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hild Care Teacher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3 no.1, 2019년, pp.123 - 135  

이영란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박선남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이미란 (예다솜어린이집)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00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in Seoul from January to February, 2017.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 of health prom...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들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한 지각된 유익성과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키고 지각된 장애성을 낮출 수 있는 전략을 포함하여 건강증진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제공한다면 보육교사들의 건강증진행위 실천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보육교사들이 건강증진행위를 실천 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도 제안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는 Pender (1996)의 건강증진모형을 기초로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의 인지-지각요인과 조절요인을 조사하고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건강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보육교사의 삶의 질과 안녕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보육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 및 가족건강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강증진모형을 근거로 보육교사들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보육교사들의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추후 보육교사들의 건강증진전략수립과 프로그램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요인으로써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행동과 관련된 정서, 자기효능감의 인지-지각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요인을 포함하여 지각된 건강상태가 보육교사들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의 인지-지각요인과 조절요인, 지각된 건강상태가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국공립 및 서울형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은 일반적 특성 중 연령, 업무관련 특성 중 근무시간, 건강증진행위의 인지-지각요인 중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장애성, 조절요인의 사회적 지지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 수준을 확인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자들은 보육교사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확인된 영향요인을 근거로 건강증진전략의 수립과 프로그램의 개발되기를 기대하며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는 Pender (1996)의 건강증진모형을 기초로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의 인지-지각요인과 조절요인을 조사하고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보육교사의 건강증진행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건강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보육교사의 삶의 질과 안녕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보육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 및 가족건강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e, H. S. (2016). Depression and teacher efficac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in Korea: focusing on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3(2), 71-90. 

  2.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3. Han, S. Y. (2018).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college students-Applicat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8), 781-801. 

  4. Kim, H. G. (2008). The study of compensation and prevention about safety accidents through an analysis of safety conditions legal basis of liability of relation and precedents about safety accidents in child-care center.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7(2), 109-126. 

  5. Kim, H. G. (2011). Childcare center teacher's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and child care quality.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7(1), 149-166. 

  6. Kim, H. J., & Park, Y. S. (1997). Determinan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4, 289-300. 

  7. Kim, H. G. (2013). The relationships among supervision behaviors for injury prevention,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6), 573-581. http://dx.doi.org/10.6115/fer.2013.51.6.573 

  8. Kim, K. H., & Kim, S. H. (2016).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4), 289-300.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667100 

  9. Kim, Y. A., & Yoon, H. S.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promotion of caregivers based on a socio-ecological model.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1), 61-72. 

  10. Kim, S. J. & Cho, H. S. (2006). A study on the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3(4), 328-348. 

  11. Koo, E. M. (2007). A study on health perceptions,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4), 97-113. 

  12. Lee, C. H., & Kim, J. H. (1988). Relations of perceived stress, cognitive set, and coping behaviors to depression: a focus on freshmen's stress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1), 25-45. 

  13. Lee, C. H., & Koh, T. S. (200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job satisfaction, efficacy,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6(2), 49-70. 

  14. Lee, E., & Kim, H. O. (2014). The effects of the health percept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18(1), 152-164. 

  15. Lee, M. H., Lee, J. W., Choi, Y. K., Yu, H. M., Kang, E. J., Kwon, M. K., et al., (2017).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3 rd Mid-term Nursery Basic Pl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6. Lee, M. J. (2003). Constructio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model for industrial work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17. Lee, S. J. (2008). Health perception level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nalysis of child care teacher. Journal of Young Child Studies, 11, 19-40. 

  18. La, S., Gu, S., & Park, Y. (2013). A study on child care teachers’ health status and job satisfaction in child care center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4(3), 307-328. 

  19. Lee, Y. R., Park, S. N., & Chu, M. S. (2014). Impact of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provid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1(1), 26-35. 

  20. Lee, Y. R., Chu, M. S., Park, S. N., Kim, H. I. & Choi, H. S. (2014). Effects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on perception of health behavior,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in child care help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1), 138-148.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1.138 

  21. Moon, J. S. (1990). A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2.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1956).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aries. Dekab. IL.: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3. Park, S., & Lee, Y. H. (2016). 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Attitude, and Health Concer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16(12), 196-202.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192 

  24. Pender, N. J.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Norwalk: Appleton & Landge. 

  25.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 Stanford, CT: Appleton & Lange. 

  26.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 663-671. 

  27. Suh, Y. O. (1995). Structural Model of Health Lifestyle in Middle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28.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29. Yoon, S. Y, Kim, J. H. (1999).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8(2), 130-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