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강하구 갯벌 내 환경요인과 저서성무척추동물 군집 분포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Macrobenthos Assemblages in Geum Estuary Tidal-flat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1 no.1, 2019년, pp.84 - 94  

유재원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이채린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박미라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윤지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환경교육전공) ,  강성룡 (국립생태원 국제협력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금강하구 서천 및 유부도 갯벌은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의 이동경로상 에너지 보충을 위한 중요한 중간 기착지점으로, 갯벌의 저서성무척추동물은 이들의 중요한 먹이원이 된다. 즉, 갯벌의 저서성무척추동물은 에너지 흐름의 중요한 생태적 역할을 담당한다. 금강하구 서천 및 유부도 갯벌의 저서성무척추동물 군집 분포와 환경요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가을철 이주 기간에 실시한 저서성무척추동물의 군집 분포 조사 결과, 저서성무척추동물은 총 147종, 밀도와 생체량은 각각 $1,772{\pm}1,342$ 개체/$m^2$, $445.1{\pm}807.6g/m^2$으로 나타났다. 출현종과 서식밀도 자료를 기반으로 각 정점 간 상호 유사도 분석결과, 크게 2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A 군집은 칠게-고리버들갯지렁이 군집(Macrophthalmus-Heteromastus community)이었고, B군집은 달걀얼굴갯지렁이류-단각류 군집(Spio-Urothoe-Mandibulophoxus community)이었다. B 군집이 A 군집에 비하여 평균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등이 월등히 높았다. BIO-ENV 분석 결과, 저서성무척추동물 군집은 퇴적환경 변수인 모래함량과 분급도 조합에 의한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rho}=0.500$)으로 나타났다. 종수와 가장 큰 상관성을 보이는 환경변수는 분급도(p=0.015)로 나타났고, 생체량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환경변수는 공극수 DO(p=0.003)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ocheon and Yubu Island mudflats in Geum Estuary are important stopover sites for migratory birds as energy supplementation area in the East Asia-Australasian Flyway. Benthic invertebrates in the tidal flats are important food resources for the migratory birds. In other words, benthic invertebr...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5 수준의 유의성을 나타내었으며, BIO-ENV의 개별적 요인으로 리스트에 포함된 온도의 중위수는 유의한 차이와는 거리가 있었다. 본 연구는 실험적 디자인의 적용을 통한 원인의 입증보다는 공간적 분포와 관련된 유력 요인들의 기술 차원에서 접근한 것으로 원인 요인보다는 상관성 높은 인자를 찾아내는 데에 1차적인 목적을 둔 것이다. 군집 간 환경 비교의 차원에서는 AVS 역시 유력한 조절 인자의 가능성을 시사하였고, 함수율과 DO 효과 역시 유력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는데, 실제 퇴적물 특성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 가운데 생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준을 넘어선 요인은 DO가 유일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 갯벌의 저서성무척추동물의 군집 분포와 이러한 군집 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수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중간 기착지로서 금강하구 갯벌의 전략적인 관리 및 보전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금강하구 일원의 서천 및 유부도 갯벌 생태계의 생태학적 기능과 밀접한 군집 패러미터인 생물다양성(군집 구조)과 밀도/생체량, 군집 조성과 환경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등을 통해 중간 기착지 내 이동성 물새의 주요 먹이원 분포와 이를 결정하는 환경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구의 역할은? ,2011). 하구는 많은 생물들의 서식지로 높은 생물다양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토양 침식에 대한 해안선의 안정화, 폭풍·해일과 같은 자연재해 예방, 퇴적물 오염 정화 기능 등을 가지고 있어 육상과 해양의 완충지대 역할을 한다(Möoller and Spencer, 2002;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2005;Kim et al., 2016).
하구생태계의 특징은? 하구생태계(Estuary ecosystem)는 하천이 개방된 해역과 연결되는 지점으로 담수와 해수의 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수역의 염분 변화와 함께 조석의 영향을 받는 역동적인 환경 조건을 갖추고 있다(Fairbridge, 1968; Cho et al.,2011).
금강하구 갯벌을 생태학적 특징과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매우 높은 곳이라 할 수 있는 이유는? 금강하구 갯벌은, 앞서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철새 기착지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식별된 달걀얼굴갯지렁이류-단각류 군집(조사 정점에 근거하여 금강하구 갯벌의 약 1/3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은 생물다양성 뿐만 아니라 물새에게 전달될 수 있는 에너지량이라 할 수 있는 생체량 측면에서도 그 평균 값이 우리나라 갯벌생태등급도(해양수산부,2014), 코어 채집 표본의 사질 퇴적상 하부 서식처 1등급 기준(1,072.36 g/㎡)에 육박하였다. 본 조사로부터 추정된 군집 생체량의 68% 신뢰구간 상한 범위를 2,155 g/㎡으로 추정하면이 지역 얼굴갯지렁이-단각류 군집의 상당수 표본이 1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갯벌 전체와 비교해서도 생태학적 특징과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매우 높은 곳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HJ, Ryu, J, Lee, KH, Lee, BY, Kang, D, Khim, JS, Nam, J, Lee, CH (2011). Suggestions on the estuarine research projects for integrated estuarine management in Korea. J.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6(4), pp. 212-222. [Korean Literature]. 

  2. Clarke, KR and Ainsworth, M (1993). A method of linking multivariate community structure to environmental variables. Marine Ecology-Progress Series, 92, pp. 205-205. [https://doi.org/10.3354/meps092205] 

  3. Costanza R, Arge, R, Groot, RD, Farber, S, Grasso, M, Hannon, B, Limburg, K, Naeem, S, O'Neill, RV, Paruelo, J, Raskin, RG, Sutton, P and van den Belt, M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pp. 253-260.[DOI: 10.1038/387253a0] 

  4. Diaz, RJ, and Rosenberg, R (2008). Spreading dead zones and consequences for marine ecosystems. Science, 321(5891), pp. 926-929.[https://doi.org/10.1126/science.1156401] 

  5. Fairbridge, RW (1968). The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ed.), Hutchinson and Ross. pp. 1295. 

  6.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27, pp. 3-26. 

  7. Hong, JS, Yoo, JW, Jung, RH, Seo, IS, Koh, BS (1999). Macrobenthic communities on the tidal flats around Yongjong and Yongyu Islands, Inchon, Korea. J.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graphy, 34-220-230. [Korean Literature]. 

  8. Hong, JS and Yoo, JW (1996). Salinity and sediment types as sources of variabil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macrofauna in Han Estuary and Kyonggi Bay, Korea. J.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graphy, 31, pp. 217-231. [Korean Literature]. 

  9. Japan Fisheries Resources Conservation Association (JFRCA) (1983). Water quality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ving resources. Japan Fisheries Resources Conservation Association. pp. 29. [Japanese Literature]. 

  10. Kang, SR, Choi, SH, Ok, GY, Eo, JK, Son, SH, Jeong, SY, Kim, KD, Jung, TJ, Park, YJ, Han, DU, Lee, WH, Park, SB, Park, CR, Kim, SH, Yoo, JW and Hwang, JY (2015). Habitat management for endangered migratory waterbirds in estuary ecosyste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Research Report. pp. 102. [Korean Literature]. 

  11. Kim, BJ, Choi, SH, Kang, SR, Ok, GY, Son, SH, Lozano, GA, Kim, NS, Park, YJ, Jung, TJ, Kim, KD, Jin, SD (2016). Habitat management for endangered migratory waterbirds in estuary ecosyste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Research Report. pp. 144. [Korean Literature]. 

  12. MacKinnon, J, Verkuil, YI and Murray, NJ (2012). IUCN situation analysis on east and southeast asian intertidal habitat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Yellow Sea (including the Bohai Sea). In: Occasional Paper of the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No. 47.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pp. 70. 

  13.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current state and trends. In: Hassan, R., Scholes, R & Ash, N. (eds.) The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series; v.1. Washington DC. 

  1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 2012 National survey of coastal wetland(basic investigation).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of Republic of Korea. pp. 683. [Korean Literature]. 

  1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4). Basic Survey of Coastal Wetland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of Republic of Korea., 11-1192000-000197-10, pp. 548. [Korean Literature]. 

  16. Mooller, I and Spencer T (2002). Wave dissipation over macro-tidal salt marshes: effects of marsh edge typology and vegetation change. J. of Coastal Research Special Issue, 36, pp. 506-521.[https://doi.org/10.2112/1551-5036-36.sp1.506] 

  17. National Wetlands Center (2018). National wetlands center information service. Accessed 21st June 2018. http://www.wetland.go.kr. [Korean Literature]. 

  18. Nixon, SW (1995). Coastal Marine Eutrophication: A definition, social causes, and future concerns. Ophelia, 41, pp. 199-219. [https://doi.org/10.1080/00785236.1995.10422044] 

  19. Yoo, JW and Hong, JS (1996). Community structures of the benthic macrofaunal assemblages in Kyonggi Bay and Han Estuary, Korea. J.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graphy, 31, pp. 7-17. 

  20. Yoo, JW, Lee, YW, Lee, CG, Kim, CS (2013). Effective prediction of iodiversity in tidal flat habitats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83, pp. 1-9. 

  21. Young, LC, Campling, BG, Voskoglou-Nomikos, T, Cole, SPC, Deeley, RG, Gerlach, JH (1999). Expression of multidrug resistance protein-related genes in lung cancer: correlation with drug response. Clin. Cancer Res., 5, pp. 673-6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