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령에 따른 음주자 우울의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t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Drinkers by Ag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3, 2019년, pp.383 - 393  

권명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김지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정선경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음주자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연령별로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4년과 2016년에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얻은 데이터를 이용한 횡단적 2차 데이터분석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중년 음주자 4,446명으로 일반적 특성, 신체적 및 정신적 요인과 관련된 변수를 분석하였다.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샘플링 계획 복합 파일을 작성한 후 가중치를 부여한 후 분석하였다. 우울은 성별(30대, 50-60대), 소득(30-40대, 60대), 교육(30-40대), 가족 수(30-60대), 직업(30-60대), 식사 수준(30-40대, 60대), 고혈압(40대), 당뇨(30-40대), BMI(30-40대), 흡연(30대, 50대), 운동(30대), 체중조절(60대), 폭음빈도(30-60대), 주관적 건강(30-60대), 주관적 체형인식(30-50대), 스트레스(30-60대), 삶의 질(30-60대)에 영향 받았다.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과 관리계획을 설계하여야 하며,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onvergent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drinker by age. This was a cross-sectional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that used the raw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4 & 2016.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4,446 명의 성인 음주자를 대상으로 나이에 따른 우울의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나이에 따른 음주자의 우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4년과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음주에 대한 선행연구는 그 대상에 따라 청소년[16], 대학생[14,17], 직장인[15], 성인 및 경제활동인구[7], 노인[12]으로 구분하여 대상에 따른 음주문제와 우울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 음주자의 우울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연령에 따라 구분하여 음주대상자의 우울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는 「국민건강증진법」제16조 규정에 근거한 광범위 통계자료로 국민의 건강 및 영양 상태에 관한 현황과 추이를 파악하여 국가정책계획과 실천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22].
  • 본 연구는 성인 음주자의 우울을 총 2년간의 국가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우울 예방 프로그램을 위한 객관적인 근거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성인 음주자들의 우울은 성별, 고혈압 및 당뇨 질환 여부, 흡연여부, 주관적 건강, 주관적 신체상, 스트레스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연령별 음주자의 우울 영향요인을 파악하는데 적합한 자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령에 따른 음주자의 우울 영향요인을 확인 하여 조절함으로써 음주자의 정신건강과 신체건강의 예방적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주요 정신 건강 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우울에 대해 성인 음주자의 연령에 따른 우울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우울에 대한 영향 요인은 일반적 특성, 신체적, 심리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층화집락계통추출 방법으로 수집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 년도와 제7기 1차 년도 원시 자료 중 음주자를 추출하여 우울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IBM SPSS 2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으로 인햐 영향받는 것들은? 이처럼 우울은 알코올 의존문제를 야기하며 과도한 음주는 우울문제를 야기한다. 우울의 병리적 형태인 우울증은 피곤함, 의욕저하, 식욕감퇴, 성욕감퇴, 비관적 생각으로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유발하며 정신건강과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음주자의 우울문제는 대학생에서부터 직장인, 노인까지 그 대상자가 다양하며 자살생각, 폭력, 등의 사회적 문제와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여 여러 연구에서 다뤄왔다[7, 12-15].
우울과 음주의 상호 인과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음주로 인한 정서적 변화 중 특히 우울은 음주와 상호 인과관계가 있으며 예측요인으로 작용한다[9,10]. 선행연구에 따르면,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알코올 의존에 이환될 위험이 2-3배에 이르며 알코올 의존군은 정상 음주군에 비해 우울을 경함할 위험이 약 2.6배에 이른다고 보고한다[7]. 이처럼 우울은 알코올 의존문제를 야기하며 과도한 음주는 우울문제를 야기한다. 우울의 병리적 형태인 우울증은 피곤함, 의욕저하, 식욕감퇴, 성욕감퇴, 비관적 생각으로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유발하며 정신건강과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과도한 음주의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음주는 노동자에게 있어 노동의 고단함을 잊는 휴식의 의미로, 사회적 결속과 대인관계를 이끄는 도구로 활용되며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았다[3]. 그러나 과도한 음주는 간경변, 간암과 같은 신체적 질환과[4] 우울감, 분노 등 부정적 정서를 야기하며 알코올 의존문제와 자살생각, 음주운전, 가정폭력과 가족 해체, 아동학대와 범죄 등의 사회 문제와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므로 관리가 필요하다[5-7]. 또 근무 중 음주행위는 생산성과 직무능력 감소, 직무수행 문제를 야기하는 데 근로자의 4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partment. (2018-01-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itle of Website,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2_N011 Accessed 12/10/18. 

  2.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ASMHSA). (2015). Resualt from the 2015 National Survey on Drug Use and Health: Detailed Tables. Title of Website, https://www.samhsa.gov/data/sites/default/files/NSDUH-DetTabs-2015/NSDUH-DetTabs-2015/NSDUH-DetTabs-2015.htm#tab2-41b. Accessed 2/14/19. 

  3. D. S. Kim & J. W. Lee. (2015). A Study on Impact Factors of Drinking Culture at Workplace.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8(3), 877-901. 

  4. J. H. Kim. (2018). A Convergence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Periodontal diseas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8), 95-100. DOI : 10.15207/JKCS.2018.9.8.095. 

  5. J. K. Cha. (2016). The Effects of Alcohol Problem Factors on Stress response and Anger Coping. Korea Association of Addiction Crime Review, 6(2), 99-126. 

  6. S. O. Chae & S. M. Lee. (2018). The Relevance of driving under the Influence and Bicycle Riding under the Influence and the Factors Affecting Driving under the Influence in Korea Adua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Korean Contents Society, 18(9), 411-423. DOI : 10.5392/JKCA.2018.18.09.411 

  7. H. K Choi & H. K. Lee. (2016). The Relationship of Problem Drinking, Depressive Mood,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Worker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2(1), 29-40. 

  8. H. R. Kim, S. K. Park & E. J. Lee. (2015). Employee Drinking and Work performance. The Korean Contents Society, 15(10), 267-279. DOI : 10.5392/JKCA.2015.15.10.267 

  9. M. S. Hoe. (2013). Examining the Association of Poverty Status Transition with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5(2), 203-230. 

  10. O. M. Baik. (2011). The Longitudinal Association Between Drinking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U. 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2, 7-31. 

  11. S. M. Park, M.A. Han, J. Park, S. Y. Ryu, S. W. Choi, H. H. Shin & M. H. Joo. (2016). Associations between Smoking, Drinking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dults: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6(2), 111-118. DOI: 10.15384/kjhp.2016.16.2.111 

  12. H. C. Cho & M. S. Yoon. (2012). A Study of Problem Drinking on the Conjugal Violence among the Elderly Coupl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40(1), 31-58. 

  13. D. H. Lee, J. S. Kim & J. G. Jeong. (2007). Differnt Effects of Father's Drinking Problems on Drinking Behaviors,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by Gender.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8(12), 902-908. 

  14. J. R. Jeong, E. Y. Kim, Y. J. Lee, S. A. Choi & J. K. Kim. (2015). The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College Students' Drinking Motives: Focued on Depressio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6(2), 293-308. 

  15. H. J. Kim & I. H. Song. (2010). Depressive Mood, Suicidal Ideation, and Acohol Drinking Behavior among Married Employees. Mental Health & Social Work, 36, 1-30. 

  16. W. K. Kim. (2014). Predictors of Drinking Behavior in Korean Male and Female Youth.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9(3), 191-210. 

  17. G. V. Holway, D. Umberson & M. B. Thomeer. (2017). Binge Drinking and depression: the Influence of Romantic Partners in Young Aduallthood. Society Mental Health, 7(1), 36-49. DOI: 10.1177/2156869316674056 

  18. H Krieger, C. M Young, A. M Anthenien & C Neighbors. (2018). The Epidemiology of Binge Drinking Among College-Age Individuals in the United States. Acohol Research: Current Reviews, 39(1), 23-30. 

  19. S. K. Chung.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Growth Stress - inducing Events and Problem Drinking in College Student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 - Child Relationship. Family and family therapy (formerly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6 (1), 113-134 

  20.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5). College Drinking. National Institutes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Title of Website, https://pubs.niaaa.nih.gov/publications/CollegeFactSheet/Collegefactsheet.pdf Accessed 2/14/19. 

  21. M. Y. Kim & E. H. Kang. (2016). Influence of Alcohol Outcomes Expectancy, Interpersonal Reaction and Depression on Problem Drinking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1), 537-548. 

  22.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itle of Website,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1/sub01_02.do#s2_02 Accessed 2/12/19. 

  23. Y. J. Lee. (2018).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Depression in Middle-aged Adualt: An Analysis of 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549-559. DOI: 10.15207/JKCS.2018.9.10.549 

  24. H. J. Kim & C. W. Chung. (2016). Differences in Drinking Scores according to Stress and Depression in Unmarried Women.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3(1), 10-16. 

  25. M. A. Schuckit. (1986). Genetic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alcoholism and affective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2), 140-7. DOI: http://dx.doi.org/10.1176/ajp.143.2.140 

  26. P. S. Lee, Y. M. Lee, J. Y. Lim, R. I. Hwang & E. Y. Park. (2004). The relationship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477-484. 

  27. Y. R. Park, E. H. Jang. Impact of Stress on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5(5), 549-558. 

  28. C. G. Kim & S. M. Park. (2012). Gender Difference in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1), 136-147. 

  29. K. J. Kim, K. S. Pyo, (2008). An exploration of the arousing factors and the relaxing factors on depression among the old peopl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9, 111-143. 

  30. Lee, K. J & Park, H. S. (2006). A stud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in urban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2, 221-230. 

  31. I. J. Lee. (2007). Sex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6, 159-179. 

  32. A. K. Ibrahim, S. J. Kelly & C. E. Adams, C. Glazwbrook. (2012).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f depression prevalence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http://dx.doi.org/10.1016/j.jpsychires.2012.11.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