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과 기록관의 자연재난 대비 계획수립 핵심 요소 고찰
The Study of Key Elements to Establish Natural Disaster Preparedness Plan in Libraries and Archiv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0 no.1, 2019년, pp.101 - 119  

이상백 (국립고궁박물관)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도서관과 기록관이 자연 재난 대비 계획을 수립하는 데 참고해야 하는 핵심 요소 검토를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국내에서는 그간 도서관과 기록관의 자연 재난 대비 계획과 관련한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외에서 폭넓게 진행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외 연구에서 공통으로 확인되는 재난 대비 계획수립을 위한 핵심 요소는 크게 6가지로 종합할 수 있었다. 먼저 재난 대비 계획의 시작을 위해서 '재난 대비 위원회가 조직되고 업무가 분담'되어야 하며, 재난에 취약한 '위험은 미리 평가되고 관리' 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직원이 재난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핸드북'이 마련되어야 하며, 재난 발생 후 재난 규모에 따른 전략적 복구와 업무 복귀를 위한 '복구 및 업무 연속성 계획'이 검토되어야 한다. 그리고 직원의 재난 대처 역량과 재난 대비 계획을 강화하기 위해서 '훈련'이 필요하며, 재난 대비에 관한 다양한 관점을 확보하고 대규모 재난 대응과 복구 대비를 위해서 관련 기관 간 '협력 활동'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 논문이 향후 국내 도서관과 기록관의 재난대비 계획수립 검토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ed important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natural disaster plan in libraries and archives. In Korea, research on natural disaster planning in libraries and archives was rarely conducted.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tudy and analyse overseas literature for nat...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논문은 국외의 다양한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서 재난 대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먼저 검토되어야 하는 핵심 요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핵심 요소는 6가지로 재난 계획 절차인 ‘예방-대비-대응-복구’와 앞에서 언급한 선행연구의 세부 요소들을 상호 검토하여 도출하였다.
  • 그러므로 도서관과 기록관도 지진에 대비해야 하는데, 지진 대비는 무엇보다도 기관의 자연 재난 대비 계획이 수립되었을 때 그 계획을 토대로 구체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지진 대비 계획 수립에 앞서 선행되어야 하는 자연 재난 대비 계획 수립에 초점을 두었으며, 실제 지진 대비 계획은 향후 연구를 통해서 보완하고자 한다.
  • 예를 들어서, 각 기관이 지진 발생 시 즉시 적용될 수 있는 재난 대비 계획을 갖추고 있지 않다면 지진 대비를 위해 서고를 고정하고, 건물의 내진설계를 강화한다고 해도 이 같은 활동은 재난 대응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지진을 포함한 심각한 규모의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도서관과 기록관의 자연 재난 대비 계획에 대해 검토할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만약 심각한 상황이 계속되고 도서관과 기록관의 대부분 영역이 피해를 보아 일상적인 업무로 복구가 쉽지 않을 때, 중단된 업무를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전 직원이 어디에 어떻게 투입되어 무엇을 먼저 복구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이 필요하다. 이 계획의 주된 목적은 기관의 핵심 기능을 파악하고 재난 발생 시 이 기능들을 우선순위에 따라서 복구하도록 하는 데 있다. 무엇보다도, 업무 연속성 계획을 위해서는 우선 조직 업무의 필수 기능을 식별하고 이 필수 기능들에 대한 위험 발생 정도와 발생 시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는 ‘업무 영향 분석(BIA: Business Impact Analysis)’이 선행되어야 한다(Cerullo and Cerullo 2004, 71).
  • 2016; Kepenach 2007), 교육과 훈련(Whetherly 1994; Sharpe 2017), 협력적 활동(Lashley 2003) 등이다. 이 논문에서는 위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분석하여 핵심 내용을 조직적으로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 이러한 요소가 필요한 이유를 충분히 검토할 때, 도서관과 기록관은 각 기관의 특성에 맞는 재난 대비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재난 대비 계획 수립을 위한 각 요소의 개념, 역할, 장점과 한계점 등이 무엇인지 살펴볼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도서관 및 기록관이 향후 전반적인 자연 재난 대비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도서관과 기록관의 자연 재난 계획 수립을 위한 핵심 요소를 검토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재난 통제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먼저 계획의 전체적인 과정이 이해되어야 한다.
  •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과 기록관이 자연 재난 대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사전에 검토해야 하는 6가지 요소를 국외 선행 연구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한국에서는 2016년, 2017년 두 해 연속 위험이 될 수 있는 지진이 발생했고, 2019년 2월 전문가들은 한반도를 둘러싼 지각 단층이 활성화되면서 심각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im, P. 2006.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Countermeasure Plan for the Disaster Protection in Public Librar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4): 85-110. 

  2.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s countermeasures to improve earthquake preparedness / Chongbu, chijinbangjae kaesondaech'aek palp'yo' 2018.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ay 24. [online]. [cited 2019.2.12]. . 

  3. Lee, J., T. Kim, B. Kim, and J. Chung. 2016. "Development of a Safety Management Manual for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2): 77-100. 

  4. Jeon, C. 2014. "Library disaster preparedness and safety measures - Library disaster preparedness plan for disaster management / Tosogwanui chaenandaebiwa anjondaech'aek - Chaenan' gwallirul wihan tosogwanui chaenandaebigyehoek." KLA journal, 50(7): 16-22. 

  5. 'The Korean Peninsula fault has begun to twist. ... A large scale earthquake could happen. / Hanbando tanch'ungi twit'ulligi shijak'aetta. ... k'un chijin ol sudo'. 2019. MBC News, February 12. [online]. [cited 2019.2.12.] . 

  6. Ashman, J. 1995. Disaster Planning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London: Aslib. 

  7. Cannon, A. 2003. "Risk management" in Matthews, G. and J. Feather. (eds), Disaster Management for Libraries and Archives. Aldershot: Ashgate. 

  8. Cerullo, V. and M. Cerullo. 2004.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A Comprehensive Approach."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21(3): 70-78. 

  9. Davis, S. and K. Kern. 2003. "Cooperative activity in the USA, or misery loves company." in Matthews, G. and J. Feather. (eds), Disaster Management for Libraries and Archives. Aldershot: Ashgate. 

  10. Dearstyne, B. W. 2001. Leadership and Administration of Successful Archival Programs. Westport, CT: Greenwood Press. 

  11. Dorge, V. and S. L. Jones. 1999. Building an emergency plan: A Guide for Museums and Other Cultural Institutions. Los Angeles, Calif.: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online]. [cited 2019.2.12]. . 

  12. 'Earthquake damage continues; 1,789 displaced, 75 injured'. 2017. Korea Times, November 17. [online]. [cited 2019.2.12]. . 

  13. Fleischer, S. V. and M. Heppner. 2009. "Disaster Planning for Libraries and Archives: What You Need to Know and How to Do It." Library & Archival Security, 22(2): 125-140. 

  14. Forde, H. and J. Rhys-Lewis. 2013. Preserving Archives. London: Facet Publishing. 

  15. Fortson, J. 1992. Disaster Planning and Recovery: A How-To-Do-It Manual for Librarians and Archivists. New York: Neal-Schuman. 

  16. Government of Canada. Operational Security Standard -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BCP) Program. [online]. [cited 2019.2.12]. . 

  17. Hatton, T. et al. 2016. "Lessons from disaster: Creating a business continuity plan that really works." Journal of Business Continuity & Emergency Planning, 10(1): 84-92. 

  18.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1997. Disaster prevention and control in archives. [online]. [cited 2019.2.12]. . 

  19. Kahn, M. B. 2012. Disaster response and planning for libraries. 3rd ed.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 Kepenach, R. J. 2007. "Business Continuity Plan Design."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net Monitoring And Protection. San Jose, CA, USA, 16 July 2007, IEEE: 1-4. 

  21. Lashley, B. 2003. "Cooperative Disaster Planning for Libraries: a Model." International Preservation News, 31: 26-33. [online]. [cited 2019.2.12]. . 

  22. Manshell, H. 2003. "The Disaster Control Plan." in Matthews, G. and J. Feather. (eds), Disaster Management for Libraries and Archives. Aldershot: Ashgate. 

  23. Matthews, G. and P. Eden. 1996. "Disaster management training in libraries." Library Review, 1: 30-38. 

  24. Matthews, G., Y. Smith, and G. Knowles. 2009. Disaster Management in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 Hampshire & Burlington: Ashgate. 

  25. Muir, A. and S. Shenton. 2002. "If the worst happens: the use and effectiveness of disaster plans in libraries and archives." Library Management, 3: 115-123. 

  26. Robertson, G. 2015. Disaster Planning for Libraries: Process and Guidelines. Amsterdam: Chandos Publishing. 

  27. Sharpe, C. 2017. "Plan of Action: A Library's Journey to Training for Emergencies and Disasters." Journal of New Librarianship, 1(2): 38-55. 

  28. Shepard, E. 2018. Compiling a Disaster Plan for Archival Collections, No.13: Technical Leaflet Series. Mid-Atlantic Regional Archives Conference. [online]. [cited 2019.3.19]. . 

  29. Wallace, M. and L. Webber. 2018. The Disaster Recovery Handbook: A Step-By-Step Plan To Ensure Business Continuity And Protect Vital Operations, Facilities, And Assets. 3rd ed. New York: AMACOM. 

  30. Whetherly, J. 1994. Management of Training and Staff Development. London: Library Association. 

  31. Yi, L. W. and R. Green. 2006. "Disaster Planning in Libraries." Journal of Access Services, 4(3): 7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