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소결법으로 제조한 n형 β-SiC의 열전특성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the Reaction Sintered n-type β-SiC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3, 2019년, pp.29 - 34  

배철훈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C는 큰 에너지 밴드 갭을 갖고, 불순물 도핑에 의해 p형 및 n형 전도의 제어가 용이해서 고온용 전자부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재료이다. 특히 $N_2$ 분위기, $2000^{\circ}C$에서 ${\beta}-SiC$ 분말로부터 제조한 다공질 n형 SiC 반도체의 경우, $800{\sim}1000^{\circ}C$에서의 도전율 값이 단결정 SiC와 비교해서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반면에 열전도율은 치밀한 SiC 세라믹스와 비교시 1/10~1/30 정도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결온도를 낮추기 위해 n형 ${\beta}-SiC$에 함침 시킨 polycarbosilane (PCS)의 열분해에 의한 반응소결 공정 ($1400{\sim}1600^{\circ}C$)으로 다공질 소결체를 제작하였다. 함침 및 소결공정($N_2$ 분위기, $1600^{\circ}C$, 3시간)을 반복함에 따라 상대밀도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지만 Seebeck 계수 및 도전율은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열전변환 효율을 반영하는 power factor는 고온에서 상압소결 공정으로 제작한 다공질 SiC 반도체에 비해 1/100~1/10 정도 작게 나타났지만, 미세구조 및 캐리어 밀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면, 본 연구에서의 반응소결 공정으로 제작한 SiC 반도체의 열전물성은 크게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licon carbide is considered to be a potentially useful material for high-temperature electronic devices, as its large energy band gap and the p-type and/or n-type conduction can be controlled by impurity doping. Particularly, electric conductivity of porous n-type SiC semiconductors fabricated fr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SiC 열전반도체의 열전도율을 저감시키는 방안으로 기상합성법으로 제조한 중공상 (hollow phase) SiC 분말 에 polycarbosilane (이하 PCS)를 첨가해서 반응소결로 제작한 다공질 SiC 반도체의 열전특성에 관한 보고가 있지만[6], 합성 효율이 낮은 기상합성이라는 제조 환경적 제한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1750℃, N2 분위기에서 3시간 열처리한 n형 β-SiC 분말에 PCS를 첨가 해서 1400∼1600℃에서 반응소결로 제작한 SiC 소결체의 열전물성을 측정하고, 이전에 보고된 상압소결법으로 제작한 n형 β-SiC 소결체의 물성과 비교 분석 및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Z=σα2 /κ 의 인자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열발전소자에 관한 최대출력 Pmax, 최대변환효율 ηmax 등에는, Z=σα2 /κ가 포함되어 있고, Z가 클수록 이 값들은 모두 크게 되며, 열발전소자의 성능의 우수함을 나타낸다[1]. σ와 κ에는 재료 형상에 대한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Z를 열전소자의 성능지수 (Figure of Merit) 이라고 부른다. Z의 변수 σ, α 및 κ는 열전소자가 저온 접합부 온도 (Tcj)와 고온 접합부 온도 (Thj)의 영역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의 도전율, 평균 열전능 (average Seebeck coefficient) 및 열전도도이므로, Z도 이 온도영역에서의 평균값 이다. 따라서 열기관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으로 열전발전소자의 최대변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접합부 온도차 ΔTj를 크게 하여야 한다.
열전발전이란? 열전발전은 p형과 n형 반도체를 직렬로 접속시켜서, 한쪽을 가열 또 다른 쪽을 냉각시키면 양자의 열기전력이 가산되어 나타나서, 부하에 연결함으로써 전류를 얻는 것으로, 이를테면 열전지가 형성되는 것이다. 실제 열전발전 응용시 p-n-p-n… 의 직렬회로를 다수 조합하여서 대전력을 얻게 된다.
SiC 세라믹 반도체의 특성은? 이에 반해 본 연구에서의 출발원료인 SiC 세라믹 반도체는 높은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고온용 열전에너지 변환재료로서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β-SiC 분말로 제조한 다공질 n형 SiC의 경우, 발표된 도전율 값이 단결정과 비교해서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열전도율도 구조재료로 시판되고 있는 치밀한 SiC 세라믹스와 비교시 1/30∼1/10 정도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Y. Suga(Ed.), Thermoelectric Semiconductors, p. 295-355, MakiShyoten, 1966. 

  2. D. M. Rowe and C. M. Bjandari, Modern Thermoelectrics, p. 35-48, Holt, Rinehart and Winston Ltd., 1983. 

  3. I. B. Cadoff and E. Miller, Thermoelectric Materials and Devices, p. 178-183, Chapman and Hall Ltd., 1960. DOI: https://dx.doi.org/10.1063/1.3057558 

  4. K. Uemura and I. Nishida, Thermoelectric Semiconductors and Their Applications, p. 1-11, Nikkan Kogyo Shinbun, 1988. 

  5. K. Koumoto, C. H. Pai, S. Takeda, and H. Yanagida, "Microstructure-controlled Porous SiC Ceramics for High-temperature Thermoelectric Energy Conversion", Proc. of the 8th Inter. Conf. on Thermoelectric Energy Conversion (Nancy), pp. 107-112, 1989. 

  6. C. H. Pai, Y. Sasaki, K. Koumoto, and H. Yanagida, "Reaction Sintering of Polycarbosilane-Impregnated Compact of Silicon Carbide Hollow Particles and the Resultant Thermoelectric Properties", J. Am. Ceram. Soc., 74[11], pp. 2922-2924, 1991. DOI: https://doi.org/10.1111/j.1151-2916.1991.tb06864.x 

  7. J. E. Parrott, "Some 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Electrical Conductivity, Thermal Conductivity, and Thermoelectric Power in Semiconductors", Proc. Phys. Soc., pp. 590-607, 1957. 

  8. W. S. SEO, C. H. Pai, K. Koumoto, and H. Yanagida, "Microstructure Development and Stacking Fault Annihilation in ${\beta}$ -SiC Powder Compact", J. Ceram. Soc. Jpn., 99[6], pp. 443-447, 1991. DOI: https://dx.doi.org/10.2109/jcersj.99.443 

  9. J. Y. W. Seto,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Polycrystalline Silicon Films," J. Appl. Phys., 46[12], pp.5247-5254, 1975. DOI: https://dx.doi.org/10.1063/1.321593 

  10. C. H. Seager and T. G. Castner, "Zero-bias Resistance of Grain Boundaries in Neutron-transmutation-doped Polycrystalline," J. Appl. Phys., 49[7], pp. 3879-3889, 1978. DOI: https://dx.doi.org/10.1063/1.325394 

  11. M. L. Tarng, "Carrier Transport in Oxygen-rich Polycrystalline Silicon Films," J. Appl. Phys., 49[7], pp. 4069-4076, 1978. DOI: https://dx.doi.org/10.1063/1.325367 

  12. G. Baccarani, B. Ricco, and G. Spadini, "Transport Properties of Polycrystalline Silicon Films," J. Appl. Phys., 49[11], pp. 5565-5570, 1978. DOI: https://dx.doi.org/10.1063/1.324477 

  13. J. Y. M. Lee and I. C. Cheng, "Electrical Properties of Lightly Doped Polycrystalline Silicon," J. Appl. Phys., 53[1], pp. 490-495, 1980. DOI: https://dx.doi.org/10.1063/1.3299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