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산구급방 정본화 연구
A Study of the Taesangugeupbang (Emergency Prescriptions for Childbirth) in the Context of Related Historical Medical Texts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32 no.1, 2019년, pp.1 - 10  

박훈평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마루요양병원 한방 2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aesangugeupbang (Emergency Prescriptions for Childbirth) is a medical text written by Li-Chengong of China in the early 14th century. It incorporates forms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 use in the Chosun Dynasty and is quoted in the Hyangyakjibsungbang (Compendium of Prescription from the Cou...

주제어

표/그림 (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胎産救急方』은 무엇인가? 『胎産救急方』은 『의방류취』 인용의서 중 하나로 인용서목 153종의 책 중 62번째이다. 『태산구급방』은 조선 전기 의학서에 일부 원문이 남은 실전된 산부인과 전문서 정도 로만 알려져 왔으나, 丹波元胤이 저술한 『医籍考』(1819년 간)에 의해 처음 실존이 알려지고 서문 전문이 소개되었다.
중국 송말원초의 醫家인 李辰拱은 어떤 인물이었는가? 필사본의 서문에 따르면 저자는 중국 송말원초의 醫家인 李辰拱이다. 그는 字가 正心, 延平 사람으로, 근방(三山)에 살던 명의인 楊士瀛으로 부터 의학을 배웠으며, 『傷寒集成 方法』(失傳)과 『胎産救急方』을 저술했다. 9) 『胎産救急方』 인용 문헌에 “家傳方”이나 “李氏家傳”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대대로 의업을 해온 집안 출신으로 추정된다.
양사영의 의학적 영향 아래에 책이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저자가 楊士瀛의 제자인 점은 조선에서 이 책이 다수의 의서에 인용된 이유일 수 있다. 『태산구급방』의 저술 목적에 대하여 책의 「서문」에서 양사영이 태산전문서를 저술하지 않았기 때문이라 할 정도로 이 책은 양사영의 의학적 영향 아래 있다. 양사영의 『直指方』(1264년)은 1430년(세종 12)에 의학 취재과목으로, 세조 때엔 의과 취재와 의서 습독관의 고강과목이 되며, 이후 醫科의 과목이 되어 조선 후기까지 의관들의 교과서로 활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정국 저, 성당제 역. 촌가구급방. 서울:아담앤달리. 2016. 

  2. 임원준. 태산집요 권6. 간행지미상(개인 소장). 

  3. 丹波元胤. ?籍考. 北京:學苑出版社. 2007. 

  4. 浙江省中?硏究院. ?方?聚 重校本 第10冊. 北京:人民衛生出版社. 2006. 

  5. 曹洪欣. 海外回歸中?善本古籍叢書 續 第10冊. 北京:人民衛生出版社. 2010. 

  6. 김중권. 향약집성방의 인용문헌 연구. 서지학연구. 2006;35:198-199, 218-219. 

  7. 류정아, 장우창. 의방유취에 수록된 상한론주해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2014;27(1):1-7. 

  8. 박수진, 김순희. 촌가구급방의 인용문헌 연구. 서지학연구. 2009;42:496, 501, 506. 

  9. 박훈평. 새로 발견된 조선전기 의학서 태산집요 연구. 장서각. 2016;36:6-27. 

  10. 박훈평. 조선시대 의학교과서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6;29(2):2-12. 

  11. 안상우. 의방유취의 서지학적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1999;12(2):30-31, 34-45. 

  12. 안상우. 고려의서 비예백요방의 고증. 서지학연구. 2001;22:325-350. 

  13. 안상우. 의방유취 편찬과 조선 전기 의서. 한국의사학회지. 2001;14(2):62-71. 

  14. 안상우. 실전의서 간기방의 복원연구. 서지학연구. 2008;40:269-293. 

  15. 이가은, 안상우. 의방유취에 인용된 보동비요와 조선 전기 소아의학. 한국의사학회지. 2006;19(2):7-17. 

  16. 이창욱. 조선 전기의 산부인과학 발달사.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1-79. 

  17. 장경은. 태산요록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28, 93-102, 187-195. 

  18. 홍란영. 조선시대 신편부인대전양방의 서지학적 고찰. 서지학연구. 2015;62:404-420. 

  19. 국립중앙도서관. 자료검색 DB(http://www.nl.go.kr) 

  20.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DB(http://sillok.history.go.kr) 

  21. 한국 역사분야 종합정보센터. 유니코드 한자검색 시스템(http://www.koreanhistory.or.kr/newchar) 

  22.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고전 DB(https://mediclassics.kr) 

  23. 中華書局, 中華善本 古籍庫微博 海外中 醫古籍庫 DB (http://books.ancientbooks.cn/banke/resource/1/index.htm) 

  24. 日本 國立公文書館, National Archives of Japan Digital Archive(https://www.digital.archives.go.jp) 

  25. 日本 早稻田大學 圖書館, Waseda University Library (https://archive.wul.waseda.ac.j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