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매트를 이용한 개착식 지반공동 복구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n Cut Restoration of Underground Cavity Using Concrete Mat 원문보기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8 no.1, 2019년, pp.55 - 65  

박정준 (Incheon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Center,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신희수 (Institute of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UCI Tech co. Ltd.) ,  정윤석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  유승경 (Dept. of Civil Engineering, Myongji College) ,  홍기권 (Institute of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Korea Engineering & Construc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지반함몰의 가장 큰 영향요소인 지중 공동에 대하여 콘크리트매트를 이용한 개착식 복구방법의 보강효과 분석을 위한 실험적 및 수치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평판재하시험을 이용하여 지표로부터 10cm, 20cm, 30cm의 보강깊이에 대하여 콘크리트매트 보강에 따른 응력감소율을 평가한 결과, 약 60%의 응력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내실험과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지반침하량과 응력감소율을 분석한 결과, 콘크리트매트 설치깊이가 지표로부터 10cm~20cm 깊이에서 보강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반변형계수 측정을 위한 LFWD실험 결과, 콘크리트매트가 지표로부터 20cm의 깊이에 보강되었을 때의 변형계수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중 매설물 손상에 의한 지중공동이 포장체 하부까지 높이 방향으로 발달한 경우, 지표로부터 20cm 이내에 콘크리트 매트를 보강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results of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es, in order to analyze a reinforcement effect of concrete mat on open cut restoration of underground cavity. The plate loading 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a reinforcement effect of concrete mat, at reinforcement depths from the g...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중 공동에 대하여 개착식으로 복구할 수 밖에 없는 경우, 기존의 복구 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목적으로 콘크리트매트를 이용하는 복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콘크리트매트를 이용한 개착식 복구방법은 일반적으로 다짐관리가 잘 이루어질 수 없는 협소한 구역이나, 공동이 재차 발생하여 갑작스런 지반함몰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 이 연구에서는 지중에서 공동발생 시, 기존의 개착식 공동복구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매트를 적용한 복구방법을 마련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매트의 보강효과에 관한 실험적 및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콘크리트 매트 보강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판재하시험, 수치해석 및 지반변형계수 평가를 위한 LFWD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개착식 공동복구 방법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공동의 복구 방법은 크게 개착식 및 비개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비개착식 공동복구 방법은 그라우팅 공법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 방법은 비개착이라는 용이함과 지반 내 간극까지 충진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시멘트계 충진재와 약액을 함께 사용하고 주입방식에 따라 작용 면적을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중금속 유출의 우려가 있다.
지중 공동의 복구방안은 무엇이 있는가? 지반함몰에 의한 피해 저감을 위해 지반함몰의 원인 규명, 장기적인 유지관리 및 계획 등도 중요하지만, 지반함몰을 유발하는 지중 공동의 복구방안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와 같은 공동의 복구 방법은 크게 개착식 및 비개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비개착식 공동복구 방법은 그라우팅 공법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 방법은 비개착이라는 용이함과 지반 내 간극까지 충진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싱크홀은 무엇인가? 불과 몇 해 전까지만 해도 지반함몰 혹은 싱크홀(sinkhole)이라는 단어는 일반 사람들에게 매우 생소한 단어였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전문 종사자에게도 자주 사용되지 않았던 용어라 할 수 있다. 싱크홀이란 용어는 석회암 지대에서 발생하는 자연적 현상에 의한 지반함몰로서 현재 국내에서 문제 되고 있는 도심지 지반함몰과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도심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지반함몰은 지중시설물의 노후화, 지하공간의 개발과 과다한 지하수 이용 등과 같은 인위적인 원인이 대부분으로 발생회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