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for reduction facility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3, 2019년, pp.207 - 217  

이종석 (한밭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치곤 (한밭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 산업지역의 넓은 불투수 지역뿐만 아니라 좁은 지역의 도로 교량이 통과되는 하천유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원을 초기우수로부터 저감시킴으로써 하천수질의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저감장치를 개발하여 실용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 취득한 자료를 기반으로 현장 성능시험용 저감장치를 개발하여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와 부유물질(SS)의 저감효율에 대한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성능분석 결과는 시간구간별 시험항목의 분석에서 그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는 국립환경 과학원에서 제안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요구 저감효율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실무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acility that is capable of reducing pollution in water quality by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NPSP). NPSP originated from the initial rainfall caused not only large catchment of urban area pass a river but also small watershed pass a stre...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산업지역의 비교적 넓은 불투수 지역뿐만 아니라 좁은 지역의 도로·교량이 통과되는 하천유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원을 초기우수로부터 저감시킴으로써 하천 수질의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저감장치를 개발·실용화하기 위해 현장 성능시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도시·산업지역의 비교적 넓은 불투수 지역뿐만 아니라 좁은 지역의 도로·교량이 통과되는 하천유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원을 초기우수로부터 저감시킴으로써 하천 수질의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저감장치를 개발하여 실무 활용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추계학적 방법은 수문자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관측 수문자료의 짧은 기간을 자료의 동질성 가정 하에 비교적 긴 기간의 자료로 확장·발생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하천유량의 모의발생은 어떤 기간 동안에 관측된 자료계열이 장래에도 연속하여 발생된다는 가정 하에 유도된다. 자기회귀 발생방법은 관측유량 자료계열이 수문학적 지속성을 가질 경우에 유량자료를 모의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하천유량계열의 모의발생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Markov 모형이라고도 한다(Lee, 20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점오염원의 종류는? 이들 오염물질은 갈수기가 끝나고 강우가 발생하게 되면 씻김 현상으로 인해 그대로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비점오염원은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전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자연 동·식물의 잔여물,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오염물질 등을 말한다(Novotny and Olem, 1994). 수질오염원은 도시나 공장에서와 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점오염원과 주로 비가 올 때 도시와 농촌지역에서 쓸려나와 오염된 빗물 유출수와 같이 수시로 임의 장소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nonpoint source pollutant)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도시화로 인해 비점오염원이 증가하는 이유는? 비점오염물질은 일정한 배출구를 갖고 있지 않으며 넓은 지역으로 분산되어 있어 오염원 흐름의 분산성과 지역의 방대성으로 집수하기 어렵다. 또한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자동차 증가와 더불어 도로·교량이 증가되면서 그로 인하여 도로·교량 표면에 쌓이게 된다. 이들 오염물질은 갈수기가 끝나고 강우가 발생하게 되면 씻김 현상으로 인해 그대로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비점오염원은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전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자연 동·식물의 잔여물,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오염물질 등을 말한다(Novotny and Olem, 1994).
비점오염원이란? 이들 오염물질은 갈수기가 끝나고 강우가 발생하게 되면 씻김 현상으로 인해 그대로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비점오염원은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전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자연 동·식물의 잔여물,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오염물질 등을 말한다(Novotny and Olem, 1994). 수질오염원은 도시나 공장에서와 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점오염원과 주로 비가 올 때 도시와 농촌지역에서 쓸려나와 오염된 빗물 유출수와 같이 수시로 임의 장소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nonpoint source pollutant)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w, V. T. (1964). Handbook of applied hydrology, McGraw-Hill, New York, NY. 

  2. Fiering, M. B., and Jackson, B. R. (1971). "Synthetic streamflows." Water Resources Monograph, No.1, American Geophysical Clarion, New York. 

  3. Hewitt, C. N., and Rashed, M. B. (1992). "Removal rates of selected pollutants in the runoff waters from a major rural highway." Water Research, Vol. 26, No. 3, pp. 311-319. 

  4. Hirshman, D. J., and Kosco, J. (2008). Managing stormwater in your community: A guide for building an effective post-construction program, Center for Watershed Protection and Tetra Tech, Inc., EPA Publication. 

  5. Jung, C. U. (2010). Development and of efficiency analysis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s on paved highway bridge. Master Thesis, Hanbat National University, pp. 37-41. 

  6. Kang, H. M. (2011). Applicability analysis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freeway stormwater runoff, Ph. 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pp. 193-196. 

  7. Kang, T. U., and Lee, S. J. (2016). "A simulation method for reduction facilities of natural type for non-point pollution by the SWM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2, pp.123-131. 

  8. Kent, D. B., Douglas, J. S., and Kimberlee K. A. (2000). "Nutrients discharged to the Mississippi River from Eastern Iowa Watersheds, 1996-1997."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6, No. 1, pp. 161-173. 

  9. Kim, C. G. (2018). Development of reduction facility NPSP by field performance test, Ph D. dissertati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pp. 79-119. 

  10. Kim, C. G., Park, C. S., Kim, K. T, Lee, H. W., Kim, S. C., and Lee, J. S. (2014). "Small device for re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in road bridge." Proceedings 2014 Congres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orea, pp. 131-132. 

  11. Kirpich, Z. P. (1940), "Time of concentration of small agricultural watersheds." Civil Engineering, Vol. 10, No. 6, pp. 362-368. 

  12.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2009). River design criteria and explanation . 

  13. Lee, J. S. (2015). Development for middle device of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in footbridge bridge, Repor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MBA) in General Project, pp. 1-15. 

  14. Lee, J. S. (2018). Hydrology, 3rd ed., CIR Publication, Korea, pp. 414-423. 

  15. Lee, J. S., Kim, C. G., You, E. G., Lee, H. W., and Kim, S. C. (2016). Reducing device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footbridge of bridges, Proceedings 2016 Congress of KCAC, pp. 411-412.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Water pollution process test standard.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Manual for non-point sources reduction facility of construc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18.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0). Report of development and research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1999, Vol. 1, Plotting of Frequency Rainfall Hyetograph. 

  19.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8).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ct No. 14532, Jan. 17, 2017).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7). Guideline for non-point sources management in otal maximum daily loads (TMDL). 

  21. Novotny, V., and Olem, H. (1994). Water quality prevention,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diffuse pollution. Van Nostrand Reinhold, NY, pp. 446-498. 

  22. Sagat, A., Chebbo, G., and Bertrand-Krajewski, J. L. (1996), "The first flush in sewer system."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n Water Pollution Research, Vol. 33, No. 9, pp. 101-108. 

  23. Subramanya, K. (2013). Engineering hydrology, 4ed., McGraw Hill Education (India) Private Limited. 

  24.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8a). HEC-HM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Hydrologic Modeling System), Application Guide (Ver. 3.4), U.S. Army Corps of Engineers, Davis, CA. 

  25.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8b). HEC-HM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Hydrologic Modeling System), Technical Reference Manual (Ver. 3.4), U.S. Army Corps of Engineers, Davis, CA. 

  26.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8c). HEC-HM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Hydrologic Modeling System), User's Manual (Ver. 3.4), U.S. Army Corps of Engineers, Davis, CA. 

  27. Yang, S. H., Lee, M. J., Gwon, E. M., and Lee, J. H. (2018). "A study on efficient backwashing of nonpoint pollutant filtration facilities." J.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Vol. 18, No. 1, pp. 127-139. 

  28. Yun, S. L., Lee, Y. J., Ahn, J. H, Choi, W. S., Lee, J. W., Oh, H. C., and Kim, S. K. (2017). "Evaluation of filtration and backwash efficiency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9, No. 12, pp. 664-67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