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라돈 저감형 기능성 보드제작을 위한 흡착재의 라돈 저감 성능
Radon Reduction Performance of Adsorbent for Making Radon-Reducing Functional Board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9 no.2, 2019년, pp.139 - 147  

김기훈 (Graduate School, Hanbat National University) ,  편수정 (Graduate School, Hanbat National University) ,  김연호 (Graduate School, Hanbat National University) ,  이상수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방사능 물질의 위험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원전사고 등의 대규모 인명 피해와 위험지역 선정 등의 이유로 인체의 방사능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요구되는 실내 건축용 마감재에 대한 것이다. 일상에서 방사능에 노출되는 여러 가능성 중 실내 공기 중 라돈가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라돈가스 흡착형 경화체에 대한 기초연구 자료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 흡착재로 활용된 재료는 규조토와 실리카겔로, 천연 흡착재인 규조토와 인공 흡착재인 실리카겔의 기초 성능 및 흡착 성능을 평가하였다. 향후 실내 공기 중 라돈가스 농도 저감에 대한 정밀한 추가 실험에 대한 연구결과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실험결과에 따른 인공 흡착재인 실리카겔의 라돈가스 흡착 가능성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perties of cement matrix using diatomite and silica gel as adsorbents of radon. The adsorption properties of diatomite of a natural adsorbent and silica gel of an artificial sorbent were examined to confirm the reduction of radon gas conc...

주제어

표/그림 (2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실내 · 외에서 발생 유입되는 라돈가스를 흡착 및 저감하기 위한 실내 마감재에 관한 기초연구로 규조토와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특성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현재 흡착재 중 뛰어난 흡착성을 가지고 있는 천연 흡착재인 규조토와 라돈 흡착분야에서 아직 검증되지 않은 인공 흡착재인 실리카겔의 재료적 특성 검토를 통해 흡착 경화체의 기초 특성을 파악하고 비교하며, 흡착재를 사용한 경화체의 성능을 토출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는 라돈가스에 의한 실내 공기질 오염 수준의 저감을 위하여 실내의 라돈을 흡착 및 저감하는 기능성 건축용 보드 제작을 위한 기초 연구로 흡착재를 사용한 경화체를 제작하여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돈가스란? 라돈가스의 경우 시사프로그램 및 뉴스를 통해 그 위험성이 밝혀지고 있으며, 자연 방사선 피폭이 주목 받고 있다. 라돈가스란 암석이나 토양, 건축자재 등에서 존재하는 우라늄의 붕괴과정을 통해 발생하는 무색, 무취, 무미의 불활성가스로, 지구상 어디에나 존재하는 자연방사성의 물질이다[2,3]. 이러한 라돈은 토양으로부터 건물의 바닥이나 벽의 갈라진 틈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거나 건축자재, 지하수, 등에서 유입된다.
실리카겔은 어디에 주로 활용되는가? 무미, 무취의 반투명한 입자 상태의 고체로, 내부에 체적의 약 50% 정도의 무수한 공극과 큰 표면적으로 인해 수분과 가스 흡착력이 크다. 건조제, 흡착제로 주로 활용되고, 물에 녹지 않으며 독성과 가연성이 없다. 원모양인 것은 공기저항이 적고, 흡착 포화한 것은 150~200(℃)에서 1~2시간 가열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다[12].
라돈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곳은? 유입된 라돈은 밀폐된 실내 공간 내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고농도로 축적되어 인체 생물학적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라돈의 농도는 토양에 인접한 단독주택이나, 바닥과 벽 등에 균열이 많은 오래된 건축물, 밀폐도가 높고 환기시설이 부족한 실내에서 높게 나타난다. 라돈가스의 위해성 중 하나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바로 폐암 발병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Lee JH. Measures for national health protection from radiation contamination and tasks to be solved. Environmental health forum of the environmental toxic health society. 2011 Apr;2011(4):57-82. 

  2. Park SY. Effect of tobacco smoke on exposure of radon and it's daughters [master's thesis]. [Seoul (Korea)]: Yonsei University; 2001. 40 p. 

  3. David B, Maurine AR, David RS. Indoor radon and its hazard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1988 Jan;77(1):83-4. 

  4.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Internet]. Indoor radon management. 2016 [updated 2017 Feb 6]. Available from: https://www.keco.or.kr/kr/business/facility/communityid/198/view.do?idx21514. 

  5. Ministry of Environment.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2006 [updated 2005 Nov 8]. Available from: http://www.me.go.kr /home/web/board/read.do?menuId10181&boardMasterId54&boardCategoryId&boardId151441 

  6. Min DW, Chung KS, Kim YI. A study on the variation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due to the ventilation rate in apartment housing.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Academic conference; 2015 June; Seoul, Korea. Seoul (Korea):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2015. p. 431-4. 

  7. Cha SY. Survey on the radon concentration in multipurpose facilities and residential area(Apartment) in Incheon [master's thesis]. [Seongnam (Korea)]: Gachon University; 2014. 32 p. 

  8. Jung GH, Cho H, Pang SK. Survey on 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new housing complex.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cademic conference; 2014. Oct 23; Busan. Korea. Seoul (Korea):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4. p. 443-4. 

  9. Kim SH. Effect of cement powder degree on concrete engineering properties [master's thesis]. [Cheongju (Korea)]: Cheongju University; 2008. 108 p. 

  10. Kim YB.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containing diatomite [dissertation]. [Ansan (Korea)]: Hanyang University; 2008. 135 p. 

  11. Kim JY. A study on the treatment of water by diatomite filtration an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process [master's thesis]. [Gwangju (Korea)]: Chosun University; 2002. 57 p. 

  12. Jung JY.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lica gel and zeolite-bearing honeycomb dehumidification rotor [master's thesis]. [Cheongju (Korea)]: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0. 108 p. 

  13. Gang JS. Characteristics of radon adsorption type hardener using diatomite and powdered activated carbon as adsorbents [master's thesis]. [Daejeon (Korea)]: Hanbat National University; 2018. 64 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