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혈관질환위험 중년여성 대상 일상생활기반 신체활동강화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Daily Life-Based Physical Activity Enhance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at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2, 2019년, pp.113 - 125  

김경애 (경동대학교 간호대학) ,  황선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aily life-based physical activity enhancement program performed by middle-aged women at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Methods: This study used a 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iddle-aged women aged 45 to 64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있는 중년여성의 특성과 운동방해요인을 고려한다면, 일회성이 아닌 스스로의 인식개선과 동기부여를 통해 시간과 비용부담이 없는 일상생활 속에서 지속적인 신체활동을 실천할 수 있는 자기조절과 편의성이 강조된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한 위험인자 관리가 필수적인 신체활동 수준이 낮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다양한 일상생활기반 중재전략을 활용하여 신체활동을 스스로 통제·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심혈관질환 예방중재전략으로서 일상생활 속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중년여성의 건강한 생활습관의 유지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가설 1. 일상생활기반 신체활동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하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운동 자기효능감 점수 변화량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건강행위 점수 변화량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신체활동량 변화량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4) 가설 4.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신체적 지표인 허리-엉덩이 둘레비율(waist to hip ratio [WHR]), 체근력량, 체지방의 변화량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5) 가설 5.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생화학적 지표인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당화혈색소(hemoglobin A1c [HbA1c]), 공복혈당의 변화량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혈관질환은 어떤 증상을 포함하는가? 심장질환과 뇌혈관, 말초혈관 등의 혈관장애를 포함하는 심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으로 인한 사망률은 국내에서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여성의 사망률은 인구 10만명 당 12명으로 남성의 111명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 심혈관질환은 전 세계적으로도 여성 사망원인의 1위를 차지하며 특히 40세 이후 사망률이 증가하여 60대부터는 남성의 사망률을 추월한다[1,2].
미국에서는 어떻게 심혈관질환에 대한 예방과 홍보를 진행하는가? 여성의 심혈관질환 예방과 조기접근을 위한 전략적 중재로서 미국에서는 ‘Go Red for Women’ 캠페인을 통하여 심혈관질환에 대한 예방과 홍보를 시행하고 있다[4]. 우리나라에서도 2014년 질병관리본부 주도로 ‘레드서클’ 심벌을 개발하고 심혈관건강을 위한 9대 생활수칙, 홍보동영상, 캠페인송 등을 제작하였으며, 9월 첫째 주를 ‘심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으로 지정하여 전국 보건소를 중심으로 대국민 캠페인과 홍보를 하고 있다[5].
여성들이 중년기에 심혈관질환의 예방과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심혈관질환은 전 세계적으로도 여성 사망원인의 1위를 차지하며 특히 40세 이후 사망률이 증가하여 60대부터는 남성의 사망률을 추월한다[1,2].이는 폐경이후 에스트로겐 감소로 혈관내피세포의 기능, 혈관반응성 및 혈중지질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체질량지수, 공복혈당, 혈압증가와 이상지질혈증의 발생이 더욱 가속화되기 때문이다[2,3]. 그러므로 여성은 남성과 달리 폐경 전·후인 중년기에 심혈관질환의 예방과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5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16 [cited 2016 Sep 27].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 

  2. Appelman Y, van Rijn BB, ten Haaf ME, Boersma E, Peters SA. Sex differenc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disease prevention. Atherosclerosis. 2015;241(1):211-218. https://doi.org/10.1016/j.atherosclerosis.2015.01.027 

  3. Bassuk SS, Manson JE.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women: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 evidence. Nutrition,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Diseases. 2010;20(6):467-473. https://doi.org/10.1016/j.numecd.2009.12.015 

  4. Kling JM, Miller VM, Mankad R, Wilansky S, Wu Q, Zais TG, et al. Go red for women cardiovascular health-screening evaluation: The dichotomy between awareness and perception of cardiovascular risk in the community. Journal of Women's Health. 2013;22(3):210-218. https://doi.org/10.1089/jwh.2012.3744 

  5. Kim MH, Chung EW, Lee DH. Cardiovascular diseases prevention and control campaign, 2015.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15;8(39):925-928.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hronic disease current status and issues 2017, chronic illness factbook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2018 [cited 2018 Jan 5].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intro/CdcKrIntro0504.jsp?menuIdsHOME006-MNU2804-MNU2942-MNU2944&cid136662. 

  7. Mosca L, Benjamin EJ, Berra K, Bezanson JL, Dolor RJ, Lloyd-Jones DM, et al. Effectiveness-based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women-2011 update: A guideline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11;57(12):1404-1423. https://doi.org/10.1016/j.jacc.2011.02.005 

  8. Luke A, Dugas LR, Durazo-Arvizu RA, Cao G, Cooper RS. Assessing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ionship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NHANES 2003-2006. BMC Public Health. 2011;11(1):387. https://doi.org/10.1186/1471-2458-11-387 

  9. Haidinger T, Zweimuller M, Stutz L, Demir D, Kaider A, Strametz-Juranek J. Effect of gender on awarenes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preventive action taken, and barriers to cardiovascular health in a group of Austrian subjects. Gender Medicine. 2012;9(2):94-102. https://doi.org/10.1016/j.genm.2012.02.001 

  10. Cho SH, Choi MK, Lee JH, Cho HW.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and physical activity among middle aged adults in urban areas: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1):14-24. https://doi.org/10.4040/jkan.2015.45.1.14 

  11. Saber F, Shanazi H, Sharifirad G, Hasanzadeh A. Checking the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housewives. Journal of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2014;3:94. 

  12. Burke LE, Ma J, Azar KM, Bennett GG, Peterson ED, Zheng Y, et al. Current science on consumer use of mobile health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15;132(12):1157-1213. https://doi.org/10.1161/cir.0000000000000232 

  13. Morton K, Sutton S, Hardeman W, Troughton J, Yates T, Griffin S, et al. A text-messaging and pedometer program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in people at high risk of type 2 diabetes: The development of the PROPELS follow-on support program. JMIR mHealth and uHealth. 2015;3(4):e105. https://doi.org/10.2196/mhealth.5026 

  14. Pilch WB, Mucha DM, Palka TA, Suder AE, Piotrowska AM, Tyka AK, et al. The influence of a 12-week program of physical activity on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lipid and carbohydrate status in postmenopausal women. Menopause Review/Przeglad Menopauzalny. 2015;14(4):231-237. https://doi.org/10.5114/pm.2015.56311 

  15. Song MS, Yoo YK, Kim NC. Effects of walking and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lipid profile of obese women in their 30-40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4):412-419. 

  16. Ajzen I, Fishbein M. The influence of attitudes on behavior. In: Albarracin D, Johnson BT, Zanna MP, editors. The Handbook of Attitud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5. p. 173-221. 

  17. Carver CS, Scheier MF. Origins and function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control-process view. Psychological Review. 1990;97(1):19-35. https://doi.org/10.1037/0033-295X.97.1.19 

  18. Powers SK, Dodd SL, jackson EM. Total Fitness and Wellness. 6th ed. Boston (MA): Pearson; 2014. p. 1-420. 

  19. Artinian NT, Fletcher GF, Mozaffarian D, Kris-Etherton P, Van Horn L, Lichtenstein AH, et al.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lifestyle changes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 reduction in adult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10;122(4):406-441. https://doi.org/10.1161/cir.0b013e3181e8edf1 

  20. Lin CH, Chiang SL, Yates P, Lee MS, Hung YJ, Tzeng WC, et al. Moderate physical activity level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5;24(9-10):1234-1245. https://doi.org/10.1111/jocn.12683 

  21. Bang KS, Lee IS, Kim SJ, Song MK, Park SE. The effects of urban forest-walking program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physical health,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office-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1):140-148. https://doi.org/10.4040/jkan.2016.46.1.140 

  22. Shin YH, Jang HJ, Pender NJ.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among Korean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1;24(1):68-76. https://doi.org/10.1002/1098-240x(200102)24:1 3.0.co;2-c. 

  23. Kang SW.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lifestyle evaluation tool fo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17(4):487-497. 

  24. Choi SK, Kim IS. Effects of a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postmenopausal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1):25-34. https://doi.org/10.4040/jkan.2015.45.1.25 

  25. Park MK, Kim JH. Effects of a comprehensive lifestyle improve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related risk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2):111-122.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2.111 

  26. Despres JP.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Weight loss is not the only target. Canadian Journal of Cardiology. 2015; 31(2):216-222. https://doi.org/10.1016/j.cjca.2014.12.009 

  27. Pattyn N, Cornelissen VA, Eshghi SRT, Vanhees L. The effect of exercise on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constituting the metabolic syndrome. Sports Medicine. 2013;43(2):121-133. https://doi.org/10.1007/s40279-012-0003-z 

  28. Park SY, Kim CS, Nam SH. Effects of elastic band resistance exercise program on body functions and HbA1c of the elderly with type 2 diabetes.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012;24(5):362-369. 

  29. Chun KH. Evidence-based management and treatment of highrisk individuals with pre-diabetes.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10):1020-1027. https://doi.org/10.5124/jkma.2011.54.10.1020 

  30. Wang J, Wu Y, Ning F, Zhang C, Zhang D. The association between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undetected prediabetes. Journal of Diabetes Research. 2017;2017:4845108. https://doi.org/10.1155/2017/48451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