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유역 산지소하천의 돌발홍수 재현기간 산정 및 평가
Estimation and evaluation on the return period of flash flood for small mountainous watersheds in the Han River bas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4, 2019년, pp.245 - 253  

김화연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정배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배덕효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 산지소하천 미세소유역별 돌발홍수 재현기간을 산정하고, 돌발홍수 실사례를 활용하여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1시간 지속기간의 한계유출량과 SURR 모형으로 모의한 토양포화미흡량으로부터 돌발홍수능을 산정하였다. 이후 돌발홍수능을 초과한 과거 집중호우 사상(2002~2010년)의 강우량과 재현기간별 유역평균확률강우량을 비교하여 미세소유역별 돌발홍수 재현기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돌발홍수 실사례(2011~2016년) 강수량으로부터 추정된 재현기간을 활용하여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돌발홍수 재현기간 산정결과 평균은 1.6년, 표준편차는 1.1로 산정되었으며, 1.1~19.9년 범위로 나타났다. 적합성 평가결과 돌발홍수 사례별 추정된 재현기간의 83%가 돌발홍수 재현기간 범위 이내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산정한 돌발홍수 재현기간의 적합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stimate the return period of flash flood and evaluate its appropriateness based on the actual observation events for small mountainous watersheds in the Han River basin. For these goals, Flash Flood Guidance (FFG) was estimated from 1-hr duration Threshold Runoff...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돌발홍수-빈도 관계는 대상지역의 지형특성과 수문 자료에 근거하여 산정되므로, 해당유역의 돌발홍수 발생특성을 반영한 돌발홍수 재현기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산지소하천 미세소유역의 돌발홍수 재현기간을 산정하고 실제 돌발홍수 사상을 활용하여 그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짧은 강우지속기간에 발생하는 한강유역 산지소하천 미세소유역의 돌발홍수 재현기간을 산정 및 평가하였다. 돌발홍수 재현기간을 산정하기 위해 돌발홍수 발생시, 기준값으로 활용되는 돌발홍수능과 해당지역의 관측 강우자료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의 수문 및 강우자료를 기반으로 돌발홍수 재현기간을 분석하여 이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장기간의 관측자료 및 돌발홍수 실사례를 기반으로 국내 돌발홍수와 재현기간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정량화된 범위로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가설 설정

  • 5(a)∼5(d)는 임의의 4개 미세소유역에 내린 2002∼2010년 6∼9월의 강우량(MAP)과 돌발홍수능(FFG)을 시계열로도시하고 대상유역의 강우량이 돌발홍수능을 초과하는 사상을 파란색원으로 표시한 것이며, 이를 돌발홍수 사상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발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기법 개발 방안은 무엇이 있는가? 돌발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기법 개발 방안은 크게 예측유량(forecasting discharge) 기법, 홍수 취약성 채점절차(flood susceptibility scoring procedures) 기법, 돌발홍수능(flash flood guidance, FFG) 기법으로 분류된다(Hapuarachchi and Wang, 2008). 이 중, 미국, 한국, 중앙아시아 등 현업에서는 주로 지리‧지형적 특성으로부터 산정되는 한계유출량과 해당시점의 토양수분 조건을 고려하는 돌발홍수능 기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 어떠한 경우에 한계유출량의 결정을 이용해 돌발 홍수능을 산정하는가? 이를 근거로 미국 기상청은 2년 빈도 홍수량을 돌발홍수능 시스템에 활용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관측 지형자료를 이용하거나, 수집이 어려운 경우에는 회귀분석으로 유도된 지형자료를 Manning 공식에 적용하여 돌발홍수능을 산정하고 있다. 반면에 특정빈도의 홍수량을 활용하여 돌발홍수능을 산정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국내 돌발홍수가 몇 년 빈도로 발생하는지 제시된 바가 없어 이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요구된다.
돌발홍수의 정의는?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국지성 집중호우에 의한 돌발홍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인적‧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돌발홍수는 건조한 지표 상태에서 집중호우로 인해 6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홍수로 정의되며(Hall, 1981;NWS, 1998), 지형적 특성, 토양 및 지표면의 조건과 강우지속기간 및 강우강도 등 강우특성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국내는 산지비율이 높은 지형적 특성으로 산지소하천에서 돌발홍수가 많이 발생하며, 이는 빠른 유속과 토사를 동반하여 단시간에 많은 인명피해를 야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 D. H., and Georgakakos, K. P. (1994). "Climatic variability of soil water in the American Midwest: Part 1. Hydrologic modeling." Journal of Hydrology, Vol. 162, No. 3-4, pp. 355-377. 

  2. Bae, D. H., and Kim, J. H. (2007). "Development of Korea flash flood guidance system: (I) Theory and system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3B, pp. 237-243. 

  3. Bae, D. H., and Lee, B. J. (2011). "Development of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for flood forecasting on the large-scale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1, pp. 51-64. 

  4. Carpenter, T. M., and Georgakakos, K. P. (1993). GIs-based procedures in support of flash flood guidance. IIHR Report, No. 366, Iowa Institute of Hydraulic Research (IIHR), The University of Iowa, Iowa City, Iowa, Unite State, pp. 1-27. 

  5. Carpenter, T. M., Sperfslage, J. A., Georgakakos, K. P., Sweeney, T., and Fread, D. L. (1999). "National threshold runoff estimation utilizing GIS in support of operational flash flood warning systems." Journal of Hydrology, Vol. 224, No. 1-2, pp. 21-44. 

  6. Greenwood, J. A., Landwehr, J. M., Matalas, N. C., and Wallis, J. R. (1979).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definition and relation to parameters of several distributions expressable in inverse form."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5, No. 5, pp. 1049-1054. 

  7. Hall, A. J. (1981). Flash flood forecasting.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Geneva, Switzerland, pp. 4-48. 

  8. Hapuarachchi, H. A. P., and Wang, Q. J. (2008). A Review of methods and systems available for flash flood forecasting. Report for the Bureau of Meteorology,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zation (CSIRO), Dickson, Australia, pp. 7-29. 

  9. Jenkinson, A. F. (1969). Statistics of extremes. estimation of maximum flood. No. 98,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Geneva, Switzerland, pp. 183-228. 

  10. Kim, B. S., Bae, Y. H., and Hong, S. J. (2009).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F2MAP model illustrates that the model is suitable for the monitoring and the prediction of a flash flo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27, No. 2B, pp. 225-230. 

  11. Kim K. D., Heo J. H., and Cho W. C. (1996).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probability distributions for annual maximum rainfall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6, No. 2-4, pp. 335-344. 

  12. Kim, J. H., and Bae, D. H. (2006). "Estimation of threshold runoff on Han river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2, pp. 151-160. 

  13. Kim Y. S., Heo J. H., and Ryu H. J. (1995). "Study on applicability of probability weighted moment method to rainfall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5, No. 6, pp. 1647-1658. 

  14. Kwon, Y. M., Park, J. W., and Kim, T. W. (2009). "Estimation of design rainfalls considering an increasing trend in rainfall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9, No. 2B, pp. 131-139. 

  15.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CT) (2000). Development of the map of rainfall quantiles in Korea. pp. 117-146. 

  16. Moon, S. K., and Bae, D. H. (2012). "Assessment and estimation of mountainous flash flood guidance in Han-river watersh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0, pp. 664-667. 

  17. National Weather Service (NWS) (1998). Service assessement and hydraulic analysis: red river of the north 1997 floods. Natural Disaster Survey Report,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U.S. Department of Commerce, Silver Spring, Maryland, United States, pp. 16-99. 

  18. Research Center of Flood Defence Technology for Next Generation (2013). Land transport and maritime R&D repor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CT), pp. 24-637. 

  19. Rodriguez-Iturbe, I., and Valdes, J. B. (1979). "The geomorphologic structure of hydrologic respons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5, No. 6, pp. 1409-1419. 

  20. Rodriguez-Iturbe, I., Gonzalez-Sanabria, M., and Bras, R. L. (1982). "A geomorphoclimatic theory of the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 4, pp. 877-886. 

  21. Seo, D., Lakhankar, T., Cosgrove, B., Khanbilvardi, R., and Zhan, X. (2017). "Applying SMOS soil moisture data into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NWS)'s Research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HL-RDHM) for flash flood guidance application." Remote Sensing Applications Society and Environment, Vol. 8, pp. 182-192. 

  22. Snyder, W. M. (1972). "Fitting of distribution functions by nonlinear least squar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8, No. 6, pp. 1423-1432. 

  23. Sweeney, T. L. (1992). Modernized area flash flood guidance. NOAA Technical Report NWS HYDRO 44,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U.S. Department of Commerce, Silver Spring, Maryland, United States, pp. 5-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