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절·유황특성을 고려한 주지하수감수곡선을 활용한 기저유출분리 평가
Estimation of Baseflow based on Master Recession Curves (MRCs) Considering Seasonality and Flow Condition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1 no.1, 2019년, pp.34 - 42  

양동석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이서로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이관재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김종건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소) ,  임경재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김기성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저유출은 지표하를 통하여 느리게 하천으로 유입되며 하천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기저유출의 정확한 파악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활용된 주지하수감수곡선(MRC)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었지만, 측정 불가능한 기저유출의 특성상 정량적인 평가는 어렵다. MRC를 활용한 선행 연구들은 연구 기간 내에 존재하는 모든 감수부를 활용하였으며 이는 국내환경에서 부정확한 MRC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행해지던 주지하수감수곡선(MRC) 분리방법을 국내 특성을 고려하여 계절과 유황특성으로 구분하고 기저유출 분리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한강, 낙동강 그리고 금강수계에서 각 3곳의 유량관측점을 선정하여 총 9 곳이며, 수리구조물의 영향이 없도록 상류지역에서 선정하였다. MRC를 도출하기 위하여 기존에 제작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관측점 별로 총 세 개의 MRC를 도출하였다. 전체 기간에 대한 MRC와 본 연구에서 구분한 계절과 유황을 고려한 MRC 두 가지이다. 유황을 고려한 MRC는 낮은 R2값과 감수곡선과 비슷한 추세의 MRC를 도출하였다. 계절을 고려한 MRC의 경우 기저유출분리에 적합한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계절별 특성이 뚜렷하게 반영된 MRC를 도출하였다. 두 가지 방법에 따라 도출된 MRC를 비교하였을 때, 계절을 고려한 MRC는 기존의 MRC를 사용한 분리과정에서 과산정 되었던 기저유출량이 감소되고 안정되게 분리되었다. 유황을 고려한 MRC의 경우 그래프 상의 감수부가 다양한 감수양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낮은 R2값의 MRC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기저유출을 분리하기 위해선 계절을 고려한 MRC가 더 높은 정확성을 보일 것으로 판단되며, 유황을 고려한 MRC의 경우, 추가적인 보정 작업을 통해서 신뢰도 높은 MRC의 도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flow which is one of the unmeasurable components of streamflow and slowly flows through underground is important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Despite various separation methods from researches preceded, it is difficult to find a significant separation method for baseflow separation. This study...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6) was applied and assessed applicability of MRCs following steps: (1) establishing criteria for MRC (seasonality and flow conditions); (2) deriving MRC with the criteria; (3) comparing the recession coefficient(k) of each MRCs; and (4) analyzing the applicability of the new approach. This research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managing the streamflow fundamentally as well as calibrating and validating hydrologic models.
  • This study attempt to decrease the uncertainty of baseflow separation from the use of MRC containing whole recession curves of the study period. It was able to reflect rainfall characteristic by making MRC criteria considering seasonality and flow condition.
  • Thu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new approach to separating baseflow from total stream hydrograph reasonably using various MRCs according to seasonality and flow condition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MRC deriving tool (Posavec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rnold, J. G., Allen, P. M. (1999). Automated Methods For Estimating Baseflow And Ground Water Recharge From Streamflow Record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5(2); 411-424. doi:10.1111/j.1752-1688.1999.tb03599.x 

  2. Bae, D. H., Jeong, I. won, Kang, T. H., Noh, J. W. (2003). Automatic Parameter Estimation Considering Runoff Components On Tank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3(2003); 423-436. [Korean Literature]. doi:10.3741/JKWRA.2003.36.3.423 

  3. Berhail, S., Ouerdachi, L., Boutaghane, H. (2012). The Use Of The Recession Index As Indicator For Components Of Flow. Energy Procedia, 18; 741-750. doi:10.1016/j.egypro.2012.05.090 

  4. Blume, T., Zehe, E., Bronstert, A. (2007). Rainfall - Runoff Response, Event-based Runoff Coefficients And Hydrograph Separation.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52(5); 843-862. doi:10.1623/hysj.52.5.843 

  5. Brodie, R. S., Hostetler, S. (2005). A Review Of Techniques For Analysing Baseflow From Stream Hydrographs. Proceedings of the NZHS-IAH-NZSSS 2005 conference, Vol. 28. 

  6. Cartwright, I., Morgenstern, U. (2015). Transit times from rainfall to baseflow in headwater catchments estimated using tritium: the Ovens River, Australia.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9(9); 3771-3785. doi:10.5194/hess-19-3771-2015 

  7. Chapman, T. (1999). A Comparison Of Algorithms For Stream Flow Recession And Baseflow Separation. Hydrological Processes, 13(5); 701-714. doi:10.1002/(SICI)1099-1085(19990415)13:5 3.0.CO;2-2 

  8. Chiew, F. H. S. (2006). Estimation Of Rainfall Elasticity Of Streamflow In Australia.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51(April); 613-625. doi:10.1623/hysj.51.4.613 

  9. Choi, Y. H., Park, Y. S., Ryu, J., Lee, D. J., Kim, Y. S., Choi, J., Lim, K. J. (2014). Analysis Of Baseflow Contribution To Streamflow At Several Flow St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0(4); 441-451. [Korean Literature]. doi:10.15681/KSWE.2014.30.4.441 

  10. Eckhardt, K. (2005). How To Construct Recursive Digital Filters For Baseflow Separation. Hydrological Processes, 19; 507-515. doi:10.1002/hyp.5675 

  11. Kim, H. S., Han, M. S., Lee, D. R. (1999). Estimation And Analysis Of Base Flow Recession Characteristics. Proceedings of the 1999 Conference of the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361-367. [Korean Literature]. 

  12. Web Hydrograph Analysis Tool (WHAT) (2005). https://engineering.purdue.edu/mapserve/WHAT/ 

  13. Ministry Consturction & Transportation. (2006). National Water Resource Plan. 

  14. Nagelkerke, N. J. (1991). A Note On A General Definition Of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Miscellanea A Note On A General Definition Of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Biometrika, 78(3); 691-692. 

  15. Nathan, R. J., McMahon, T. A. (1990). Evaluation Of Automated Techniques For Base Flow And Recession Analyses. Water Resources Research, 26(7); 1465-1473. doi:10.1029/WR026i007p01465 

  16. Posavec, K., Bacani, A., Nakic, Z. (2006). A Visual Basic Spreadsheet Macro For Recession Curve Analysis, Ground Water, 44(5); 764-767. doi:10.1111/j.1745-6584.2006.00226.x 

  17. Posavec, K., Parlov, J., Nakic, Z. (2010). Fully Automated Objective-based Method For Master Recession Curve Separation. Ground Water, 48(4); 598-603. doi:10.1111/j.1745-6584.2009.00669.x 

  18. Rutledge, A. T. (1998). Computer Programs for Describing the Recession of Ground-water Discharge and for Estimating Mean Ground-water Recharge and Discharge from Streamflow Records-Update, U.S. Geological Survey. 

  19. Rutledge, A. T. (2007). Update on the Use of The RORA Program for Recharge Estimation, Ground Water, 45(3); 374-382. doi:10.1111/j.1745-6584.2006.00294.x 

  20. Schilling, K. E., Wolter, C. F. (2001). Contribution ff Base Flow to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in an Agricultural Watershed, Ground Water, 39(1); 49-58. doi:10.1111/j.1745-6584.2001.tb00350.x 

  21. Sloto, R. a., Crouse, M. Y. (1996). Hysep: A Computer Program for streamflow hydrograph separation and analysis, U.S. Geological Survey. 

  22. Willems, P. (2009). A Time Series Tool To Support The Multi-criteria Performance Evaluation Of Rainfall-runoff Models. Environmental Modelling and Software, 24(3); 311-321. doi:10.1016/j.envsoft.2008.09.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