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진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분포양상
Spatial Distributions of Macrozoobenthic Communitie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9 no.1, 2017년, pp.23 - 34  

서진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  김정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  최진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from May, 2015 to May, 2016. The number of species was 163, the mean density was $1,865ind.m^{-2}$, biomass was $204g{\cdot}wet\;m^{-2}$ during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섬진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의 계절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5월부터 2016년 5월까지 5계절 동안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는 163종이었고, 평균 서식밀도는 1,865 개체 m-2, 생물량은 204 g·wetm-2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4대강 중 하구둑이 건설되어 있지 않은 유일한 자연하구의 특성을 보이는 섬진강 하구역에서 식하고 있는 대형저서동물의 계절별 분포양상과 염분, 퇴적상 등과 같은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저서동물의 군집구조의 변동양상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구역의 특징은 무엇인가? 하구역은 해수와 담수가 섞이는 천이지역으로 염분 범위는 0−30 psu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광범위한 염분 농도로 인해 그에 적응할 수 있는 다양한 생물들이 분포하고 있어 생물다양도가 높은 곳이다.
섬진강의 특징은 무엇인가? 섬진강은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큰 강으로, 4대 강 중 유일하게 하굿둑이 건설되지 않은 곳으로 자연 하구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해수의 출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섬진강 하류지역은 기수역을 형성하고 있다.
하구역이 생물다양도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하구역은 해수와 담수가 섞이는 천이지역으로 염분 범위는 0−30 psu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광범위한 염분 농도로 인해 그에 적응할 수 있는 다양한 생물들이 분포하고 있어 생물다양도가 높은 곳이다. 또한 육상기원 유기물이 유입되기 때문에 하구역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의 생체량과 2차 생산력은 매우 높고, 극심한 환경 변화에 항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저염분, 빈산소 등의 환경 변화에 대한 내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Montagna and Kalke 1992; Montagn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 Y-G, Lee C-B, Koh C-H (2000)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from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J Kor Soc Oceanogr 5:131-140 

  2. Choi HK (2016) A study on the systematics and some ecological aspects of marine polychaetes (Annelida, Polychaeta) from Korea. Ph.D. Thesis, Chosun University 273 p 

  3. Choi J-W, Hyun S, Chang M (2003a) The summer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assessed by the functional groups of macrobenthic fauna in a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Kor J Environ Biol 21:101-113 

  4. Choi J-W, Koh CH (1984) A study on the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 19:153-162 

  5. Choi J-W, Yu O-H, Lee W-J (2003b) The summe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benthic fauna in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 Soc Oceangr 8:14-28 

  6. Clarke KR, Warwick RM (1994) Changes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lymouth Marine Laboratory, Plymouth, 859 p 

  7. Costanza R, d'Arge R, de Groot R, Farber S, Grasso M, Hannon B, Naeem S, Limburg K, Paruelo J, O'Neill RV, Raskin R, Sutton P, Van den Belt M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Nature 387:253-260 

  8. Dittmann S, Baring R, Baggalley S, Cantin A, Earl J, Gannon R, Keuning J, Mayo A, Navong N, Nelson M, Noble W, Ramsdale T (2015) Drought and flood effects on macrobenthic communities in the estuary of Australia's largest river system. Estuar Coast Shelf Sci 165:36-51 

  9. Han YH (1975) On the annual varia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Kwang Yang Bay. Bull Korean Fish Tech Soc 11:1-7 

  10. Hartman O, Fauchard K (1971) Deep-water benthic polychaetes off New England to Bermuda and other North Atlantic areas. Part II-Allan Hancock Monogr Mar Biol 6:1-327 

  11. Hong J-S, Seo I-S, Lee C-G, Yoon S-P, Jung R-H (2000) An ecological feature of benthic macrofauna during summer 1997 in Namdaechon Estuary, Yangyang, Korea. J Kor Fish Soc 33:230-237 

  12. Hong J-S, Yoo JW (1996) Salinity and sediment types as sources of variabil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macrofauna in Han Estuary and Kyonggi Bay, Korea. J Oceanol Soc Kor 31:217-231 

  13. Hyun S, Lee T, Lee C-H, Park Y-H (2006) The effects of metal distribution and anthopogenic effluents on the benthic environment of Gwangyang Bay, Korea. Mar Pollut Bull 52:104-120 

  14. Izuka A (1908) On the breeding habit and development of Nereis japonica n. sp. Annot Zool Japonenses 6:295-305 

  15. Kang SH, Lee JH, Park SW, Shin HC (2014)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ies in Seomjin River Estuary. J Kor Soc Oceanogr 19:243-255 

  16. Kim JH (2017) Temporal changes in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on the Bongam tidal flat in Masan Bay, with the secondary production of dominant species (Hediste diadroma). M.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26 p 

  17. Kon K-Y, Moon C-H, Kang C-K (2002) Distributio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s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umjin River estuary. J Kor Fish Soc 35:86-96 

  18. Lee H-G, Lee J-H, Yu OH, Kim C-W (2005)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acrobenthos community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27:135-148 

  19. Lim H-S, Choi J-W, Choi S-D (2012)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Sueocheon Stream Estuary at the Nothern Part of Gwangyang Bay, Korea. J Kor Soc Oceanogr 17:76-86 

  20. Lim H-S, Hong J-S (2002)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along the salinity gradient and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Watancheon Estuary, Beobseongpo,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 Soc Oceanogr 7:8-19 

  21. Montagna PA, Kalke RD (1992) The effect of freshwater inflow on meiofaunal and macrofauna populations in the Guadalupe and Nueces estuaries, Texas. Estuaries 15:307-326 

  22. Montagna PA, Kalke RD, Ritter C (2002) Effect of restored freshwater inflow on macrofauna and meiofauna in upper Rincon Bayou, Texas, USA. Estuar Coasts 25:1436-1447 

  23. Nishizawa R, Sato M, Furota T, Tosuji H (2014) Cryptic invasion of northeast Pacific estuaries by the Asian polychaete, Hediste diadroma (Nereidae). Mar Biol 161:187-194 

  24. Park SH, Lee JY, Choi JU, Heo N, An S (2016) Study on the long-term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benthic ecology and evaluation on effect of the barrage in Nakdong River estuary. J Wetland Res 18:58-67 

  25. Pollack JB, Palmer TA, Montagna PA (2011) Long-term trends in the response of benthic macrofauna to climate variability in the Lavaca-Colorado Estuary, Texas. Mar Ecol-Prog Ser 436:67-80 

  26. Sato M (2004) Diversity of polychaetes and environments in tidal flats: a study on the Hediste species group (Nereididae). Fossils 76:122-133 

  27. Sato M, Nakashima A (2003) A review of Asian Hediste species complex (Nereidae, Polychaeta) with descriptions of two new species and a redescription of Hediste japonica (Izuka, 1908). Zool J Linn Soc Lond 137:403-445 

  28. Scaps P (2002) A review of the biology, ecology and potential use of the common ragworm Hediste diversicolor (Annelida: Polychaeta). Hydrobiologia 470:203-218 

  29. Seo J-Y, Kim J-H, Choi J-W (2016) Community structures of macrozoobenthos in the subtidal area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J Kor Soc Oceangr 21:112-124 

  30. Wetz MS, Yoskowitz DW (2013) An 'extreme' future for estuaries? effects of extreme climatic events on estuarine water quality and ecology. Mar Pollut Bull 69:7-18 

  31. Yoo HB, Park SS (2001) Seasonal dynamics and community structures of Tintinnina in lower Seomjin River system. Kor J Environ Biol 19:25-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