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임기 여성의 치주질환 유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eriodontal Disease in Fertile Wom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2, 2019년, pp.580 - 586  

홍민희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20~44세의 성인 여성 2,134명을 대상으로, 가임기 여성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각 요인들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연령대(p<0.001), 교육수준(p<0.001), 결혼상태(p<0.001), 소득수준(p<0.05), 흡연(p=0.05), 출산경험(p<0.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만성질환 요인은 고혈압(p<0.001), 비만(p<0.001), 당뇨(p<0.001), 고콜레스테롤혈증(p<0.05), 저콜레스테롤혈증(p<0.001), 고중성지방혈증(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구강건강 행태요인은 치통(p=0.05), 교정치료(p<0.05), 저작불편(p<0.05)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살펴본 결과, 만성질환요인에서 정상군에 비해 비만군에서 1.576배, 당뇨군에서 2.569배 치주질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행태요인은 구강위생용품미사용자가 1.372배 치주질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좋은 여성에 비해 나쁜 여성이 1.614배 치주질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여성의 만성질환 중 당뇨병이 치주질환 가장 큰 위험도를 나타냈으며, 당뇨와 비만은 관련성이 크므로 치주질환 위험요인으로 중요한 변수라 사료된다. 이에 복합적인 만성질환과 치주질환의 위험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향후 여성의 치주질환을 위한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확대 및 구강보건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elected 2,134 fertile women aged 20 to 44 years as the final study subjects using the 6th source data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characteristics, chronic diseases and oral health behavior, and ...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가임기 여성의 일반적인 특성, 만성질환 유병 여부, 구강건강행태와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살펴본다.
  • 2. 가임기 여성의 만성질환 유병과 구강건강행태가 치주질환에 미치는 위험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임기 여성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각 요인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위험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객관적인 구강건강상태도 중요하지만, 개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1차 건강상태도 매우 중요한 요인이므로 개인의 구강건강에 관심을 갖고 좋은 구강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단면조사 자료로써 원인을 규명하는데는 한계가 있지만, 국내 대표성 있는 자료를 활용하여 보다 정교한 연구 설계로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가 치주질환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위험인자 중 하나라는 근거를 마련하는데 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본 조사의 목적은 여성의 건강수준, 구강건강행태에 대한 국가 및 시도 단위의 대표성과 신뢰성을 갖춘 통계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여성구강건강증진종합계획의 목표 설정 및 평가,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등 보건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가임기 여성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 행태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각 요인들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건강도가 떨어지는 원인은? 여성이 남성보다 일반적으로 평균수명이 5∼6년 길지만 각종 질병을 앓는 비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여성의 건강도가 떨어지는 원인으로는 월경, 임신, 출산, 폐경 등 여성 특유의 신체적 특징이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될 수 있다[1]. 여성만이 가지 는 임신과 출산으로 인하여 남성에 비해서 상실치아수도 많으며 무치악 비율도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2].
치주조직파괴의 일차적인 원인은? 치주조직파괴의 일차적인 원인은 세균의 만성 감염에 대한 숙주의 면역 반응으로 나타나는 치주조직의 염증반응이다. 따라서 치주질환의 치료방법은 구강위생관리, 치면세균막의 물리적, 화학적 제거와 면역반응의 증강을 통한 치주조직의 재생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왔다 [5].
전신건강과 구강질환의 관련성으로 치주질환의 잠재적 위험요인은? 과거에는 전신건강과 구강질환의 관련성을 단지구강에 부착을 잘하는 특이한 세균에 의한 감염의 결과로만 생각했을 뿐 전신건강에 구강상태가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고 하였다[10]. 하지만 현재 많은 연구에서 치주질환의 잠재적 위험요인 중 심혈관질환, 고혈압, 당뇨, 빈혈, 류마티즘 관절염 등으로 보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Women's health nursing care, Women's health nursing subject study meeting, 2006. 

  2. F. Scheutz, V. Baelum, M.I. Matee, I. Mwangosi. "Motherhood and dental disease" Community Dental Health, Vol.19, No.2, pp.67-72, 2002. 

  3. J. M. Choi. A Study on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Pregnant women about the Oral Health Care[Master's thesis] Univ. of Chung-ang. 2005. 

  4. K.Y Jang, Y. S. Hwang et al, Oral health education. Forth EDi:Komoonsa, 2011. 

  5. T. N. Greenstein, "Economic dependence, gender, and the division of labor in the home: A replication and extension" J Marriage and Family, Vol.62, No.2, pp.322-35, 2000. DOI: http://dx.doi.org./10.1111/j.1741-3737.2000.00322.x 

  6. B. A. Burt, S. A. Eklund. "Dentistry, dental practice, and the community", Elsevier Health Sciences, Sixth Edi, 2005. 

  7. A. Sheiham, B. Nicolau. "Evaluation of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ology, Vol.39, No.1, pp.118-31, 2000, DOI: http://dx.doi.org./10.1111/j.1600-0757. 2005.00115.x 

  8. P. E. Petersen, "Socio-behavioural risk factors in dental caries-international perspectives" Comm Dent Oral Epid, Vol.33, No.4, pp.274-9, 2005. DOI: http://dx.doi.org./:10.1111/j. 1600-0528.2005.00235.x 

  9. H. W. Cheon, M. S. Yu, M. H. Choi, "The association of oral diseases and chronic diseases in Korean adult population" J Korean Soc Dent Hyg, Vol.12, No.2, pp.235-49, 2012. 

  10. H. D. Kim, D. M. Paik, D. H. Kho, D. I. Paik. "Influence of cardiovascular related disease on periodontitis"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30, No.1, pp.46-55, 2006. 

  11. B. Blicher, K. Joshipura, P. Eke, "Validation of Self-reported Periodontal Disease: A Systematic Review" J Dent Res, Vol.84, No.10, pp.881-90, 2005. 

  1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eriodontal disease [Internet]. Atlanta, GA: Author; 2013 [cited 2014 October 25]. Available from: http://www.cdc.gov/OralHealth/periodontaldisease/. 

  13. N. P. Hong, Y. Y. Nam. All kinds of learning of oral cavity. Paju, Kidaribooks. 2000. 

  1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eriodontal disease. 2014. Atlanta, GA: Author; 2013. Available from: http://www.cdc.gov/OralHealth/periodontal disease/. 

  15. L. Giannella, S. Giulini, L. B. Cerami, A. La Marca, A Forabosco, A. Volpe A. "Periodontal disease and nitric oxide levels in low risk women with preterm labor" European Journal of Obste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Vo1.58, No.1, pp.47-51. 2011. DOI: http://dx.doi.org./10.1016/j.ejogrb. 2011.04.034 

  16. J. E. Ha, B. M. Yeo, H. Y. Roh, D. I. Paik, K. H. Bae. "Periodontal condition and pathogens distribution of pregnant women" J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34, No.4, pp.587-94. 2010. 

  17. J. U. Back, E. M. Noh. "A Study on the Hospitalized Patients' Recognition and Practice of Dental Health" Korean public health Res, Vol.35, No.1, pp.45-54, 2009. 

  18. LN. NBorrell, ND Crawford, "Social disparities in periodontitis among US adults: the effect of allostatic load"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65, No.2, pp.144-9, 2011. DOI: http://dx.doi.org./10.1136/jech.2009. 098269. 

  19. H. K. Jang, E. M. Choi, B. S. Son, "Oral health of the elderly people receiving nursing care and home care serivces in Chungnam" Korean Acad Denl Hyg Edu, Vol.15, No.4, pp.565-574, 2015. DOI: http://dx.doi.org/10.13065/jksdh. 2015.15.04.565 

  20. B. I. Kim, "Korean Caries Management by Risk Assessment" Korean Dent Asso, Vol.52, No.8, pp.456-63, 2014. 

  21. D. K. Gautam, V. Jindal, S. C. Gupta, A. Tuli, B. Kotwal, R. Thakur. "Effect of cigarette smoking on the periodontal health status:A comparative" J indian Soc Periodontol, Vol.15, No.4, pp.383-7, 2011. DOI: http://dx. doi.org.10.4103/0972-124X.92575 

  22. M. S. Kim, K. Y. Kim, B. A. Moon. "Oral care status and periodontal disease of middle aged diabetic patients", J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6, No.1, pp.1-9, 2016. DOI: http://dx.doi.org/10.13065/jksdh.2016.16.01.1 

  23. I. J. Kim. "An Association of Periodontitis and Diabetes" Korean Diabetes Asso, Vol.8, No.4, pp.305-8, 2007. 

  24. AL. Pataro, FO. Costa, SC. Cortelli, JR. Cortelli, MHNG. Abreu, JE. Costa. "Association between severity of body mass index and periodontal condition in women" Clin Oral Investig, Vol.16, No.3, pp.727-734, 2012. DOI: http://dx.doi.org/10.1007/s00784-011-0554-7 

  25. LD. Nibali, F. Aiuto, G. Griffiths, K. Patel, J. Suvan, MS. Tonetti. "Severe periodontitis is associated with systemic inflammation and a dysmetabolic status: a case control study" J Clin Periodontol, Vol.34, No.11, pp.931-7, 2007. DOI: https://doi.org/10.1111/j.1600-051X. 2007.01133.x 

  26. J. K. Lee, "Risk factors for periodontal diseases" Korean Dent Asso, Vol.50, No.8, pp.465-73, 2012. 

  27. M Kushiyama, Y. Shimazaki, Y. Yamashita,.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periodontal disease in Japanese adults" J Periodontal, Vol.80, No.10, pp.1610-5, 2009. DOI: https://doi.org/10. 1902/jop.2009.090218 

  28. J. E. Suvan, A. Petrie, L. Nibali, U. Darbar, T. Rakmanee N. Donos, F. D'Aiuto. "Association between overweight/obesity and increased risk of periodontitis" J Clinical Periodontology, Vol.42, No.8, pp.733-9, 2015. DOI: http://dx.doi.org./10.1111/jcpe.12421 

  29. Y. H. Lee, J. O. Choi. "Convergence of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Periodontal Disease in Adults" J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 No.11, pp.215-22, 2017. DOI: http://dx.doi.org./10.15207/JKCS.2017.8.11.215 

  30. VCF. Dalla, C. Susin, C. Roing, RV. Oppermann, JM Albandar. "Overweight and obesith as risk indicators for periodontitis in adults" J Periodontol, Vol.76, No.10, pp.1721-8, 2005. DOI: https://doi.org/10.1902/jop.2005. 76.10.1721 

  31. YS. Khader, A. Dauod, SS E1-Qaderi, A Alkafajei, WQ. Batayha. "Periodontal status of diabetics compared with nondiabetics : ameta-analysis" J Diabetes Complications, Vol.20, No.1, pp.59-68, 2006. DOI: https://doi.org/10.1016/j.jdiacomp.2005.05.006 

  32. GW. Taylor, "Bidirectional interrelationships between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s: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Ann Periodontol, Vol.6, No.1, pp.99-112, 2001. 

  33. O. J. Ju. "Impact of oral health behaviors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riodontal diseases and missing tooth" Korean Soc Dent Hyg, Vol.11, No.4, pp.511-22, 2011. 

  34. Y. H. Kim, J.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middle-aged mee: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41, No.1, pp.36-42, 2017. DOI: http://dx.doi.org./10.11149/jkaoh.2017.41.1.36 

  35. I. Y. Ku, H. G.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health behaviorals, oral health behavioral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periodontal disease status" Korean Sci Dent Hyg, Vol.12, No.3, pp.597-609, 2012. 

  36. H. M. Kang. The association of periodontal disease, tooth los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Master's thesis] Univ. of catholic.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