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람길 활용을 위한 정맥의 찬공기 관리 방안 - 낙남정맥을 사례로 -
Management Strategies of Local Cold Air in Jeongmaek for utilizing urban Ventilation Corridor - A Case Study of the Nak-nam Jeongmaek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2 no.1, 2019년, pp.154 - 167  

엄정희 (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부 조경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따른 각종 환경문제가 발생하는 가운데, 도시에서는 폭염, 열대야와 같은 도시 열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한국은 찬공기 생성에 유리한 산림지역이 국토면적의 약 63%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산줄기인 정맥은 도시지역과 밀접하게 위치해 있기 때문에 찬공기를 활용하는 것은 도시 열환경 완화에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남정맥을 대상으로 정맥에 위치한 도시들의 바람길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맥의 찬공기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낙남정맥의 찬공기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낙남정맥에 위치한 진주시와 산청군을 대상으로 상세분석을 수행하여,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이 인근 도시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지역에서 찬공기를 활용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모형인 KALM(Kaltluftabflussmodell)을 활용하였으며,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이 뚜렷해지고, 찬공기층의 높이는 증가하였다. 찬공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찬공기 흐름을 유지 및 확대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찬공기 생성이 활발한 산림지역 일대를 '찬공기 보전지역'으로 지정하고, 원활한 찬공기 흐름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찬공기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낙남정맥에 위치한 도시지역의 쾌적한 열환경 조성을 위한 바람길 활용방안의 일환으로 낙남정맥의 체계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urban heat environment problems occur due to climate change, urban thermal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heat waves and tropical nights are becoming more serious in cities. In South Korea, forest areas favorable for generating cold air account for about 63 percent of the land area. Furthermore,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낙남정맥의 고유한 지형과 토지이용에 따른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 층 높이를 분석하여 낙남정맥 일대의 전반적인 찬공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낙남정맥에 위치한 도시를 대상으로 상세분석을 수행하여,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이 인근 도시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지역에서 찬공기를 활용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낙남정맥에 위치한 도시지역의 쾌적한 열환경 조성을 위한 바람길 활용방안의 일환으로, 낙남정맥의 체계적인 관리계획 및 도시계획에서 바람길 활용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남쪽에 위치한 낙남정맥을 대상으로 정맥에 위치한 도시들의 바람길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맥의 찬공기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낙남정맥의 고유한 지형과 토지이용에 따른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 층 높이를 분석하여 낙남정맥 일대의 전반 적인 찬공기 특성을 파악하였고, 진주시와 산청군을 대상으로 상세분석을 수행하여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이 인근 도시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 KALM 모형(Schädler and Lohmeyer,1994)은 바람이 거의 없는 맑은 야간시간의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층 높이를 산정하는 모형으로, 일반적인 기상모형과 달리 토지피복 및 지형 특성에 의해 야간에 생성되고 흐르는 찬공기, 즉 nocturnal drainage flow의 특성을 분석 하는 것에 특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이 불지않는 정온상태에서 토지피복과 지형적 특성이 열섬과 열대야를 해소하기 위한 cooling effect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 었는데, 복잡한 지형에서의 찬공기 특성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에 산악지역인 독일 남부 지역(Ministerium fuer Wirtschaft, Arbeit und Wohnungsbau Baden-Wuerttemberg, 2012)뿐만 아니라, 한국 도시(Eum and Son, 2016)에도 활용된 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한민국 남쪽에 위치한 낙남정맥을 대상으로 정맥에 위치한 도시들의 바람길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맥의 찬공기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낙남정맥의 고유한 지형과 토지이용에 따른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 층 높이를 분석하여 낙남정맥 일대의 전반적인 찬공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낙남정맥에 위치한 도시를 대상으로 상세분석을 수행하여,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이 인근 도시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지역에서 찬공기를 활용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한민국 남쪽에 위치한 낙남정맥을 대상으로 정맥에 위치한 도시들의 바람길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맥의 찬공기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낙남정맥의 고유한 지형과 토지이용에 따른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 층 높이를 분석하여 낙남정맥 일대의 전반적인 찬공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계획 측면에서 바람길 활용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는 무엇인가? 하지만, 정맥의 찬공기 특성을 활용하여 도시계획 측면에서의 바람길 활용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우선, 본 연구의 결과가 실제 도시·군 기본계획 및 관리계획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과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매뉴얼의 개발이 필요 하다. 또한, 산림과 시가지에서 구체적인 찬공기 생성지역과 바람길의 관리범위 지정 및 이를 뒷받침하는 법제도적 장치의 마련, 바람길을 활용 하기 위한 도시 녹지공간의 조성 방법 등에 관한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바람길이 기후친화적인 도시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실질적인 요소로써 고려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바람길 계획이란 무엇인가? 바람길 계획은 도시 외곽의 산림지역에서 야간에 생성되는 찬공기를 도시지역으로 원활하게 유입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다. 찬 공기 (Kaltluft)라는 용어는 독일의 도시계획에 있어서 도시기후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처음 사용되었고(Eum, 2000), 우리나라에서는 바람길 혹은 바람통로(Cold air corridor)로 알려져있다.
찬 공기를 활용하는 것이 도시 열환경 완화에 효과적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산림지역에서 일교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지만, 산림지역은 생성된 찬공기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기에 유리한 지형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Son, 2019). 한국은 찬공기 생성에 유리한 산림지역이 국토면적의 약 63%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산줄기인 정맥은도시지역과 밀접하게 위치해 있기 때문에 찬공기를 활용하는 것은 도시 열환경 완화에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Eum and Son (2016)은 낙동정맥에 위치한 부산 구덕산 일대, 울산 고헌산 일대, 포항 운주산 일대를 대상으로 찬공기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지형적 특징및 토지이용에 따라 찬공기 흐름의 특성이 다르며 지역 특성에 맞는 찬공기 관리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Eum, J.H. 2000. A study on using the wind flow for the urban open space planning: a cast study of Yong-In city.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91. 

  2. Eum J.H., J.H. Woo and B.E. Yang. 2001. A study on the urban open space planning using the ventilation path: a case study of Yong-In city.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6(1):231-241. 

  3. Eum, J.H. 2008. Integration of climate information into spatial planning in Seoul, South Korea. Ph.D. Thesis, Technische Universitaet Berlin, Berlin, Germany. p.164. 

  4. Eum, J.H., D. Scherer, U. Fehrenbach and J.H. Woo. 2011. Development of an urban landcover classification scheme suitable for representing climatic conditions in a densely built-up Asian megac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3(3-4):362-371. 

  5. Eum, J.H. and J.M. Son. 2016. Management of the Nakdong-Jeongmae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d ai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5):103-115. 

  6. Jung, E.H, et al. 2008. Evalu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 of wind corridor formation in Deagu area using Satellite Dat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2): 73-84. 

  7. Ministerium fuer Wirtschaft, Arbeit und Wohnungsbau Baden-Wuerttemberg, 2012. Staedtebauliche Klimafibel: Hinweise fuer die Bauleitplanung. Baden-Wuerttemberg. 

  8. Nachbarschaftsverband Stuttgart, 1992. Klmaatlas: Climate study for the area of the Stuttgart Regional Federation and bordering areas of the Stuttgart region. Landeshauptstadt Stuttgart, Stuttgart, Germany. 

  9. Ng, E., L. Katzschner, U. Wang, C. Ren, and L. Chen. 2008. Working Paper No. 1A: draft urban climatic analysis map - urban climatic map and standards for wind environment - feasibility study. Technical Report for Planning Department HKSAR.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Hong Kong. 

  10. Schaedler, G. and A. Lohmeyer. 1994. Simulation of nocturnal drainage flows on personal computers, Meteorologische Zeitschrift N.F. 3:167-171. 

  11. Son, J.M. 2019.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cold air for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in urban areas: a cast study of Cheongju, Jeongju and Jinju. Master Thesis. Keimyung University. p.95. 

  12.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2005. The thermal environment map and areas designated for the implementation of measures against the heat island phenomenon. Bureau of Environment, Tokyo, Japan. 

  13. Verein Deutscher Ingenieure. 2003. Environmental meteorology-local cold air. In: VDI Guideline 3787(Part 5). Berlin: Beuth Verlag. p.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