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원일몰제 시행과 도시녹지 서비스에 대한 서울시민들의 선호측정: 아파트 실거래 기반 헤도닉가격접근법을 적용하여
A Hedonic Valuation of Urban Green Space in Seoul,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경제연구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28 no.1, 2019년, pp.61 - 93  

엄영숙 (전북대학교 경제학부) ,  최성록 (국립생태원) ,  김승규 (경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김진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20년 7월부터 시행될 '공원일몰제' 시행에 앞서 주민들의 도시녹지공간에 대한 선호를 분석하기 위해, 2015년 동안 서울시에서 거래된 아파트 117,918건의 실거래자료를 중심으로 다양한 GIS정보를 활용하여 단지 인근 강이나 하천, 산림 그리고 도시공원의 3가지 유형의 도시녹지공간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조망과 접근성으로 대표하여 헤도닉가격함수를 추정한 뒤 잠재가격과 주민들이 향유하는 연간편익을 측정하였다. 서울시민들은 한강을 포함한 아파트 단지 도시녹지공간들에 대해서 조망 및 10분 이내 접근성이나 거리-이용 접근성의 관점에서 모두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어메니티로 선호하고 있었다. 나아가서 강이나 하천 조망가능성(아파트 가격의 0.7-2.5%)과 접근가능성(2.3%)에 비해 도시공원 조망가능성(1.7-3.3%)이나 접근가능성(3.9%) 모두 잠재가격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가격에 기초한 연간 편익은 도시공원의 조망가능성에 약 55-60만원 그리고 10분 이내 접근가능성에 대해 80만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나 강이나 하천 조망이나 접근가능성에 비해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산림녹지 유형에 대해서는 강북지역 거주자들의 북한산 조망을 제외하고는 아파트 인근 산림 조망이나 접근성은 아파트 가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pply Hedonic Price Method in analyzing residents' preferences for three types of urban green space (UGS, rivers, urban parks, and forests) near the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Based on hedonic price function estimation results, residents in Seoul preferred for the urban amenity t...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국내에서 이루어진 HPM 연구는 대체로 부동산 관련 분야에서 도시전체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주로 새로 생기는 도시공원 등 특정유형의 녹지공간 인근지역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배수진, 2000; 양성돈 ‧ 최내영, 2003, 신상영 외, 2006; 이진순 외, 2013), 도시녹지 유형을 통합적으로 보기 보다는 특정 녹지유형의 조망이나 접근성 중 일부가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관련속성들의 한계잠재가격을 구하는데 치중하였다(김동준, 2002; 배수진, 2000; 윤청중 ‧ 유완, 2001; 김태윤 외, 2007; 이진순 외, 2013 등). 그러나 공원일몰제는 서울시 전체에 산재한 도시공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서울시의 특정지역이 아니라 서울시 전체에 대해서 3가지 도시녹지 유형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조망여부와 접근성을 다양한 GIS 정보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게 측정하고자 시도하였다는 데에 차별성이 있다.
  • 물론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본 연구에서 적용된 도시녹지 유형에 대한 조망가능성에 대한 측정은 거래가 이루어진 개별 아파트의 층과 향을 고려하여 GIS의 가시권 분석이 이루어졌다기 보다는 거래된 아파트 옥상에서 측정이 이루어져 조망여부나 조망범위 등에 있어서 정확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용도지역 지정이나 도시계획 등으로 주변단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 아파트 가격의 특성을 인근 3개 단지 아파트 가격 평균을 설명변수로 포함하여 공간적 상관성을 반영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대용량 자료의 컴퓨팅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 하위시장별로 무작위추출 등으로 표본설계를 개선하여 공간계량경제기법을 적용하는 둥의 공간적 종속성 여부 반영을 위핸 계량분석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헤도닉가격접근법(Hedonic Price Method, HPM)을 적용하여 서울시에서 2015년 동안 이루어진 아파트 실거래 자료와 각종 정부 공시자료, 인터넷 포털자료 그리고 비오톱 자료와 GIS 정보를 활용하여, 서울시 내 강이나 하천, 산림 그리고 도시공원으로 구분된 도시녹지공간이 제공하는 조망과 접근성으로 대변되는 어메니티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가 주택가격에 반영되는지를 실증분석하고 시민들이 향유하는 편익을 측정하고자 한다.
  • 로 측정되어, 특정 가격수준에서 평가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들의 아파트 거래가격에서 평가한 뒤, 표본 전체 평균을 구하여 제시하고 있다.

가설 설정

  • 아파트 가격 변화분으로 측정된 잠재가격을 기초로 도시녹지 서비스에 대한 연평균 지불의사로 전환하기 위해 아파트 수명이 30년 정도 된다고 가정하고 연 할인율은 5.5% 정도로 적용하였다(임영식 ‧ 전영섭, 1993). <표 7>에 제시되었듯이 도시공원 조망 가능성에 따른 연간편익은 약 55-60만 원 정도이고 10분 이내 접근 가능성에 대한 연간편익이 80만 원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녹지공간에 대한 주민들의 선호를 분석하기 위해 Box-Cox 모형 추정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2020년 공원일몰제 시행에 앞서 도시공원 등 도시녹지공간에 대한 주민들의 선호를 분석하기 위하여, 2015년 동안 서울시 전체에서 거래된 아파트 117,918건의 실거래 정보를 중심으로 GIS 정보 등을 활용하여 강이나 하천, 산림 그리고 도시공원의 3가지 도시녹지 유형으로부터 주민들이 누릴 수 있는 서비스를 조망 가능성과 접근성으로 대표하여 HPM을 적용하였다. 이분산이나 다중공선성 등 점검 한 후 Box-Cox 변환모형을 추정한 결과 -0.1의 비선형모형이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시장재인 도시녹지 서비스에 대한 잠재가격 측정은 좀 더 단순화된 로그-선형함수 추정치를 적용하였다.
헤도닉가격의 특징은 무엇인가? 3) 특히 Rosen(1974)은 이질적 재화나 서비스가 경쟁시장에서 거래된다면, 판매자들이 공급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특성들과 소비자들에 의해 수요되는 특성들이 시장에서 상호작용을 통하여 시장균형에 도달하고 시장균형가격이 결정될 수 있음을 보여 주였다. 이 시장균형가격을 바로 그 재화나 서비스의 헤도닉가격(hedonic price)이라고 불렀으며, 소비자와 공급자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소비자들의 기호(consumer tastes)와 판매자들의 비용(producer costs)에 의해서 동시에 영향을 받는다(Rosen, 1974; Bockstael and McConnell, 2009). 
최근에 주택의 시장가격에 반영되는 요소는 무엇인가? , 1997; MA, 2005; NEA 2011). 특히 최근 들어 주택이 단순한 거주의 공간이 아니라 안식처이자 삶의 질을 향상시켜 주는 장소로 인식이 전환되면서 거주지 인근의 도시녹지 생태계 서비스가 주거선택의 중요한 요소로서 주택의 시장가격에 반영되고 있다(McConnell and Walls, 2005 등). 우리나라에서도 주택선택 시 중요하게 여겨온 역세권이나 좋은 학군 이외에 강이나 호수를 조망할 수 있는 물세권이나 숲이나 도시공원 등에 가까이 입지하는 숲세권이나 공세권이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매일경제, 2017,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국토교통부. 2016. 

  2.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토지 및 건축물 대장. 

  3. 국가공간정보포털, http://market.nsdi.go.kr/goods/pdstrn/pdstrnMainList.do, http://market.nsdi.go.kr/goods/detail.do?gno12771 

  4. 국토정보플랫폼, http://map.ngii.go.kr/ms/map/NlipMap.do# 

  5. 국가공간정보포털, http://openapi.nsdi.go.kr/nsdi/index.do?afterLoginY 

  6. 국토교통 통계누리, https://stat.molit.go.kr/portal/main/portalMain.do 

  7. 국회입법처, "미집행 공원현황과 정책과제", 이슈와 논점, 1299호, 2017. 

  8. 김동준, "도시녹지환경이 주택가치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산림경제연구, 제10권 제1호, 2002, pp. 8-19. 

  9. 김태윤.이창무.조주현.박한, "경관 특성 차이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학연구, 제13권 제3호, 2007, pp. 169-186. 

  10. 네이버지도, https://map.naver.com/, 2016. 

  11. 다음부동산, http://realestate.daum.net/?nil_profilemini&nil_srcrealestate, 2016 

  12. 매일경제, 부동산 물세권 숲세권이 뜬다, 매일경제 2017.02.17. 

  13. 매일경제, 미세먼지 잡는 '공세권 아파트' 눈길, 매일경제 2018.3.27. 

  14. 박인선.엄영숙.엄수원, "아파트 단지 내 녹지면적지수 산정 및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주시를 사례로", 지역경제연구, 제34권, 2016, pp. 113-129. 

  15. 배수진, "주택가격에 내재한 녹지의 가격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0. 

  16. 서울시, 서울통계, http://stat.seoul.go.kr/jsp3/index.jsp, 2016 

  17. 서울시 정책지도, http://map.seoul.go.kr:9978/spm/gly/policy/view.do?POLICY_NO115 

  18. 서울시 도시계획포털, http://urban.seoul.go.kr/4DUPIS/sub7/sub7_7_4.js 

  19. 서울시, 서울부동산 정보광장, http://land.seoul.go.kr, 2018. 

  20. 신상영.김민희.목정훈, "서울숲 조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제7권 제4호, 2006, pp. 1-7. 

  21. 양성돈.최내영, "한강시민공원이 주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8권 제3호, 2003, pp. 270-285 

  22. 윤성훈.한성원, "서울아파트 매매가격의 거품가능성", 한국보험연구원(KIRI) 포커스, 2018. 

  23. 윤청중.유완, "도시경관의 조망특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36권 제7호, 2001, pp. 67-83 

  24. 이진순.김종훈.손양훈, "환경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도신도시에서의 조망품질 및 공원 접근성을 중심으로", 부동산연구, 제23권 제3호, 2013, pp. 99-121. 

  25. 임영식.전영섭, "헤도닉가격기법을 이용한 대기질 개선시의 편익추정", 자원경제학회지, 제3권 제1호, 1993, pp. 81-105. 

  26. 장남정, 미집행공원 실효대비 서울시 대응경험과 향후과제, 한국환경경제학회 정책로론회, 2018.11. 

  27. 최성록, 생태계서비스 경제사회가치평가 기법개발, 국립생태원, 2017. 

  28. 최성록.엄영숙. "선택실험을 이용한 도시녹지 어메니티의 경제적 가치평가",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7권 제1호, 2018, pp. 105-138. 

  29. 환경운동연합, 2020년 사라지는 우리 동네 공원 찾기, 2018. 

  30. 황형기.이창무.김미경, "한강조망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제16권 제2호, 2008, pp. 51-72. 

  31. Anselin, L and A. K. Bera, "Spatial Dependence in Linear Regression Models with an Introduction to Spatial Econometrics," eds by A. Uillah and D. Giles, Handbook of Applied Economic Statistics, 1998. 

  32. Bockstael, N. and K. E. McConnell, Environmental and Resource Valuation with Revealed Preferences, Springer, 2009. 

  33. Brander, L. M. and M. J. Koetse, "The value of urban open space: Meta-analyses of contingent valuation and hedonic pricing result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92, No.10, 2011, pp. 2763-2773. 

  34. Cavailhes, J. et al., "GIS-Based Hedonic Pricing of Landscape,"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Vol. 44, No. 4, 2009, pp. 571-590. 

  35. Costnaza, R, et al.,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Vol. 387, 1997, pp. 253-260. 

  36. Cropper, M. L., L. B, Deck, and K. E. McConnell, "On the Choice of Functional Form for hedonic price function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 75, 1988, pp. 225-232. 

  37. Czembrowski, P. and J. Kronenberg, "Hedonic pricing and different urban green space types and sizes: Insights into the discussion on valuing ecosystem servic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146, 2016, pp. 11-19. 

  38. Durbinm, R., "Spatial Autocrrelation and Neighborhood Quality,"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Vol. 22, 1992, pp. 433-452. 

  39. Freeman, A. M.,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Values: Theory and Method, Resource for the Future(Washington D. C.), 2003. 

  40. Haab, T. C. and K. E. McConnell, Valuing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s, Edward Elgar, 2003. 

  41. Kong, F., H. Yin and N. Nakagoshi, "Using GIS and landscape metrics in the hedonic price modeling of the amenity value of urban green space: A case study in Jinan City, Chi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79, 2007, pp.240-252. 

  42. MA(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Island Press. Washington, D.C, 2005. 

  43. Mackinnon, J., H. White, and R. Davidson, "Test for Model Specification in the Presence of Alternative Hypothesis: Some Further Results," Journal of Econometrics, Vol. 21, 1983, pp. 53-70. 

  44. McConnell, V. and M. Walls, "The Value of open space: Evidence from studies of nonmarket benefits," Report from Resources for the Future, 2005. 

  45. Palmquist, R. B., "Hedonic Models," in J. B. Braden and C. D. Kolstad(eds) Kolstad(eds) Measuring the demand for environmental quality, North-Holland, 1991, pp.77-120 

  46. Palmquist, R. B., "Valuing Localized Externalities," Journal of Urban Economics, Vol. 31, 1992, pp.59-68. 

  47. Rosen, S., "Hedonic Prices and implicit markets: product differentiation in pure competi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82, No. 1, 1974, pp.34-55. 

  48. Sander, H. A. and R. G. Haight,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cultural ecosystem services in an urbanizing area using hedonic pric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113, No. 30, 2012, pp.194-205. 

  49. Tyrvainen, L. and A, Miettinen, "Property Prices and Urban Forest Ameni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Vol. 39, 2000, pp. 205-223. 

  50. UKNEA, "The UK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Technical Report," Cambridge, UNEP-WCMC,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