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환경측정 신뢰성평가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udy on the Improvement of Reliability Assessment of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9 no.1, 2019년, pp.50 - 56  

황규석 (어진산업보건연구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iability assessment of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and to propose ways of improving the system. Methods: We have reviewed reports and articles on the reliability assessment written by KOSHA and academia in order to analyze problems related with...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작업환경측정 신뢰성평가 제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근로자의 신뢰를 얻기 위한 방안을 문헌 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법적 신뢰성평가의 대상과 최근의 신뢰성평가 실시결과를 검토하였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측정기관과 근로자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 반면에 사업주는 작업환경측정과 신뢰성평가의 주체이나 측정기관에 집중된 신뢰성 평가로 인해 작업환경측정과 신뢰성평가가 사업주의 책임이라는 것을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작업환경측정 신뢰성평가 운영상황을 분석하고 그 본래의 목적에 맞게 작동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환경 측정 시 몇 종의 유해인자에 대해 측정해야하는가? 우리나라는 근로자의 건강보호와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하여 191종의 유해인자에 대하여 작업환경 측정을 의무화하고 있다(MoEL, 2018). 원론적으로 작업환경측정 결과는 실제 근로자의 노출실태를 반영해야 한다.
신뢰성평가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하는 주요 집단은? 신뢰성평가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하는 주요 집단은 측정기관 종사자들과 근로자 집단이다. 이중에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문제제기를 하는 집단은 측정기관 이지만 측정기관이 평가를 받는 입장이라는 점에서 당연한 현상이다.
측정제도에 대한 사업주가 갖는 잘 못 된 인식은? 또한 언제 신뢰성평가의 대상이 될지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측정기관으로서는 더욱 불편한 제도임은 틀림이 없다. 반면에 사업주는 작업환경측정과 신뢰성평가의 주체이나 측정기관에 집중된 신뢰성 평가로 인해 작업환경측정과 신뢰성평가가 사업주의 책임이라는 것을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작업환경측정 신뢰성평가 운영상황을 분석하고 그 본래의 목적에 맞게 작동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JS. The 48th winter conference book 2018.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2018. p. 14 

  2. Choi SJ, Kim W. Status of benzene exposure and suggested countermeasures for petrochemical workers in the Yeosu Industrial Complex.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7;17(4):310-321 

  3. Jeong JY, Kang TS, Lee SG, Park HD, Kim KY. An improvement plan for a workplace monitoring system through random selection of workplaces and unnoticed measurement inspection.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17;27(2):105-114. https://doi.org/10.15269/JKSOEH.2017.27.2.105 

  4. Jeong WS. The concentration of normal hexane over 4.5 times for occupational exposure limits(Feb.1.2005). Yeonhap News, 2005 

  5. Jo HJ. The Minister of Ministry of Labor has to apologize for the occupational disease case(Jan.1.2005). Ohmynews, 2005 

  6. Kim JM, Won JI, Roh YM, Kim SW, Ki YH et 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ppropriate interval of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OSHRI), 2007 

  7. Kim SW. Most of workers in Incheon area don't know the risk of chemicals dealt by them(Dec.28.2016). Joongboo-Ilbo, 2016 

  8.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Guide book for reliability assessment of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KOSHA, 2017 

  9.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Computerized reporting system of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results. KOSHA, 2018 

  10. Kwon KH. Policy studies. Parkyoungsa, 2008. p. 332-333 

  1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MOEL, 2018 

  1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Regulation for the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and Quality Control. MoEL, 2011 

  1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A Guide for Missing Agents in Work Environment Monitoring. MoEL, 2016 

  14.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MoIS). Administrative procedures Act. MoIS, 2017 

  15. Minstry of Justice(MoJ). Restriction of Order Violation Act. MoJ, 2017 

  16. Minstry of Justice(MoJ).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MoJ, 2017 

  17. Paik NW, Park DW, Yoon CS. Work environment monitoring and assessment. Shinkwang, 1997. p. 28-29 

  18. Park DW, Paik NW, Shin YC. Industrial Health. KNOUPRESS, 2017. p. 37-39 

  19. Park SH, Shin HW, Kang SK. A reliability assessment for the exposure monitoring results of some workplace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7;17(2):K17-K20 

  20. Roh YM, Kim CN, Kim HW, Park YK, Cho KH et al. The development for quality control program in the field of industrial hygiene in Korea - A review on the necessity for application of accreditation program.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4;14(1):92-101 

  21. Shin YC, Park JH, Kim KH, Kang SH, Kam YR et 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quality control systems for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OSHRI), 2015 

  22. Woo GH. What did Minstry of Labor do to prevent a lead poisoning occurring at a casting factory(Dec.28.2017). Kyengnam-Ilbo, 20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