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화자의 사용 언어, 문맥, 언어 능숙도에 따른 기본 주파수 변화
Changes in fundamental frequency depending on language, context, and language proficiency for bilingual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1 no.1, 2019년, pp.9 - 18  

윤소망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목소라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윤정선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한지윤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임동선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영어-한국어 이중언어 화자의 평균 기본주파수를 분석하여 언어 및 과제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거주년수 및 언어 능숙도에 따라 언어 간 평균 기본주파수 상이한지 실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영어권 나라에 7년 이상 거주한 한국어-영어 균형적 이중언어 집단 총 28명(남녀 각각 14명, 균형적 이중언어집단), 언어 노출기간 및 언어 능숙도에 차이를 두기 위해 추가로 모집한 영어권 나라 거주년수 3년 이하인 한국어 우세 이중언어 집단 총 20명(남녀 각각 10명, 한국어 우세 이중언어 집단)이다. 이들은 한국어와 영어로 읽기 및 자발화 과제를 수행하였고 Praat을 통해 녹음한 음성파일의 평균 기본주파수를 분석하였다. 이후 각 성별 내 언어 ${\times}$ 과제 이원 배치 분산 분석(two-way repeated ANOVA) 및 집단 ${\times}$ 언어의 이원 혼합 분산 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언어 및 과제에 따라 균형적 이중언어 집단의 남녀 대상군 별로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한국어보다 영어의 평균 기본주파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3), 자발화과제보다 읽기 과제에서 평균 기본주파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2). 그러나 남성의 경우, 어떠한 조건에서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번째로, 언어 능숙도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 여성 대상자들에서만 언어 간 기본주파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0). 즉, 한국어 읽기 과제에서 평균 기본주파수가 영어 읽기 과제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언어 능숙도에 따른 평균 기본주파수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830). 남성 대상자의 경우는 어떤 조건에서도 유의한 결과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이중언어 화자의 언어 간 평균 기본주파수의 변화는 언어의 능숙도와 관계없이 성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언어 간 평균 주파수의 차이가 해부생리학적 요인이나 언어학적 요인보다도 사화문화적인 요인에 의한 것임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mean fundamental frequency (F0) changes depending on language, task, or language proficiency for Korean-English bilinguals. A total of forty-eight Korean-English speakers (28 balanced bilinguals and 20 Korean dominant bilinguals) participated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언어(Chen, 2005; Deutsch etal., 2009)와 사회적 집단(Awan & Mueller, 1996; Dolson, 1994; Graddol & Swann, 1983; Van Bezooijen, 1995)이 기본주파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하여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화자를 대상으로 기본주파수가 성별, 사용언어, 사회적 집단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중언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언어와,언어별 능숙도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서 기본주파수가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화자를 대상으로 읽기 상황뿐 아니라, 일상적인 질문에 답하는 자발화상황에서도 읽기상황과 마찬가지로 평균 기본주파수가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또한, 기존연구에서는 모국어에서 과제 유형(읽기, 자발화)별 기본주파수 변화를 살펴본 반면, 본 연구에서는 이중언어 화자의 모든 언어에서 과제유형별 음도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언어 및 과제유형(읽기, 자발화) 모두 기본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요인이며 특히 이는 여성에게 민감하게 작용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및 영어의 능숙도가 이러한 기본주파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언어의 능숙도가 주파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앞선 결과와 마찬가지로 여성 대상자들은 능숙도에 상관없이 한국어-영어 간 유의한 기본주파수 변화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화자가 각각의 언어를 사용할 때, 각 성별 내 언어 및 과제에 따라 평균 기본주파수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언어의 능숙도에 따라 읽기 과제에서 언어 간 평균 기본주파수의 변화양상이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균형적 이중언어 집단의 한국어-영어의 읽기 및 자발화 과제수행은 표 2에 제시하였다. 성별 간 기본주파수는 다르기 때문에 과제 및 언어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각 성별 내에서 한국어-영어 간 과제에 따라 평균 기본주파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중언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언어와,언어별 능숙도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서 기본주파수가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화자를 대상으로 읽기 상황뿐 아니라, 일상적인 질문에 답하는 자발화상황에서도 읽기상황과 마찬가지로 평균 기본주파수가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선 선행연구에서 보고한 바와 같이 과제 유형에 따라 화자의 기본주파수가 달라진다면(Hollienet al.

가설 설정

  • 1) 균형적 이중언어 화자의 평균 기본주파수가 언어(한국어,영어) 및 과제(읽기, 자발화)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지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령에 따라 목소리가 비뀌는 이유는? 성대의 길이가 짧고 크기가 작을수록, 긴장도가 높을수록 기본주파수가 높아지는데(Fucci & Lass, 1999; Ohala, 1984; Laver, 1980), 성별 및 연령에 따른 기본주파수의 차이는 주로 성대의 크기와 길이의 차이로 설명된다. 보통 사춘기 이전에는 남녀 간 기본주파수의 차이는 보이지 않다가 사춘기 이후부터 남성의 후두가 커지고, 성대는 길고 굵어지면서 여성보다 기본주파수가 낮아지게 된다.
기본주파수란?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고유의 목소리를 지니고 있으며 각자의 목소리 음역대 안에서 각기 다른 음도(pitch)를 가진다(Chen, 2005; Dolson, 1994; Eady, 1982). 이러한 음도는 1초 동안의 성대(vocal cords)가 진동하는 횟수인 기본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 F0)로 표현한다. 기본주파수는 해부-생리학적 변화에 의하여 성대의 길이, 크기, 긴장에 따라 달라진다.
기본주파수는 무엇에 의해 변하는가? 이러한 음도는 1초 동안의 성대(vocal cords)가 진동하는 횟수인 기본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 F0)로 표현한다. 기본주파수는 해부-생리학적 변화에 의하여 성대의 길이, 크기, 긴장에 따라 달라진다. 성대의 길이가 짧고 크기가 작을수록, 긴장도가 높을수록 기본주파수가 높아지는데(Fucci & Lass, 1999; Ohala, 1984; Laver, 1980), 성별 및 연령에 따른 기본주파수의 차이는 주로 성대의 크기와 길이의 차이로 설명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ndreeva, B., Demenko, G., Mobius, B., Zimmerer, F., Jugler, J., & Oleskowicz-Popiel, M. (2014, September). Differences of pitch profiles in Germanic and Slavic languages. Proceedings of Fifteenth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pp. 1307-1311). Singapore. 

  2. Awan, S. N., & Mueller, P. B. (1996).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white, African American, and Hispanic kindergartn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9(3), 573-577. 

  3. Barrett, K. C., Zahn-Waxler, C., & Cole, P. M. (1993). Avoiders vs. amenders: Implications for the investigation of guilt and shame during toddlerhood? Cognition & Emotion, 7(6), 481-505. 

  4. Boersma, P., & Weenink, D. J. M. (2001). Praat: A system for doing phonetics by computer. Glot International, 5(9/10), 341-347. 

  5. Briley, D. A., Morris, M. W., & Simonson, I. (2005). Cultural chameleons: Biculturals, conformity motives, and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5(4), 351-362. 

  6. Busa, M. G., & Urbani, M. (2011, August). A cross linguistic analysis of pitch range in English L1 and L2. Proceedings of 17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honetic Sciences (ICPhS XVII) (pp. 380-383). Hong Kong. 

  7. Bussey, K., & Bandura, A. (1999). Social cognitive theory of gender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Psychological Review, 106(4), 676-713. 

  8. Chen, S. H. (2005). The effects of tones on speaking frequency and intensity ranges in Mandarin and Min dialec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17(5), 3225-3230. 

  9. Danziger, S., & Ward, R. (2010). Language changes implicit associations between ethnic groups and evaluation in bilinguals. Psychological Science, 21(6), 799-800. 

  10. Deutsch, D., Le, J., Shen, J., & Henthorn, T. (2009). The pitch levels of female speech in two Chinese village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5(5), EL208-EL213. 

  11. Dolson, M. (1994). The pitch of speech as a function of linguistic community. Music Perception: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11(3), 321-331. 

  12. Eady, S. J. (1982). Differences in the F0 patterns of speech: Tone language versus stress language. Language and Speech, 25(1), 29-42. 

  13. Eagly, A. H. (1978). Sex differences in influenceability. Psychological Bulletin, 85(1), 86. 

  14. Ellis, C., Kuipers, J. R., Thierry, G., Lovett, V., Turnbull, O., & Jones, M. W. (2015). Language and culture modulate online semantic processing.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10(10), 1392-1396. 

  15. Fucci, D. J., & Lass, N. J. (1999). Fundamentals of speech science (1st ed.). Boston, MA: Allyn & Bacon. 

  16. Graddol, D., & Swann, J. (1983).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Some physical and social correlates. Language and Speech, 26(Pt 4), 351-366. 

  17. Graham, C. (2014). Fundamental frequency range in Japanese and English: The case of simultaneous bilinguals. Phonetica, 71(4), 271-295. 

  18. Gussenhoven, C. (2004). The phonology of tone and intona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Hanley, T. D., Snidecor, J. C., & Ringel, R. L. (1966). Some acoustic differences among languages. Phonetica, 14(2), 97-107. 

  20. Hollien, H., & Shipp, T. (1972).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and chronologic age in mal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5(1), 155-159. 

  21. Hollien, H., Hollien, P. A., & de Jong, G. (1997). Effects of three parameters on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2(5), 2984-2992. 

  22. Huston, A. C. (1983). Sex typing. In P. H. Mussen (Series Ed.) & E. M. Hetherington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pp. 387-467). New York, NY: Wiley. 

  23. Keating, P., & Kuo, G. (2012). Comparison of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in English and Mandarin.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32(2), 1050-1060. 

  24. Kunzel, H. J. (1989). How well does average fundamental frequency correlate with speaker height and weight? Phonetica, 46(1-3), 117-125. 

  25. Laver, J. (1980). The phonetic description of voice quality: Cambridge Studies in Linguistic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Lim, S. B., Lee, G., & Rhee, S.-C. (2016). Effect of language on fundamental frequency: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English produced by L2 speakers and bilingual speake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8(4), 15-22. 

  27. Marian, V., Blumenfeld, H. K., & Kaushanskaya, M. (2007). The Language Experience and Proficiency Questionnaire (LEAP-Q): Assessing language profiles in bilinguals and multilingual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0(4), 940-967. 

  28. Mennen, I., Schaeffler, F., & Docherty, G. (2012). Cross-language differences in fundamental frequency range: A comparison of English and German.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31(3), 2249-2260. 

  29. Morrison, M. D., & Gore-Hickman, P. (1986). Voice disorders in the elderly. The Journal of Olaryngology, 15(4), 231-234. 

  30. Murry, T., Brown, W. S., Jr., & Morris, R. J. (1995). Patterns of fundamental frequency for three types of voice samples. Journal of Voice, 9(3), 282-289. 

  31. Mysak, E. D. (1959). Pitch and duration characteristics of older mal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1), 46-54. 

  32. Nevo, L., Nevo, C., & Oliveira, G. (2015). A comparison of vocal parameters in adult bilingual Hebrew-English speakers. CoDAS, 27(5), 483-491. 

  33. Ogunnaike, O., Dunham, Y., & Banaji, M. R. (2010). The language of implicit preference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6(6), 999-1003. 

  34. Ohala, J. J. (1984). An ethological perspective on common crosslanguage utilization of F0 of voice. Phonetica, 41(1), 1-16. 

  35. Ohara, Y. (1999). Performing gender through voice pitch: A cross-cultural analysis of Japanese and American English. In U. Pasero & F. Broun (Eds.). Wahrnehmung und Herstellung von Geschlecht (pp. 105-116). Wiesbaden, Germany: Westdeutscher Verlag. 

  36. Ordin, M., & Mennen, I. (2017). Cross-linguistic differences in bilinguals' fundamental frequency rang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0(6), 1493-1506. 

  37. Ryabov, R., Malakh, M., Trachtenberg, M., Wohl, S., & Oliveira, G. (2016). Self-perceived and acoustic voice characteristics of Russian-English bilinguals. Journal of Voice, 30(6), 772.e1-772.e8. 

  38. Shrivastav, R., Yamaguchi, H., & Andrews, M. (2000). Effects of stimulation techniques on vocal responses: Implications for assessment and treatment. Journal of Voice, 14(3), 322-330. 

  39. Traunmuller, H., & Eriksson, A. (1995). The frequency range of the voice fundamental in the speech of male and female adults. Unpublished manuscript. 

  40. Van Bezooijen, R. (1995). Sociocultural aspects of pitch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Dutch women. Language and Speech, 38(3), 253-265. 

  41. Van Dommelen, W. A., & Moxness, B. H. (1995). Acoustic parameters in speaker height and weight identification: Sex-specific behaviour. Language and Speech, 38(Pt 3), 267-287. 

  42. Voigt, R., Jurafsky, D., & Sumner, M. (2016). Between- and withinspeaker effects of bilingualism on F0 variation. In Interspeech 2016, 1122-1126. 

  43. Yamazawa, H., & Hollien, H. (1992).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patterns of Japanese women. Phonetica, 49(2), 128-140. 

  44. Yuan, J., Ryant, N., & Liberman, M. (2014, May). Automatic phonetic segmentation in Mandarin Chinese: Boundary models, glottal features and tone. Proceedings of the 2014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ICASSP) (pp. 2539-2543). Florence, Italy. 

  45. Zimmerer, F., Jugler, J., Andreeva, B., Mobius, B., & Trouvain, J. (2014). Too cautious to vary more? A comparison of pitch variation in native and non-native productions of French and German speakers. Proceedings of the Speech Prosody 7 (pp. 1037-1041). Dublin, Ireland. 

  46. Zraick, R. I., Nelson, J. L., Montague, J. C., & Monoson, P. K. (2000). The effect of task on determination of maximum phonational frequency range. Journal of Voice, 14(2), 154-160. 

  47. Zraick, R. I., Skaggs, S. D., & Montague, J. C. (2000). The effect of task on determination of habitual pitch. Journal of Voice, 14(4), 484-4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