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변량 공정능력지수들의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Multivariate Process Capability Indic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42 no.1, 2019년, pp.106 - 114  

문혜진 (인천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정영배 (인천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manufacturing process system in the industrial field has become more and more complex and has been influenced by many and various factors. Moreover, these factors have the dependent correlation rather than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refore, the statistical analysis has been extende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변량 공정능력지수의 3가지 모형인 MCpm, MC+pm, MCpl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특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목표치로부터 품질의 변동과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까지도 고려한 유용한 정보력을 지닌 다양한 다변량 공정능력지수들 가운데 MCpm, MC+pm, MCpl의 3가지 모형들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즉, 이들 3가지 모형의 다변량 공정능력지수들이 가지는 특성들과 그들의 유용성을 중심으로 서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의 3가지 모형들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즉, 이들 3가지 모형의 다변량 공정능력지수들이 가지는 특성들과 그들의 유용성을 중심으로 서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비교분석의 주요 초점은 다특성치들 간의 상관관계를 반영하여 평가하는가, 목표치에 대한 공정평균의 치우침에 따라 평가하는가, 품질변동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잘 반영하는가 그리고 목표치를 중심으로 최대손실에 대한 손실함수의 형태가 좌우 대칭뿐만 아니라 비대칭일 경우에도 평가 가능한가를 중심으로 공정관리상태에 대하여 얼마나 민감하게 평가하는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다특성치들간의 상관계수 ρ가 0, 0.3, 0.5, 0.8, 0.99와 같이 변화할 때 2변량(X' = [x1, x2])과 3변량(X' = [x1, x2, x3]) 모형에서의 공정능력지수 결과값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비교해 보고자 한다.
  • 목표치로부터 공정평균의 치우침이 없을 때(μ=T)와 있을 때(μ≠T)를 중심으로 2변량과 3변량 공정능력지수의 결과값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 최대손실 A의 변화에 따른 2변량과 3변량의 공정능력지수 결과값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목표치와 공정평균의 치우침이 없고(μ=T) 손실함수가 목표치 중심으로 서로 대칭이며 특성치들간의 상관계수가 ρ = 0.
  • 여기서 손실함수의 형상은 목표치 Ti를 중심으로 최대손실 Aj에 대하여 모두 같은 값을 가지는 경우의 좌우대칭일 때와 품질특성에 따라 해당 구간별로 서로 다르게 손실비용이 발생할 경우의 비대칭일 때로 나누어 비교한다. 그리고 이러한 손실함수의 대칭성과 비대칭성을 얼마나 잘 반영하여 공정능력을 평가 하는가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때 목표치와 공정평균의 치우침이 없고(μ=T) 다특성 치들간의 상관계수 ρ가 0, 0.
  • 본 연구에서는 3가지 모형인 MCpm, MC+pm, MCpl를 중심으로 한 다변량 공정능력지수들의 특징들을 비교해 보았다. 이들 모두는 공통적으로 목표치로부터 품질변동을 모두 잘 반영하고 있는 다변량 공정능력지수 모형들이다.

가설 설정

  • 그리고 이들 3변량의 손실비용은 품질특성치마다 차이가 있으며 규격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의 구간별 최대 손실비용($)은A'=[1, 2, 3, 4, 5, 6, 7, 8]라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정능력지수란 무엇인가? 생산현장에서 공정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척도로써 공정능력지수(Process Capability Index)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공정능력지수는 공정이 관리 상태 하에 있을 때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변동이 어느 정도인가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공정의 균일성(Uniformity)을 의미한다. 그리고 공정평가 방법은 공정의 변동과 제품의 규격한계를 정량적으로 비교하여 공정능력을 평가하게 된다.
전통적인 단변량 공정능력지수의 특징은 무엇인가? 전통적인 단변량 공정능력지수인 Cp와 Cpk는 공정산포와 공정평균의 치우침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방법으로 이들을 시작으로 목표치로부터 품질 특성치의 변동을 고려한 Cpm, C+pm의 모형으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단변량 모형들은 다변량으로 확장되었고, 지속적으로 더 많은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변량 공정능력지수의 모형들이 제안되고 있다.
다변량 공정능력지수 모형들의 상관계수 변화에 따른 비교 결과는 어떠한가? 상관계수의 변화에 따라 비교 결과를 정리하면, MCpm은 상관계수가 1에 가까워지게 되면 급격하게 과대평가하는 반면 MC+pm와 MCpl는 상관계수의 변화에 따른 결과값들이 전반적으로 크게 과대평가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점을 가장 큰 차이점으로 볼 수 있다. 목표치로부터의 치우침에 대한 반영 결과를 비교해 보면,  MCpm, MC+pm, MCpl 모두 전반적으로 치우침이 있을 때(μ≠T)보다는 치우침이 없을 때(μ=T)에 더 좋은 결과값을 나타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ung, Y.B. and Kim, Y.S., Comparison and Application of Process Capability indices,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07, Vol. 30, No. 4, pp. 182-189. 

  2. Chung, Y.B., A Multivariate Process Capability Index using Expected Loss,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05, Vol. 28, No. 4, pp. 116-123. 

  3. Drain, D. and Gough, A.M., Applications of the Upside-Down Normal Loss, IEEE Transactions 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1996, Vol. 9, No. 1, pp. 143-145. 

  4. Moon, H.J. and Chung, Y.B., Multivariate Process Capability Index Using Inverted Normal Loss Function,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8, Vol. 41, No. 2, pp. 174-183, 

  5. Mun, H.J. and Chung, Y.B., A Study on Multivariate Process Capability Index using Quality Loss Function,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02, Vol. 25, No. 2, pp. 1-10. 

  6. Pan, J.-N. and Lee, C.-Y., New Capability Indice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Multivariate Manufacturing Processes, Quality and Reliability Engineering International, 2010, Vol. 26, No. 1, pp. 3-15. 

  7. Shahriari, H. and Abdollahzadeh, M., A New Multivariate Process Capability Vector, Quality Engineering, 2009, Vol. 21, No. 3, pp. 290-299. 

  8. Spiring, F.A. and Yeung, A.S., A General Class of Loss Functions with Industrial Applications,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1998, Vol. 30, No. 2, pp. 152-162. 

  9. Spiring, F.A., The Reflected Normal Loss Function, Canadian Journal of Statistics, 1993, Vol. 21, pp. 321-330. 

  10. Taam, W., Subbaiah, P., and Liddy, J.W., A Note on Multivariate Capability Indices,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1993, Vol. 20, pp. 339-351. 

  11. Wang, F.K., Hubele, N.F., Lawrence, F.P., Miskulin, J.D., and Shahriari, H., Comparison of three multivariate process capability indices,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2000, Vol. 32, No. 3, pp. 263-275. 

  12. Wang, F.K. and Chen, J.C., Capability index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Quality Engineering, 1998, Vol. 11, No. 1, pp. 2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