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노인의 청력장애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ring Handicap 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the Elderly at Hom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2, 2019년, pp.571 - 579  

이영미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노인복지보건학과) ,  하은호 (중원대학교 의료보건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노인의 청력장애 정도를 살펴보고, 청력장애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8월 21일부터 9월 7일까지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3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재가노인 27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S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청력장애와 우울, 자기효능감 평균 점수는 각각 10.91(${\pm}19.83$), 4.75(${\pm}3.90$), 46.87(${\pm}6.75$) 등으로 나타났다. 청력장애와 우울은 양의 상관관계(r=.228, p<.001)가 있었고 자기효능감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284, p<.001), 우울과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26, p<.001)가 있었다. 청력장애는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beta}=-.161$, p=.008)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7.2%로 측정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력장애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다학제적 중재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vels of hearing handicap, depression, and self-efficacy,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earing handicap 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home-based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7. Two hundred and seventy eight elderly living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생을 마무리하는 노년의 시기에서 자아통합감의 성취는 지나온 삶에 대한 충만감, 생활만족, 죽음에 대한 수용을 가져와 안정된 노년기를 보낼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한 기반으로 신체적 건강을 비롯하여 정서적 건강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청력장애 정도를 확인보고,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봄으로써, 지역사회 노인의 감각 및 정서적 건강을 위한 간호중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청력장애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청력장애, 우을, 자기효능감 정도를 확인하고, 청력장애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다학제적 중재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재가노인들을 대상으로 청력장애, 우울,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청력장애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력장애로 인하여 우울과 자기효능감 감소를 겪는 노인에게 해결책이 될수 있는 방법은? 또한 본 연구는 청력장애 노인이 보청기를 착용한 경우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보고한 Dawes 등[24]과 Dullard와 Cienkowski[23] 등의 연구와 의미가 유사하다. 그러므로 보청기 착용으로 청력장애를 감소시킬 수 있는 노인이라면 보청기를 적절한 시기에 착용할 수 있도록 재정적, 물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청력장애 이외에 주관적 경제수준과 규칙적 운동 등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이는 65세 이상 노인 334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경제상태와 성공적 노화를 조사한 Lee[4]의 연구와 같은 맥락으로 노인의 경제상태는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한편, 자기효능감은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로 하는 행위를 자신이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으로[12], 노년층에서는 심리적 안정에 영향을 미쳐 성취 욕구를 유발함으로써 적극적인 신체활동 참여 뿐만 아니라 우울감의 해소와 노후준비에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13]. 건강상태를 유지ㆍ증진하기 위해서는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자기효능감은 노년기의 대표적인 고통요인으로 손꼽히는 질병의 이환이나 악화를 지연시키면서 건강증진행위를 동기화 하고 실행에 이르도록 하는 강력한 변수로 보고되고 있다[14,15].
청력의 저하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평균수명이 연장되면서 고령인구가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노화와 함께 변화를 가져오는 대표적인 신체기관으로 감각기계를 꼽을 수 있다. 그중에서도 청력의 저하는 청각기관과 중추 신경계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청력역치가 상승하고 어음분별력이 저하되며 소리의 위치감지능력이 떨어지게 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H. Kim, S. G. Yeo, "Presbycusis", Hanyang Medical Reviews, Vol.35, pp.78-83, 2015. DOI: http://dx.doi.org/10.7599/hmr.2015.35.2.78 

  2. J. S. Kim, B. S. Lee. "Hearing Status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25, No.2, pp.197-208, 2011. 

  3. M. Cherko, L. Hickson, M. Bhutta, "Auditory Deprivation and Health in the Elderly", Maturiras, Vol.88, pp. 52-57, 2016. DOI: https://doi.org/10.1016/j.maturitas.2016.03.008 

  4. Y. M. Lee, "Factors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airment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3, No.9, pp.3973-3982,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9.3973 

  5. B. M. Koo, "The Effect of Vision and Hearing Limitation on the Onset of Disability among Korean Elderly with the Consider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7, No. 1, pp.1-14, 2017. 

  6. K. S. Kim, E. Y. Shin, S. H. Joo, "The Effects of Vision and Hearing Funct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 17, No. 4, pp. 415-429, 2015. DOI: http://dx.doi.org/10.17337/JMBI.2015.17.4.415 

  7. M. Barnett, B. Hixon, N. Okwiri, C. Irungu, J.Ayugi, R. Thompson, J. B. Shinn, M. L. Bush, "Factors Involved in Access and Utilization of Adult Hearing Healthcare: A systematic Review", Laryngoscope, Vol.127, No.5, pp.1187-1194, 2017. DOI: https://doi.org/10.1002/lary.26234 

  8. H. J. Kim, B. H. Kim, O. S. Kim, "The Effect of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o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08",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23, No.6, pp. 584-594, 2011. 

  9. Y. M. Lee, "The Influence of Hearing Disability on Subjective Memory Complaint and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Korean society for Wellness, Vol.11, No.4, pp. 277-287, 2016. DOI: http://dx.doi.org/10.21097/ksw.2016.11.11.4.277 

  10. S. E. Lee, "Effects of Hearing Impairment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Mediating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Vol.26, No.3, pp.143-151, 2017. DOI: http://dx.doi.org/10.15724/jslhd.2017.26.3.013 

  11. D. Monzani, G. M. Galeazzi, E. Genovese, A. Marrara, A. Martini, "Psychological Profile and Social Behaviour of Working Adults with Mild or Moderate Hearing Loss", ACTA Otorhinolaryngologica Italica, Vol.28, No.2, pp. 61-66, 2008. 

  12. H. S. Oh.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Women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3, No.4, pp. 617-630, 1993. 

  13. H. S. Kim, M. J. An, J. D. Kim, G. Kim,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self-efficiency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ife gymnastic to prepare for the old age",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32, pp.563-572. 2008. 

  14. H. S. Kim. J. S. Hur, "A Study of Influential Factor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Elderly: Focusing on Senior Citizens Living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0, No.4, pp.1129-1143, 2010. 

  15. G. A. Park, M. H. Oh,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Self Efficacy,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Participation to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20, No.1, pp.189-210, 2016. DOI: http://dx.doi.org/10.16884/JRR.2016.20.1.189 

  16. E. G. Jones, R. Renger, Y. Kang, "Self-efficacy for Health-related Behaviors Among Deaf Adult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30, No.2, pp. 185-192. 2007. DOI: https://doi.org/10.1002/nur.20196 

  17. I. M. Ventry, B. E. Weinstein, "The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 A New Tool", Ear and Hearing, Vol.3, No.3, pp.128-134, 1982. 

  18. S. N. Park, G. C. Han, Y. S. Cho, J. Y. Byun, J. E. Shin, H. S. Chu, B. C. Cheon, J. W. Chung, S. W. Chae, J. Y. Choi, "Standardization for a Korean Version of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Vol.54, No.12, pp.828-834, 2011. DOI: http://dx.doi.org/10.3342/kjorl-hns.2011.54.12.828 

  19. J. A. Yesavage, T. L. Brink, T, L. Rose, O. Lum, V. Huang, M. Adey, V. O. Leir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17, No.1, pp.37-49. 1983. DOI: https://doi.org/10.1016/0022-3956(82)90033-4 

  20. B. S. Ke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35, No.2, pp. 298-307, 1996. 

  21.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51, No.2, pp.663-671, 1982. DOI: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22. H. Y. Kim, A. L. Kim, "A Correlational Study on the Self Efficacy, Daily Living Stress, Health Related Behavior and Ego Integr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6, pp.3061-3073, 2012. 

  23. B. A. Dullard, K. M. Cienkowski,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Aid Self-efficacy and Hearing Aid Management", SIG 7 Perspectives on Aural Rehabilitation and Its Instrumentation, Vol.21, pp.56-62, 2014. DOI: http://dx.doi.org/10.1044/arri21.2.56 

  24. P. Dawes, R. Omalley, K. J. Cruickshanks, D. R. Moore, H. Fortnum, J. M. Edmondso, A. McCormack, K. J. Munro, "Hearing Loss and Cognition: The Role of Hearing AIDS, Social Isolation and Depression", PLOS one, Vol.10, No.3, pp.e0119616, 2015. DOI: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19616 

  25. A. McMullan, R. J. Kelly-Campbell, K. Wise, "Improving Hearing Aid Self-efficacy and Utility through Revising a Hearing Aid User Guide: A Pilot Study", American Journal of Audiology, Vol.27, No.1, pp.45-56. 2018. DOI: https://doi.org/10.1044/2017_AJA-17-0035 

  26. R. J. Kelly-Campbell, A. McMilla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Aid Self-efficacy and Hearing Aid Satisfaction", American Journal of Audiology, Vol.24, No.4, pp.529-535. 2015. DOI: https://doi.org/10.1044/2015_AJA-15-0028 

  27. M. Pronk, D. J. Deeg, S. E. Kramer, "Hearing Status in Older Person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Depression and Loneliness? Results from the Longitudinal Aging Study Amsterdam", American Journal of Audiology, Vol.22, No.2, pp.316-320. 2013. DOI: https://doi.org/10.1044/1059-0889(2013/12-006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