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덕 사포닌인 lancemasides의 최적 추출 방법 구명
Determination the optimum extraction method for saponin lancemasides in Codonopsis lanceolat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2, 2019년, pp.103 - 108  

이민주 (경상대학교 농학과) ,  남주희 (경상대학교 농학과) ,  엄인석 (경상대학교 농학과) ,  강창근 (경상대학교 수의학과) ,  노일래 (경상대학교 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더덕 사포닌의 최적 추출 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추출 방법에 따른 lancemasides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환류 추출(MeOH, BuOH), 열수 추출(Hot water), 초음파 추출(ultrasonic bath (40 kHz; continuous irradiation, interval irradiation), ultrasonicator (20 kHz))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lancemasides함량은 ultrasonic bath (MeOH; continuous irradiation) 추출에서 가장 높았고, ultrasonic bath (water; continuous irradiation) 추출>ultrasonic bath (MeOH; interval irradiation) 추출>ultrasonicator 추출>열수 추출>메탄올 환류 추출>부탄올 환류 추출 순으로 높았다. 따라서 더덕 사포닌의 최적 추출 방법은 MeOH을 이용한 초음파(ultrasonic bath, 40 kHz) 추출이었고, 추출 전 시료 건조 방법은 동결건조보다 음건으로 건조하는 것이 lancemasides 추출에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초음파 추출 시 추출 시간은 2시간, 추출 온도는 $64^{\circ}C$에서 추출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음파(ultrasonic bath)추출은 기존에 주로 이용하던 환류 추출 및 분획을 실시했을 때 보다 많은 양의 사포닌(lancemasides)을 추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추출 시간과 온도와 같은 추출 조건에 따라 aster saponin Hb가 lancemaside류로 성분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추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aster saponin의 함량이 줄어들고, lancemaside A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추출 온도가 사포닌 성분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optimal extraction method of codonopsis lanceolata saponin. To investigate the lancemasides content depending on each extraction method, various extractions were performed: reflux (methanol and butanol), hot water, as well as ultrasonic bath (40 kHz; continuou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더덕의 사포닌 추출에 이용되어 왔던 추출 방법들을 상호 비교하여 더덕의 주요 사포닌인 lancemasides의 최적 추출 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더덕이란? 더덕(Codonopsis lanceolata Trautv.)은 다년생 초본의 덩굴성 식물로 초롱꽃과에 속한다. 더덕은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더덕이 갖는 성분과 효과는? 더덕은 전통적으로 진해, 거담, 두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Kim과 Chung, 1975), 최근에는 현대인들의 주요 관심인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페놀과 같이 노화를 예방하는 항산화성분을 포함하고 있다(Chae와 Jung, 2013; Jin과 Wang, 2013; Kim 등, 2004). 더덕의 사포닌 성분 중 lancemaside A는 비만예방(Choi 등, 2013; Han 등, 1998), 대장염 완화(Joh 등, 2010; Kim 등, 2014b), 기억력 및 불면증 개선(Jung 등, 2012), 항 염증 (Joh와 Kim, 2010)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덕의 사포닌을 추출하는 방법은? 더덕 사포닌(lancemasides)의 추출은 건조, 추출, 농축, 분획, 동결건조 등의 여러 과정을 거쳐 얻어지는데 건조, 추출, 분획 과정에 있어서 연구자마다 다소 차이가 있다. 건조는 열풍 건조나 음건을 주로하고, 추출은 메탄올를 용매로 한 환류 추출(Kim 등, 2008), 진탕 추출(Han 등, 1998), 초음파 추출(Choi 등, 2006; Kim 등, 2014a), 초고압 추출(Park 등, 2010), 열수 추출(Lee, 2002; Park 등, 2009; Wang 등, 2011) 등 다양한 추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추출 시 용매는 유기 용매인 메탄올, 부탄올, 에탄올 등을 주로 사용하는데, Ichikawa 등(2009)이 메탄올의 농도에 따른 추출 수율을 실험 한 결과 70%로 추출 했을 때 가장 많은 사포닌을 얻었으며, Kim 등(2008)이 추출 용매에 따른 실험을 실시한 결과 에탄올, 메탄올에서 많은 사포닌을 추출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경제적 효율 등을 고려하면 메탄올이 적절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ae HS, Jung SS.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with Codonopsis lanceolata skin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26: 990-995 (2013) 

  2. Choi MY, Oh HS, Kim JH.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ultivated Codonopsis lanceolata stored at various storage conditions. Korean J. Plant Res. 19: 59-67 (2006) 

  3. Choi HK, Won EK, Jang YP, Choung SY. Antiobesity effect of Codonopsis lanceolata in high-calorie/high-fat-diet-induced obese rats. Evid. Evid-Based Compl. Alt. 210297 (2013) 

  4. Han EG, Sung IS, Moon HG, Cho SY. Effect of Codonopsis lanceolata water extract on the levels of lipid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940-944 (1998) 

  5. He JY, Ma N, Zhu S, Komatsu K, Li ZY, Fu WM. The genus Codonopsis (Campanulaceae): a review of phytochemistry, bioactivity and quality control. J. Nat. Med. 69: 1-21 (2015) 

  6. Ichikawa M, Ohta S, Komoto N, Ushijima M, Kodera Y, Hayama M, Shirota O, Sekita S, Kuroyanagi M.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even saponins in the roots of Codonopsis lanceolata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Nat. Med. 63: 52-57 (2009) 

  7. Jin TY, Wang MH.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donopsis lanceolata tea manufactured with su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753-758 (2013) 

  8. Joh EH, Kim DH. Lancemaside A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by targeting LPS/TLR4 complex. J. Cell. Biochem. 111: 865-871 (2010) 

  9. Joh EH, Lee IA, Han SJ, Chae SJ, Kim DH. Lancemaside A ameliorates colitis by inhibiting NF- ${\kappa}$ B activation in TNBS-induced colitis mice. Int. J. Colorectal Dis. 25: 545-551 (2010) 

  10. Jung IH, Jang SE, Joh EH, Chung J, Han MJ, Kim DH. Lancemaside A isolated from Codonopsis lanceolata and its metabolite echinocystic acid ameliorate scopolamine induced memory and learning deficits in mice. Phytomedicine 20: 84-92 (2012) 

  11. Kim CS, Choi KJ, Kim SC, Ko SY, Sung HY, Lee YG. Controls of the hydrolysis of ginseng saponins by neutralization of organic acid in red ginseng extract prepaarations. J. Ginseng Res. 22: 205-210 (1998) 

  12. Kim SH, Choi HJ, Oh HT, Chung MJ, Cui CB, Ham SS. Cytoprotective effect by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thyl acetate fraction in human HepG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96-701 (2008) 

  13. Kim JP, Chon IJ, Cho HK, Ham IH, Whang WK. The antioxidant an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biofuntional foods prescriptions. Korean J. Pharmacogn. 35: 98-103 (2004) 

  14. Kim JH, Chung MH.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Pharmacogn. 6: 43-47 (1975) 

  15. Kim JA, Moon HK, Choi YE. Triterpenoid saponin contents of the leaf, stem and root of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Soc. Med. Crop Sci. 22: 1-7 (2014a) 

  16. Kim EJ, Yang WS, Park JG, Kim HG, Ko JY, Hong YD, Rho HS, Shin SS, Sung GH, Cho JY. Lancemaside A from Codonopsis lanceolata modulates the inflammatory responses mediated by monocytes and macrophages. Mediat. Inflamm. 2014: 405158 (2014b) 

  17. Lee JH. Immunostimulatory effect of hot-water extract from Codonopsis lanceolata on lymphocyte and clonal macroph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32-736 (2002) 

  18. Lee JH, Cho SH, Yun MY, An SK, Jang HH, Lee SN, Song GY. Anti-wrinkle effect of rare ginsenosides, produced from ginsenoside Rd. Kor. J. Aesthet. Cosmetol. 13: 909-916 (2015) 

  19. Lee BJ, Jeon SH, Lee SW, Chun HS, Cho YS. Effect of drying methods on the saponin and mineral conten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636-640 (2014) 

  20. Lee SH, Kang JI, Lee SY. Saponin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as affected by extracting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56-260 (2008) 

  21. Lee KJ, Ma JY, Kim YS. Identification of curcuminoids from turmeric (Curcuma longa) using ultrasonic wave and dipping method. Biotechnol. Bioprocess Eng. 27: 33-39 (2012) 

  22. Lee GS, Nam KY, Choi JE. Ginsenoside compos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extracting methods. Korean Soc. Med. Crop Sci. 21: 276-280 (2013) 

  23. Lee KJ, Um BH. Extraction of useful component from natural plants using ultrasound system. Biotechnol. Bioprocess Eng. 23: 101-108 (2008) 

  24.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pecial Crops Production Performance 201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pp. 22-23 (2018) 

  25. Nam KY, Choi JE, Park JD. Transformation techniques for the large scale production of ginsenoside Rg3. Korean Soc. Med. Crop Sci. 21: 401-414 (2013) 

  26. Park SJ, Park DS, Lee SB, He X, Ahn JH, Yoon WB, Lee HY.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1898-1902 (2010) 

  27. Park SJ, Seong DH, Park DS, Kim SS, Gou JG, Ahn JH, Yoon WB, Lee HY. Chemical composition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96-400 (2009) 

  28. Shibata S, Tanaka O, Ando T, Sado M, Tsushima S, Ohsawa T. Chemical studies on oriental plant drugs. XIV. Protopanaxadiol, a genuine sapogenin of ginseng saponins. Chem. Pharm. Bull. 14: 595-600 (1966) 

  29. Ushijima M, Komoto N, Sugizono Y, Mizuno I, Sumihiro M, Ichikawa M, Hayama M, Kawahara N, Nakane T, Shirota O, Sekita S, Kuroyanagi M. Triterpene glycosides from the roots of Codonopsis lanceolate. Chem. Pharm. Bull. 56: 308-314 (2008) 

  30. Wang CZ, Aung HH, Ni M, Wu JA, Tong R, Wicks S, He TC, Yuan CS. Red american ginseng: Ginsenoside constituents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heat-processed Panax quinquefolius roots. Planta Med. 73: 669-674 (2007) 

  31. Wang L, Xu ML, Hu JH, Rasmussen SK, Wang MH.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 induces G0/G1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colon tumor HT-29 cells-involvement of ROS generation and polyamine depletion. Food Chem. Toxicol. 49: 149-154 (2011) 

  32. Wu J, Lin L, Chau FT.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ginseng saponins from ginseng roots and cultured ginseng cells. Ultrason. Sonochem. 8: 347-352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