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화수소 누출사고 사례를 통한 주변 농작물의 환경피해
Environmental Damage to Nearby Crops by Hydrogen Fluoride Accident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8 no.1, 2019년, pp.54 - 60  

김재영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 ,  이은별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 ,  이명지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실제 불화수소 누출 사고에 대한 OCA(Off-site consequence analysis) 분석을 통해 최악 및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를 선정하여 사고영향범위 예측치를 평가하고, 사고 반경 내 농작물의 잔류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화학사고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환경 피해영향범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KOR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고영향범위를 분석한 결과, 최악의 사고시나리오는 사고 발생지점으로부터 10 km 이상,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는 1,968 m의 영향범위가 산정되었고, ALOHA 소프트웨어 구동 결과는 약 1.9 km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실제 사고 지역 내 농작물의 불소화물 잔류 여부를 측정한 결과, 피해지역 내 불소화물 농도는 4.96~276.82 mg/kg 범위로 사고 발생지점 인근이(E-1) 가장 높았고(276.82 mg/kg), 동쪽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잔류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한편, 북동 방향 2지점과 남동 방향 4지점은 사고 발생지점 인근보다는 낮은 경향이었다(4.96~28.98 mg/kg). 이러한 결과를 비추어 2 km 내외 지점의 불소화물 농도가 5 mg/kg 이하의 미미한 수준과 대안의 사고시나리오 예측 영향범위인 약 1.9 km를 고려했을 때 피해영향범위는 약 2 km 내외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OCA 평가는 누출조건, 기상조건, 시간경과에 따른 물리화학적 변수 등을 사고현장과 동일하게 입력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피해영향범위와 다른 경향은 있지만 농작물 중 불소화물 잔류오염 여부를 동시에 평가함에 따라 화학사고로부터 화학물질의 확산범위를 산정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Hydrogen fluoride is one of the 97 accident preparedness substances regul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and chemical accidents should be managed centrally due to continual occurrence. Especially, hydrogen fluoride has a characteristic of rapid diffusion and ve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발생된 불화수소 누출 사고 사례를 배경으로 사고유형에 따른 사고시나리오를 선정하여 사고영향범위 예측치를 평가한 후, 사고 반경 내 농작물을 채취하여 불화수소로 인해 피해를 받은 농작물의 잔류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화학사고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환경 피해영향범위 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실제 불화수소 누출 사고에 대한 OCA(Off-site consequence analysis) 분석을 통해 최악 및 대안의 사고시나 리오를 선정하여 사고영향범위 예측치를 평가하고, 사고 반경 내 농작물의 잔류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화학사고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환경 피해영향범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KOR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고영향범위를 분석한 결과, 최악의 사고시나리오는 사고 발생지점으로부터 10 km 이상,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는 1,968 m의 영향범위가 산정되었고, ALOHA 소프트웨어 구동 결과는 약 1.
  • 본 연구는 유수불산 제조를 위해 희석설비에 공급되는 무수불산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18톤이 적재된 탱크로리의 불산을 희석설비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밸브가 열려 불화수소가 누출된 사고를 배경으로 수행되었다. 사고 당시 풍향은 서풍으로 1.

가설 설정

  • 8℃, 습도 64%를 적용하였다. 지표면의 굴곡도는 시골지형으로 하였으며, 누출량 산정은 최악의 사고시나리오의 경우 탱크로리 내 취급하는 무수불산의 최대량이 10분 동안 전량 방출되어 확산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는 누출량 산정을 위해 누출공 크기는 가장 큰 연결 배관직경 50 mm로 가정하였고, 누출시간은 미국석유화학협회의 위험기반검사 기준(API 581)에 따른 산출방법에 따라 검출시스템과 차단시스템을 고려하여 30분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사고 영향범위 산정에 관한 기술지침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2015)에 따라 가우시안 플룸 모델을 사용하여 영향범위를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고대비물질이란 무엇인가? , 2018). 특히, 사고대비물질은 급성독성/폭발성이 강하여 화학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거나 화학사고 발생한 경우에 그 피해규모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물질로서 화학사고 대비/대응계획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97 종의 물질을 환경부가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8).
불산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물질인가? , 2014). 또한, 부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인체에 노출될 경우, 화상, 호흡기 자극, 기관지 궤양, 폐부종, 눈 자극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Koh et al., 2014), 만성적으로는 불소 침착증을 일으키는 등의 인체에 매우 유해하고(Erdal and Buchanan, 2005), 뼛속까지 침투하여 신체를 절단할 수 있는 굉장히 유독한 물질이다(Kim and Jung, 2016). 이처럼 불화수소는 인체와 환경에 매우 유해한 사고대비물질 중 하나이기 때문에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피해영향범위를 예측하고, 오염도를 즉시 평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불산의 특성은 무엇인가? 액체 성상을 가진 불산은 19.5℃ 이상에서 불화수소로 기화하여 대기 중으로 누출되면 빠르게 확산되는 특성을 가지며, 물에 잘 녹고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흰색의 흄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사고지역 주변에 심각한 환경피해를 초래한다(Gu et al., 2013; Ko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S., Erdal 113 1 111 (2005) 10.1289/ehp.7077 

  2.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S., Gu 39 4 346 (2013) 10.5668/JEHS.2013.39.4.346 

  3.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B. G., Jung 4 2 22 (2016) 

  4.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G. S., Kim 17 1 45 (2015) 10.17663/JWR.2015.17.1.045 

  5.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J. H., Kim 55 1 48 (2017) 

  6.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J., Kim 54 4 582 (2016) 10.9713/kcer.2016.54.4.582 

  7.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J. Y., Kim 37 1 49 (2018) 10.5338/KJEA.2018.37.1.02 

  8.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Y. J., Kim 3 7 666 (2016) 10.9786/kswm.2016.33.7.666 

  9.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D., Koh 40 1 27 (2014) 10.5668/JEHS.2014.40.1.27 

  10.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J. S., Park 36 4 288 (2017) 10.5338/KJEA.2017.36.4.37 

  11.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B., Yim 32 3 248 (2016) 10.5572/KOSAE.2016.32.3.24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