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체환경과 청소년 사이버비행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성인매체몰입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edia Environment and Adolescent Cyber-Delinquency : Focused on X-rated Media Commitmen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4, 2019년, pp.365 - 379  

이창문 (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문진영 (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박주원 (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이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검토된 일반긴장 이론, 비행기회 이론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한 이후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한 패널 4차 자료와 7차 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이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사이버 비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종단적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STAT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이버 비행을 저지르는 결정요인을 패널 로짓분석을 통해 살펴본 다음 이후 패널 토빗확률효과 모형을 통하여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횟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 비행횟수와 관련해서는 성인매체몰입, 컴퓨터 사용시간, 휴대폰 의존 정도는 사이버 비행횟수를 증가시켰으며, 연령증가, 부모의 양육태도 중 관심적 감독은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횟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factors affect cyber-delinquency after examining the previous research focusing on the general strain theory and the delinquency opportunity theory in the existing studies. And as adolescents move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this study is inten...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이버 비행횟수의 경우 사이버 비행에 대한 응답 중 0에 해당하는 비율이 87%로서 해당하지 않는 비율이 매우 높아서 자료의 형태가 정규분포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 패널 토빗분석을 실시하게 되며[38], 이 자료의 경우는 좌측 중도절단 패널 토빗모형을 선택[37,39] 하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패널 토빗모형은 비선형모형이므로 모든 변수들의 관찰치 수준에 따라 한계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립 및 통제변수들의 평균수준에서 한계효과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성인매체몰입도의 청소년 사이버 비행횟수에 대한 한계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휴대폰 의존도와 컴퓨터 사용시간의 단위당 증가에 따른 한계효과가 나타났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매체몰입이 사이버 비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한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 제4차 자료와 제7차 자료를 분석하였다.
  • 기존의 성인매체몰입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성인매체몰입을 종속변수로 하여 진행되었는데, 성인매체몰입을 독립변수로 두고 이것이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매체몰입이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에 관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청소년 사이버 비행발생 여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패널 로짓분석을 실시하고자 하는데, 패널 로짓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확률효과 모형과 고정효과 모형이 적합한지 결정해야한다[4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우스만 테스트를 통해서 패널개체특성 ui가 고정효과인지 확률효과를 지니는지를 검정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 5%에 이르렀다[1]. 미디어 기기 접근율이 너무도 쉽고 빠른 현실 상황에서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을 살펴보았다. 2018 청소년 통계에 의하면 2017년 13세~24세 청소년 중 주중 여가시간은 컴퓨터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68.
  • 기존 선행연구들은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의 독립변수로서 인터넷 사용시간, 휴대폰 의존, 공격성, 정서적 변수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범람하고 있는 인터넷 개인방송이나 웹툰 등에 대한 사회적 이슈가 대두되고 있음을 주목하여 성인매체에 대한 청소년의 몰입도가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매체몰입이 사이버 비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한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 제4차 자료와 제7차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일반긴장 이론과 비행기회 이론을 대입하여 성인매체 및 컴퓨터 사용시간, 휴대폰 의존정도, 부모의 양육태도, 연령성숙, 청소년의 정서 등이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의 발생과 비행횟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 이상에서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요약하자면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은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이행되는 시기에 전반적으로 감소하지만 성인매체몰입은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 발생확률과 비행횟수에 아주 강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2017 인터넷 법제 동향보고에 의하면 국회는 청소년 유해정보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법률을 제안하였다. 청소년들 사이에 음란물 등 온라인상 유해물이 급속도로 확산되는 현상과 무차별적으로 유포되는 유해정보의 차단을 위한 근본 대책을 위한 것이다. 이 법률안은 인터넷 개인방송에서 도박, 성매매·음란, 명예훼손, 욕설·차별·비하 발언 등의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방송이 자주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불법정보 또는 청소년 유해정보가 사이버상에서 유통되고 있으나 마땅한 규제가 없다는 필요성을 제기하였다[16].
  •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을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크게 비행기회이론, 일반긴장이론, 자기통제이론 등이 있는데[20], 본 연구에서는 비행기회이론과 일반긴장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이버 비행에 대한 정의의 특징은? 사이버 비행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인 내용은 직접적인 물리력을 동원하지 않고, 사이버 공간에서 일어나는 청소년의 일탈행위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직접적인 물리력을 동원하지 않는다는 것이 사이버 비행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이버 비행 당사자에게도 책임감을 느끼지 못하게 하여 확장성이 높아진다[31]는 점에서 사이버 비행은 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성인매체물이 청소년에게 무방비로 노출되는 원인은? 최근 들어 성인매체물은 청소년에게 무방비로 노출되며, 청소년의 성인매체물에 대한 접근 또한 이전보다 훨씬 용이한 실정이다. 이는 휴대폰의 보급으로 인한 인터넷 콘텐츠에 대한 접근이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쉬워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성인매체에 대한 몰입정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청소년의 성인매체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Cohen & Felson이 제시하는 범죄의 발생요인은? 비행기회이론(Opportunity Theories)을 주장한 Cohen & Felson에 따르면 범죄의 발생요인을 동기가 부여된 범죄자(motivated offender), 적당한 범행대상(suitable targets), 범죄를 억제할 능력 있는 감시인의 부재(absence of capable guardians)를 제시하고 있다[21]. 청소년들의 사이버 비행은 다양한 요인들 중 인터넷 사용시간에 관심을 갖는 비행기회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하며[22,23], 비행기회이론에 의하면 우연히 비행기회에 노출되는 것이 비행의 원인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ion. (2018). 2017 Korea Media Panel Research. 

  2. Statistics Korea, Min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8). 2018 Adolescent statics, http://www.mogef.go.kr/nw/rpd/nw_rpd_s001d.do?midnews405&bbtSn705607. 

  3. S. P. Robbins, Prenab Chatterjee & R. C. Edward. (2012). Contemporary Human Behavior Theory 3rd Editon, Allyn and Bacon. 

  4. Ministry of Justice. (2017). http://www.prism.go.kr/homepage/main/retrieveMain.do 

  5. Y. S. Park & A. N. Lim. (2017). The Effect of Aggression on Juvenile Cyber Delinquency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Journal of Welfare for Correction, 50, 57-58. 

  6. S. H. Hwang & K. H. Lee. (2017). The Analysis of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Adolescents' Cyber Delinquency,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24(1), 157-175. 

  7. S. S. Park. (2018).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mputer Use Hours, Smart Phone Dependency, Pornography Addiction, Learning Activities, and Peer Relationship of Male Adolescent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34(2), 53-79. 

  8. J. W. Lee, S. R. Lee & Y. M. Jung. (2016).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VII : Basic Analysis Report I-Adolescent delinquency's actual situation and trend analysis : real and cyber juvenile delinquencie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http://www.nypi.re.kr/contents/site.do. 

  9. H. R. Jeon & Y. I. Cho. (2015). A Study on the Longitudinal Relation between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Substance Us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1), 111-129. 

  10. Y. N. Kim, Y. S. Kim & H. I. Cho. (2018).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chool Violence Experiences during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Longitudinal Changes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s and School Adjustment during High School Period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9(1), 29-57. 

  11. H. J. Kim & J. Y. Rha. (2017). Parents, peer, and teachers relations as predictor of adolescent adult media addiction and depress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5(6), 567-580. 

  12. D. S. Jun, J. S. Lee & D. W. Kim. (2017). Adolescent's mobile phone overuse and pornography addiction,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studies, 31(1), 107-124. 

  13. O. S. Kim & H. Y. Choi. (2017). Impact of Maltreatment Experience from Parents on Adolescents' X-rated Media Preoccup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Phone Dependency and Aggression,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37(0), 1-23. 

  14. H. J. Shim & H. M. Lee & H. S. Rhee. (2016). Factors Influencing Adult Media Engagement of Adolescents from Micro-systemic Perspective : Mediation Analysis of Cell-Phone Dependen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9(2), 63-70. 

  15. S. H. Lim, Y. I. Song & D. H. Kwak. (2018). The Effects of Juvenile Delinquents' Gambling Behavior and Cyber Delinquency on Gambling Addiction, Korean Criminal Psychology Review, 14(3), 119-132. 

  16.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7). Laws and Policy Trends of the Internet, 122, https://www.kisa.or.kr/main.jsp 

  17. D. I. Kim, H. E. Lee, C. M. Keum, Altteuri Park, J. W. Oh. (2018).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covery and Adaptation Factors According to Types of School Violence Exposure in Youth: Focusing o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PDF ic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 32(1), 99-132. 

  18. M. S. Ha. (2014).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Trajectories of Mobile Phone Dependency and Its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amongst Adolescence, Asian Journal of Education, 5(4), 313-336. 

  19. T. Y. Kim, S. R Park. (2008). A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media use and personality : A secondary analysis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2003-2006,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45(1), 173-201. 

  20. H. W. Jung. (2010). The Changes of Cyber Delinquency and The Predictors in Adolescence,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263-288. 

  21. L. Cohen. & M. Felson. (1979). Social change and crime rate trends : A routine activity approac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4, 588-608. 

  22. M. Kim. (2003). A Study on the Reality of Internet Addiction and Cyber-Sexual Addict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5(1), 53-83. 

  23. S. S. Lee. (2009). The Effects of Strain, Low Self-Control, and Internet Time Use on Cyber Delinquency : Testing Three Theories of Delinquency,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20(1), 95-115. 

  24. D. M. Yeum, S. J. Kim & S. D. Lee. (2014). A study of the effect of adolescents' overuse of internet on their cyber delinquenc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Studies on Korean Youth, 25(4), 159-183. 

  25. S. H. Baek, J. H. Kim. (2018). A Convergence Study on association of Internet Use Time with Perceived Status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1), 153-159. DOI:10.15207/JKCS.2018.9.11.153 

  26. J. S. Lee & Y. Y. Ahn. (2005). A Study of Use of Computer by Elementary Schoolers and Cyber- Related Delinquency, Studies on Korean Youth, 16(1), 225-254. 

  27. R. Agnew. (1992). Foundation for a general strain theory of crime and delinquency, Criminology, 30(1), 47-88. 

  28. E. J. Kim, H. J. Shin. (2018). Convergence Study about Factors on Problem Behaviors of Male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407-414. DOI:10.15207/JKCS.2018.9.10.407 

  29. K. H. Kim & E. J. Cha. (2014). Effects of Parents` Rearing Attitudes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yber Delinquency: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Moderating Effect of School Level,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2), 27-54. 

  30. S. B. Yoo & W. H. Lee. (2018). Strain factors and juvenile cyber-delinquency in General strain theory, Korean Academy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27(4), 279-306. 

  31. H. W. Jung & D. W. Chung. (2012). The Effects of Korean Adolescents' Self-Control upon their cyber delinquen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9), 1-23. 

  32. Y. H. Sim. (2003). Cyber Sexual Violence and Ethic, Crime Prevention Forum, 12, 55-73. 

  33. J. W. Patchin & S. Hinduja. (2006). Bully: beyond the schoolyare: Preventing and responding to cyberbullying, Youth Violence and Juvenile Justice. 4(2). 148-169. 

  34. E. K. Kim. (2012). A Study of Effect of the Predictors on Youth's Cyber Bullying,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35. B. E. Seo. (2017). The Factors Affecting Cyber Delinquency among Korean Youth : Focus on School Level Differenc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5(1), 77-99. 

  36. K. H. Kim. (2018). Testing the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Adult Material Addiction in Adolescents : Apply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43, 27-47. 

  37. I. S. Min & P. S. Choi. (2012). Advanced Panel Data Analysis, Jiphil media. 

  38. J. M. Jin, S. Y. Kim & K. J. Moon. (2016). The Relation between the Public Transfer and the Private Transfer for the Elderly in Busan: Focused on Income Transfer and Service Transfer, Social Welfare Policy, 43(4), 169-192. 

  39. C. A. Cameron & P. K. Trivedi. (2010). Microecometrics using Stata, Stata Press. 538-552. 

  40. J. M. Wooldrige. (2002). Econometrics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The MIT Press. 

  41. H. I. Yoo & K. W. Kim. (2008). Normal Development and Common Psychiatric Illnesses in Adolescenc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 Association, 47(5), 415-429. 

  42. CBS. (2016). https://www.nocutnews.co.kr/news/4664652 

  43. Min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6). 2016 Survey on Youth media use and harmful environment, 2016. 

  44.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8). A Study on the Age Rating Standard for Self-Regulation of Webtoon,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