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문제음주자의 성별에 따른 우울경험과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ve mood among problem drinkers by gender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2, 2020년, pp.375 - 384  

이은주 (서영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성인의 음주패턴과 우울경험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남녀 문제음주자의 우울경험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3년)의 만 19세 이상 성인 19,878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문제음주자의 우울경험 관련요인 파악을 위해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하였다. 남녀 모두 문제음주 수준이 높아질수록 우울경험의 위험이 증가하는 양 반응관계를 보였다. 남성 문제음주자의 우울경험의 위험은 높은 연령군, 낮은 교육군, 비고용군, 스트레스 인지군, 주관적 불건강 상태군에서 높았고, 기혼군에서 낮았다. 여성 문제음주자의 우울경험의 위험은 40대 연령군, 낮은 교육군, 비고용군, 스트레스 인지군, 주관적 불건강 상태군에서 높았다. 따라서 우울 위험군인 문제음주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정신건강 문제로 진행되지 않도록 예방 활동을 확대하고, 문제음주와 우울관리 접근시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전략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atterns and depressive mood, and to underst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ve mood among problem drinkers. Data of 19,878 adults over 19 years of age and older from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녀 성인의 음주패턴과 우울경험의 관련성 및 문제음주자의 우울경험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0-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차 분석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성인의 성별 음주패턴과 우울경험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남녀 문제음주자의 우울경험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음주패턴에 따른 우울경험은 남녀 모두 알코올의존군에서 가장 높았고, 문제음주 수준이 높아질수록 우울경험 위험이 증가하는 양 반응관계를 보였다.
  • 본 연구는 성인의 음주패턴과 우울경험의 관계를 확인하고, 문제음주자의 우울경험 관련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문제음주자의 우울 경험을 낮추고, 음주문제의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되었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의 일반 인구자료를 이용하여 남녀 성인의 음주패턴과 우울경험의 관계와 문제음주자의 우울경험 및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문제음주는 남성이 여성보다 3배 정도 높았고, 우울경험은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정도 높았으며, 문제음주 수준이 높은 군일수록 우울경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이렇듯 여성이 남성에 비해 음주율과 고위험 음주율은 낮지만 우울 경험율은 높아 음주문제와 우울경험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남녀 성인의 음주패턴에 따른 우울경험과 남녀 문제음주자의 우울 경험 관련 요인을 비교분석하여 문제음주자 남녀 각 집단에 부합하는 우울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추진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UDIT는 어떤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AUDIT는 위험하고 유해한 음주사용자 선별을 위해 WHO에서 개발한 도구이다. 위험한 알코올 사용, 의존증상, 해로운 알코올 사용에 관한 10문항으로 구성되며 0~4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음주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WHO의 AUDIT 가이드라인에 따라 저위험음주(0-7점), 과도음주(8-15점), 유해음주(16-19점), 알코올의존(20-40점) 의 4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21], AUDIT 8점 이상을 문제음주로 규정하였다.
문제음주란? 문제음주는 술을 적당한 정도로 통제하여 마시지 못하고 알코올 남용이나 의존에 의해 자신이나 타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알코올 사용 장애일 뿐 아니라 음주로 인해 위해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는 위험이 증가되는 음주형태이다[1]. 문제음주를 지속하는 경우 신체장기의 손상이나 질환 발생이 증가되고, 심리 정서적 문제를 유발하여 우울, 불면, 치매, 자살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폭력이나 범죄 등을 증가시켜 개인의 삶과 주변인에게 여러 측면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울은 어떤 문제를 유발 하는 원인인가? 음주 관련 연구들[4-6]에서 음주문제와 동반되는 대표적 정신 증상으로 우울을 보고하고 있다. 우울은 활동 제한과 장애, 부적절한 사고와 집중력 감소로 개인의 기능을 훼손하고, 자살을 포함한 조기사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사회적 심각성이 제기되며 이에 대한 관리와 치료가 촉구된다. 선행연구들에서는 음주문제로 인해 우울 등의 부정적 정서가 야기된다는 보고[7-11]와 우울이나 스트레스 등과 같은 부정적 정서가 음주나 알코올 의존에 영향을 미치고 음주문제를 야기한다는 보고[12-15] 그리고 음주문제와 우울이 상호 인과관계를 갖는다는 보고[16,17] 등에서 음주문제와 우울의 관련성을 보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 Y. Kim. (2017). Analysis for factors of predicting problem drinking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5), 487-494. DOI : 10.14400/JDC.2017.15.5.487 

  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Global status report on alcohol and health 2018. WHO [Online]. www.who.int/substance_abuse/publications/global_alcohol_report/gsr_2018/en/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Korean health statistics 2017. Chongju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4. J. M. Boden & D. M. Fergusson. (2011). Alcohol and depression. Addiction, 106(5), 906-914. DOI : 10.1111/j.1360-0443.2010.03351.x 

  5. S. E. Gilman & H. D. Abraham. (2001). A longitudinal study of the order of onset of alcohol dependence and major depression. Drug and Alcohol Dependence, 63(3), 277-286. DOI : 10.1016/s0376-8716(00)00216-7 

  6. M. Driessen., S. Meier, A. Hill, T. Wetterling, W. Lange, & K. Junghanns. (2001). The course of anxiety, depression and drinking behaviours after completed detoxification in alcoholics with and without comorbid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Alcohol and Alcoholism, 36(3), 249-255. DOI : 10.1093/alcalc/36.3.249 

  7. S. K. Kahng & T. Y. Kwon.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focusing on tension reduction theory and intoxication theor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6, 253-280. 

  8. H. S. Gweon & H. J. Sung. (2010). Effects of problem drinking of adult on depression : gender difference. Discourse and Policy in Social Science, 3(1), 147-167. 

  9. M. S. Yoon, S. H. Kim & W. S. Chae. (2009).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mental health state, problem drinking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recipients and citizens. Korean Society of Alcohol Science and Health Behavior, 9(2), 13-26. 

  10. H. Lee & S. Roh. (2011). The relations of alcohol drinking behavior, depressive mood,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ults. Korean Society of Alcohol Science and Health Behavior, 12(1), 155-168. 

  11. B. R Choi, S. J. Park & S. C. Choi. (2010). The impact of married worker's work-family conflict and problem drinking on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3(1), 53-74. 

  12. V. M. Gonzalez, C. M. Bradizza & L. Collins. (2009). Drinking to cope as a statistic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alcohol outcomes among underage college drinkers.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23(3), 443-451. 

  13. S. K. Chung. (2008).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korean college student drink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6(1), 113-134. DOI : 10.21479/kaft.2008.16.1.113 

  14. A. R. Sohn. (2010). The effects of stress and depression on problem drinking. Health and Social Science, 27(1), 61-79. 

  15. S. H. Yoon, J. Y. Bae, S. W. Lee, K. E. An & S. E. Kim. (2006).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among korean men. Health and Social Science, 19, 31-50. 

  16. T. Y. Kwon. (2011). A study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 considering psychosocial behavioral facto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3(1), 187-215. 

  17. M. Hoe. (2013). Examining the association of poverty status transition wi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5(2), 203-230. 

  18. M. H. Park & H. O. Jeon. (2015). The influence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n depression among korean female problem drink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7844-7854. DOI : 10. 5762/KAIS.2015.16.1 

  19. S. E. Taylor. (2014). Health psychology. Seoul: McGraw-Hill Education Korea, Ltd. and Sigma Press. 

  2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KNHANES VI). KCDC [Online].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3/sub03_06_02.do 

  21. T. F. Babor, J. C. Higgins-Biddle, J. B. Saunders & M. G. Monteiro. (2001).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care(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2. S. Y. Lee. (2014).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gender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1), 71-86. 

  23. C. Shin, Y. Kim, S. Park, S. Yoon, Y. H. Ko, Y. K. Kim, S. H. Kim, S. W. Jeon & C. Han. (2017).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in general population of korea: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32(11), 1861-1869. DOI : 10.3346/jkms.2017.32.11.1861 

  24. W. K. Lee.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ic drinking and anxiety-depression category of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 women.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5. D. J. Kim & J. S. Lee. (2016).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wage earners by subjective health and stress percep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6(1), 99-108. DOI : 10.15269/JKSOEH.2016.26.1.99 

  26. M. G. Kwon, J. H. Kim & S. K. Jeong. (2019). Convergent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drinkers by ag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3), 383-393. DOI : 10.15207/JKCS.2019.10.3.383 

  27. H. J. Kim & C. W. Chung. (2016). Differences in drinking scores according to stress and depression in unmarried women.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3(1), 10-16. DOI : 10.16952/pns.2016.13.1.10 

  28. G. H. Park & W. G. Heo. (2016). Influence of elderly drinkers'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on the change in the trajectory of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0), 509-519. DOI : 10.5762/KAIS.2016.17.10.509 

  29. J. L. Valencia-Martin, I. Galan & F. Rodriguez-Artalejo. (2009). Alcohol and self-rated health in a mediterranean country: the role of average volume, drinking pattern, and alcohol dependence.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33(2), 240-246. DOI : 10.1111/j.1530-0277.2008.00826.x 

  30. H. Lee, B. Lee, J. H. Lim & M. Choi. (2012).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problem drinking of korean adults and related factors. Alcohol & Health Behavior Research, 13(1), 109-121. 

  31. G. S. Jeon & H. Y. Lee. (2010). Associated factors of binge drinking and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 Promotion, 27(1), 91-103. 

  32. R. M. Glass. (2003). Awareness about depression: important for all physician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23), 3169-3170. DOI : 10.1001/jama.289.23.3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