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각운동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 위치가 배근육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p positions in frontal plane on abdominal muscle activities during bridging exercis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3, 2019년, pp.224 - 230  

이원휘 (전주비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이마면에서 엉덩관절 위치에 따라 배근육들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함으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의 위치가 배근육들의 근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대의 건강한 남녀 26명을 대상으로 엉덩관절 중립, 모음, 그리고 벌림 자세에 따라 교각운동을 하였을 때 표면 근전도 장비를 이용하여 양쪽 배곧은근배바깥빗근, 배속빗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 통계 방법은 반복측정 일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 결과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은 이마면에서 엉덩관절 위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배곧은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양쪽 배바깥빗근과 왼쪽 배속빗근은 엉덩관절 중립자세보다 엉덩관절 모음 자세에서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오른쪽 배속빗근은 엉덩관절 벌림 자세보다 엉덩관절 모음 자세에서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엉덩관절 모음 자세가 다른 자세들에 비해 안정화 운동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고안할 때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의 위치에 대한 요소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hip positions in frontal plane on abdominal muscle activities during bridging exercise. Twenty six subjects who have healthy conditions were asked to perform bridging exercise in three starting positions which are hip abduction, neutral a...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각운동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의 위치에 따라 배근육의 근활성도 차이가 실제로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로 젊고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젊은 남녀를 대상으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의 위치에 따라 배근육들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20대의 젊은 남녀를 대상으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 위치에 따라 배근육들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함으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의 위치가 배근육들의 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각운동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 위치에 따라 양쪽 배곧은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양쪽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20대의 젊은 남녀를 대상으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의 위치에 따라 배근육들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함으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의 위치가 배근육들의 근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각운동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 위치에 따른 배근육의 근활성도 결과 오른쪽과 왼쪽 배곧은근은 이마면에서 엉덩관절 위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허리통증의 특징은? 허리통증은 오늘날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작업과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 중 하나이며, 현대 사람들이 일생동안 한 번은 경험하는 통증으로 발생률은 약 4〜33%에 이르고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에 영향을 준다[1-3]. 허리통증과 관련된 지식의 증가와 현대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허리통증은 모든 산업화된 국가에서 건강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4].
허리통증의 원인은? 미국과 같은 산업화된 국가에서도 허리통증 환자로 연간 이천억 정도의 비용을 소모하고 있다[5]. 허리통증은 주로 기계적인 원인을 가지고 있으며 척추의 불안정과 관련되어 나타난다[6]. 척추가 불안정해지면 척추분절에서 과도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그러므로 통증이 발생한다[7].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고안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 05로 하였다. 연구 결과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은 이마면에서 엉덩관절 위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배곧은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양쪽 배바깥빗근과 왼쪽 배속빗근은 엉덩관절 중립자세보다 엉덩관절 모음 자세에서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오른쪽 배속빗근은 엉덩관절 벌림 자세보다 엉덩관절 모음 자세에서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엉덩관절 모음 자세가 다른 자세들에 비해 안정화 운동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고안할 때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의 위치에 대한 요소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 K. Kim, "The Effects of Hip Adductor Contraction Levels on Abdominal Muscles Activations During Double Leg Raising Exercise on Supine Position", Dissertation of Master degre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15. 

  2. L. Ghamkhar, M. Emami, M. A. Mohseni-Bandpei, H. Behtash, "Application of rehabilitative ultrasound in the assessment of low back pai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Vol.15, No.4, pp.465-477, 2011. DOI: https://doi.org/10.1016/j.jbmt.2010.07.003 

  3. I. Cho, C. Jeon, S. Lee, D. Lee, H. Hwangbo,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functional disability and lumbar lordosis angl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ournal of physical therapy in science, Vol.27, No.6, pp.1983-1985, 2015. DOI: https://doi.org/10.1016/j.jbmt.2010.07.003 

  4. C. Demoulim, V. Distree, M. Tomasella, J. M. Crielaard, M. Vanderthommen, "Lumbar functional instability: A critical appraisal of the literature", Annales de readaptation et de medecine physique, Vol.50, No.8, pp.677-684, 2007. DOI: https://doi.org/10.1016/j.annrmp.2007.05.007 

  5. J. J. Hebert, S. L. Koppenhaver, E. C. Parent, J. M. Fritz. "A systematic review of the reliability of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abdominal and lumbar trunk muscles", Spine, Vol.34, No.23, pp.E848-856, 2009. DOI: https://doi.org/10.1097/brs.0b013e3181ae625c 

  6. M. M. Panjabi, "Clinical spinal instability and low back pain",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Vol.13, No.4, pp.371-379, 2003. DOI: https://doi.org/10.1016/s1050-6411(03)00044-0 

  7. M. M. Panjabi, "The Stabilizing system of the spine. Part II. Neutral zone and instability hypothesis", Journal of spinal disorders, Vol.5, No.4, pp.390-397, 1992. DOI: https://doi.org/10.1097/00002517-199212000-00002 

  8. P. W. Hodges, L. H. M. Pengel, R. D. Herbert, S. C. Gandevia, "Measurement of muscle contraction with ultrasound imaging", Muscle & nerve, Vol.27, No.6, pp.682-692, 2003. DOI: https://doi.org/10.1002/mus.10375 

  9. J. J. Crisco, M. M. Panjabi, "Euler stability of the human ligamentous lumbar spine. Part I: Theory", Clinical biomechanics, Vol.7, No.1, pp.19-26, 1992. DOI: https://doi.org/10.1016/0268-0033(92)90003-m 

  10. A. F. Mannion, N. Pulkovski, V. Toma, H. Sprott, "Abdominal muscle size and symmetry at rest and during abdominal hollowing exercises in healthy control subjects", Journal of anatomy, Vol.213, No.2, pp.173-182, 2008. DOI: https://doi.org/10.1111/j.1469-7580.2008.00946.x 

  11. H. J. Lee, J. U. Kim, J. S. Park, S. H. Seong, J. K. Cho, S. D. Son, "The effect of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XCO on flexibility, musclar volume and pai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low back pa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25, No.1, pp.62-74, 2018. DOI: https://doi.org/10.26862/jkpts.2018.06.25.1.62 

  12. W. H. Lee. "Effect of seat height of chiar on muscle activity of erector spinae and rectus abdomini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7, pp.476-482, 2017. DOI: 10.5762/KAIS.2017.18.7.476 

  13. W. E. Fordyce, J. A. Brockway, J. A. Bergman, D. Splengler, "Acute back pain: a control-group comparison of behavioral vs traditional management method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9, No.2, pp.127-140, 1986. DOI: https://doi.org/10.1007/bf00848473 

  14. J. H. Jeon, S. Y. Kim. "Comparison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and gluteal strengthening exercises on pain, disability and psychosocial factors in low back pain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ol.23, No.2, pp.33-44, 2017. 

  15. J. P. Arokoski, T. Valta, O. Airaksinen, M. Kankaanpaa. "Back and abdominal muscle function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2, No.8, pp.1089-1098, 2001. DOI: https://doi.org/10.1053/apmr.2001.23819 

  16. E. J. Song, J. D. Choi, "The effects of task difficulty controlled by surface condition during bridging exercise on relative multifidus activation ratio", Journal of korean research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ol.18, No.3, pp.59-66, 2011. 

  17. V. K. Stevens, K. G. Bouche, N. N. Mahieu, P. L. Coorevits, G. G. Vanderstraeten, L. A. Danneels,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subjects during bridging stabilization exercises",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Vol.7, No.1, pp.1-8, 2006. DOI: https://doi.org/10.1186/1471-2474-7-75 

  18. S. K. Lee, D. J. Park, "The effects of knee joint and hip abduction angles on the activation of cervical and abdominal muscles during bridging exercise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25, No.7, pp.857-860, 2013. DOI: https://doi.org/10.1589/jpts.25.857 

  19. J. L. Kisner, L. A. Colby,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pp.383-405, FA Davis, 2002. 

  20. N. S. Wang, "Effect of different intensity of hip adductor co-contraction with bridge exercises on selected trunk muscle activation in healthy young individuals", Dissertation of Master degree, Daejeon University, 2012. 

  21. E. Y. Kim, Y. J. Jeong, M. H. Song, "Analysis of the Muscle Activity of the Trunk and the Lower Extremities in Relation to the Initial Bending Angle of the Hip Joint During Bridge Exerci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ol.18, No. 2, pp.23-29, 2012. 

  22. S. T. Son, M. H. Kim, H. J. Kim, J. H. Yoon, S. K. Lee, J. Y. Jung, S. S. Bae, "The comparison of trunk muscles activity during bridging stabilization exercises on swiss ball according to change of posi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ol.4, No.4, pp.221-229, 2009. 

  23. H. Kim, W. Bae, K. Lee, "Comparison of the abdominal muscle thickness and activity by using tool and unstable surface which is accompanied bridge exercise doing abdominal drawing-in brea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Vol.5, No.1, pp.25-34, 2017. DOI: https://doi.org/10.15268/ksim.2017.5.1.025 

  24. J. Cram, G. Kasman, J. Holtz. "Introduction of surface electromyography", pp358-371, Aspen Publishers, 1998. 

  25. C. A. Richardson, C. J. Snijders, J. A. Hides, L. Damen, M. S. Pas, J. Storm. "The relation between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sacroiliac joint mechanics, and low back pain", Spine, Vol.27, No.4, pp.399-405, 2002. DOI:https://doi.org/10.1097/00007632-200202150-00015 

  26. Y. J. Hong, O. Y. Kwon, C. H. Yi, H. S. Jeon, J. H. Weon, K. N. Park, "Effect of the support surface condition on Muscle Activity of Abdominalis and erector spinae during bridging exercises", Journal of korean research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ol.17, No.4, pp.16-25, 2010. 

  27. F. J. Vera-Garcia, J. M. Moreside, S. M. McGill, "MVC techniques to normalize trunk muscle EMG in healthy women",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Vol.20, No.1, pp.10-16, 2010. DOI: https://doi.org/10.1016/j.jelekin.2009.03.010 

  28. S. A. Sahrmann,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pp.69-74, Mosby, 2002. 

  29. D. A. Neumann,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pp.323-333, Mosby, 2002. 

  30. J. W. Park, "The effect of trunk muscle activation during hip adduction and single leg bridge exercise", Dissertation of Master degree, Sahmyook University, 2016. 

  31. E. M. Jang, M. H. Kim, J. S. Oh, "Effects of a bridging exercise with hip adduction on the EMG activities of the abdominal and hip extensor muscles in female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25, No.9, pp.1147-1149, 2013. DOI: https://doi.org/10.1589/jpts.25.1147 

  32. P. W. Hodges, C. A. Richardson, "Feedforward contrac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is not influenced by the direction of arm movement", Experimental brain research, Vol.114, No.2, pp.362-370, 1997 DOI: https://doi.org/10.1007/pl00005644 

  33. S.W. Na, D. W. Oh, H. J Park, "Effect of hip adductor co-contraction on trunk muscle activation during bridge exercise in healthy young individu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ol.7, No.3, pp.275-282, 2012. DOI: https://doi.org/10.13066/kspm.2012.7.3.2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