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약 사례 연구 - 경상심약을 중심으로
A Study on Simyaksalye - Focused on Gyeongsangsimyak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32 no.2, 2019년, pp.61 - 69  

박훈평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myak (Finding Herbs) was a medical bureaucracy appointed directly by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province. Simyaksalye (Casebook of Finding Herbs) was a 19th-century manuscript dealing only with Simyak. This study has outlin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is document. Th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는 『심약사례』 문헌의 체제와 내용을 통하여 심약의 역할과 지위에 대해 분석했다. 그리하여 이전에 심약에 대하여 제기된 가설을 검증하고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 본고는 『심약사례』 문헌의 체제와 내용을 통하여 심약의 역할과 지위에 대해 분석했다. 그리하여 이전에 심약에 대하여 제기된 가설을 검증하고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 본고를 통해 「심약사례」의 내용을 개괄하고 내용을 살펴서 고찰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심약의 역할과 지위에 대해 더 깊은 이해를 도모하고, 지방과 중앙 의약을 연결되는 軸으로서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심약사례」에는 25종의 심약에 대해 기록되었지만 대구의 경상감영 심약 내용이 가장 상세하다.

가설 설정

  • 25) 2, 10월은 大令이고 4, 5・6, 7・8, 12월은 小令이었다.26) 음력 기준이므로 2월과 11월이면 봄과 가을이다. 약재 진상 관련 세목은 총 10항목이다.
  • 28) 17세기 대동법의 실시 이후 경상도 貢蔘은 대동법 적용 대상이 되어 현물 납부가 아니라 화폐로 납부되었다.29) 봉 항목에서도 현물 납부의 기록은 없다.
  • 0 cm이다.6) 필사된 원문 글자의 行列은 일정하지 않아 정해진 규칙은 없다. 조선 전통 제책법인 五針眼釘法으로 제책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審藥은 어떠한 벼슬인가? 審藥은 종9품에 불과하지만 조선시대 중앙정부에서 직접 임명하여 상시적으로 지방으로 파견한 유일한 의학 관료이다. 심약 직제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태조 때의 醫學敎授가 태종 때 醫學敎諭官으로 다시 1460년대 후반에야 심약으로 됨이 확인되었다.
完議란? 完議는 의논하여 합의된 것을 서로 지키기로 한 내용을 담은 문서로서 『심약사례』에서는 전체 내용의 서문 역할을 한다. 초서로 된 완의 내용(그림 2)을 脫草를 하여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審藥이 맡은 업무는 무엇인가? 심약 직제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태조 때의 醫學敎授가 태종 때 醫學敎諭官으로 다시 1460년대 후반에야 심약으로 됨이 확인되었다.1)  심약은 전의감과 혜민서의 취재를 통하여 관찰영, 병영, 통영 등에 파견되었는데 정원은 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며 약재진상과 士庶軍兵의 치료, 수령 감찰, 지방의학 교육 등의 업무를 맡았다.2) 「審藥事例」는 19세기 조선의 행정관청에서 다수 만들어지던 事例류 문건의 하나로 기존 심약 관련 연구에서도 소개되어 일부 다루어지고,3) 원문에 대한 역주도 이루어졌으나,4) 문헌 자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무진. 조선후기 경상감영에 관한 연구. 학림. 2015;36:125-179. 

  2. 내의원 편. 내의원 식례. 서울대 규장각 소장(청구번호 : 17200) 

  3. 문광균. 18세기 강계지역 공삼제의 운영과 변화. 조선시대사학보. 2011;57:161-206. 

  4. 박훈평. 조선시대 의관직 심약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2015;28(2):59-72. 

  5. 비변사 편. 조영준 역. 시폐. 서울:아카넷. 2013:192. 

  6. 전의감 편. 박훈평 역. 역주 심약사례. 서울:퍼플. 2015:상 8-116, 하 8-114. 

  7. 정성일. 조선후기 대일무역. 서울:신서원. 2000:255-299. 

  8. 국립중앙도서관. 자료검색 DB (http://http://www.nl.go.kr/nl) 

  9.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 DB(http://sjw.history.go.kr) 

  10.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DB(http://sillok.history.go.kr) 

  1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1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DB(http://people.aks.ac.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