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임계 CO2 접촉량이 염색 균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Influence of the Contact Amount of Supercritical CO2 on Dyeing Uniformity 원문보기

韓國染色加工學會誌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31 no.1, 2019년, pp.25 - 32  

박신 ((주)대주기계) ,  최현석 (DYETEC연구원) ,  김태영 ((주)대주기계) ,  송태현 ((주)대주기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fluence of the contact amount of carbon dioxide per unit mass of dyestuff(${\alpha}$) on dyeing uniformity in supercritical fluid dyeing is analyz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s using a 5L class Pilot Scale dyeing machine is carried out for this study purpose. For a fixed temperat...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용설비와 유사한 공정을 형성 시킬 수 있는 5L급 Pilot Scale 염색기를 사용하여 초임계 CO2 접촉량이 염색 균염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임계 염색 기술은 무엇인가? 초임계 염색 기술은 임계온도, 임계압력 이상의 영역에서 존재하는 초임계 유체를 용매로 사용하는 염색 기술이다. 초임계 유체는 높은 확산성과 용해도를 가지면서, 낮은 점성과 표면장력을 갖기 때문에 투과력이 좋다.
초임계 염색이 수계빔염색에 비해 뛰어난 점은 무엇인가? 다만 차이점은 염료를 녹이는 용매와 염색의 형성 방법이다. 염색을 형성한 뒤 염색이 이루어지는 수계빔염색과 달리 초임계 염색은 염색공정이 진행되면서 초임계 CO2가 염료를 용 해 시키면서 염색이 형성되어, 별도의 분산제나 계면활성제가 없이도 염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화학물질의 사용이 최소화된다.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섬유 염색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되는가? 염색가공공정은 섬유에 심미성을 부여하는 공정으로 섬유/염색 산업에 가장 높은 부가가치를 생성한다. 일반적인 수계염색의 염색가공공정은 섬유 1kg당 약 100L의 물이 필요하고, 물을 130℃까지 상승시키고 유지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에너지 다소비 공정이다. 또한 분산제, 계면활성제와 같은 화학 물질이 포함되어 염색 후 잔여 폐수로 인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중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염색하는 기술이 등장하게 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W. Saus, D. Knittel, and E. Schollmeyer, Dyeing of Textiles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Tex. Res. J., 63(3), 135(1993). 

  2. J. H. Kim, Theme : Supercritical Fluid, J. KSME, 55(7), 30(2015). 

  3. E. Bach, E. Cleve, and E. P. Schollmeyer, Past, Present and Future of Supercritical Fluid Dyeing Technology, Rev. Prog. Color. Relat. Top., 32, 88(2002). 

  4. A. Hou, B. Chen, J. Dai, and K. Zhang,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s Solvent to Replace Water in Polyetylene Terephthalate(PET) Fabric Dyeing Procedures, J. Clean Prod., 18, 1009(2010). 

  5. M. Banchero, S. Sicardi, A. Ferri, and L. Manna, Supercritical Dyeing of Textiles - From the Laboratory Apparatus to the Pilot Plant, Text. Res. J., 78, 217(2008). 

  6. M. V. D. Kraan, Process and Equipment Development for Textile Dyeing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Ph.D. Thesi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2005. 

  7. J. J. Long, Y. Q. Ma, and J. P. Zhao, Investigations on the Level Dyeing of Fabric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J. Supercrit. Fluids, 57, 80(2011). 

  8. J. V. Schnitzler and R. Eggers, Mass Transfer in Polymers in a Supercritical $CO_2$ -Atmosphere, J. Supercrit. Fluids, 16, 81(1999). 

  9. A. Hou, K. Xie, and J. Dai, Effect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Dyeing Conditions on the Chemical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J. Appl. Polym. Sci., 92, 2008(2004). 

  10. O. S. Fleming, S. G. Kazarian, E. Bach, and E. Schollmeyer, Confocal Raman Study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res Dyed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Dye Diffusion and Polymer Morphology, Polymer, 46, 2943(2005). 

  11. M. V. D. Kraan, M. V. F. Cid, G. F. Woerlee, W. J. T. Veugelers, and G. J. Witkamp, Equilibrium Study on the Disperse Dyeing of Polyester Textile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Text. Res. J., 77, 550(2007). 

  12. P. Bao and J. Dai, Relationships between the Solubility of C. I. Disperse Red 60 and Uptake on PET in Supercritical $CO_2$ , J. Chem. Eng. Data, 50, 838(2005). 

  13. M. W. Park and H. K. Bae, Dye Distribution in Supercritical Dyeing with Carbon Dioxide, J. Supercrit. Fluids, 22, 65(2002). 

  14. A. Ferri, M. Banchero, L. Manna, and S. Sicardi, Dye Uptake and Partition Ratio of Disperse Dyes between a PET Yarn 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J. Supercrit. Fluids, 37, 107(2006). 

  15. H. D. Sung and J. J. Shim, Solubility of C.I. Disperse Red 60 and C.I. Disperse Blue 60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J. Chem. Eng. Data, 44, 985(1999). 

  16. C. C. Tsai, H. Lin, and M. Lee, Solubility of Disperse Yellow 54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ith of without Cosolvent, Fluid Phase Equalibria, 260, 287(2007). 

  17. K. H. Chang, H. K. Bae, and J. J. Shim, Dyeing of PET Textile Fibers and Film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Korean J. Chem. Eng., 13(3), 310(1996). 

  18. I. I. Jung, S. Y. Lee, G. B. Lim, and J. H. Ryu, Supercritical Fluid Dyeing of Polyester Fiber with Two Different Dispersion Dyes, Clean Technology, 17(2), 110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