "Analysis of Rainfall Runoff Reduction Effect Depending upon the Location of Detention Pond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8, no. 5B, pp. 535-546, September, 2008. 

  3. Choi, C. H., Choi, D. G., Lee, J. K., Kim, S. D., "An Hybrid Approach for Designing Detention and Infiltration-based Retentions to Promote Sound Urban Hydrologic Cyc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3, no. 1, pp. 1-8, January, 2011. DOI: https://doi.org/10.4491/ksee.2011.33.1.001 

  4. Byeon, C. W., Park, H. J., Lee, H. C., "A Monitoring of Reduction of Peak Runoff,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Effectiveness of Dispersal Detention System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KOSHAM, vol. 13, no. 1, pp. 327-336, February, 2013. DOI: https://doi.org/10.9798/kosham.2013.13.1.327 

  5. Lee, O. J., Jang, S. H., Kim, H. T., Kim, S. D., "Size Determination Method of Bio-Retention Cells for Mimicking Natural Flow Duration Curve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8, no. 4, pp. 424-431, November, 2016. DOI: https://doi.org/10.17663/jwr.2016.18.4.424 

  6. Hong, J. S., Kim, L. H., "Assessment of Performances of Low Impact Development(LID) Facilities with Vegetation.",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 3, no. 2, pp. 100-109, June, 2016. DOI: https://doi.org/10.17820/eri.2016.3.2.100 

  7. Davis, A. P., "Field Performance of Bioretention: Hydrology Impact.",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3, no. 2, pp. 109-117, February, 2008. DOI: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2008)13:2(90) 

  8. Brown, R. A., Hunt, W. F., "Impacts of Construction Activity on Bioretention Performance.",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5, no. 6, pp. 386-394, June, 2010. DOI: https://doi.org/10.1061/(asce)he.1943-5584.0000165 

  9. Denich, C., Bradford, A.,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from Bioretention Areas Using Weighing Lysimeter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5, no. 6, pp. 522-530, June, 2010. DOI: https://doi.org/10.1061/41009(333)96 

  10. Winston, R. J., Smolek, A. P., Dorsey, J. D., Hunt, W. F., "Modeling Bioretention Hydrologic Performance using DRAINMOD under Current and Future Climate Scenarios.", Modelisation/Models Proceedings of Novatech 2016. 

  11. Park, J. P.,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low impact development analysis model based on HSP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s Thesis, pp. 1-186, February, 2018. DOI: http://www.riss.kr/link?idT14729036 

  12. Jang, Y. S., Shin, H. S., "The study on Installation Areas of Permeable Pavement for Stormwater Contro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1, pp. 104-109, November,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11.1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