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복부통증 노인 환자에 대한 간호기록 분석
Analysis of Nursing Records for Elderly Patients with Abdominal Pain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6 no.1, 2019년, pp.27 - 34  

이효기 (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 ,  김종임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nursing assessment and nursing care for pain in the electronic nursing records for the elderly patients with abdominal pain visiting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Method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based on nursing record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5...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의료센터 전자의무기록지 중 간호기록 분석을 통해 응급의료센터에 복부통증으로 내원한 노인 환자의 기록을 분석하고 간호사가 시행한 복부통증 간호사정, 복부통증 간호중재, 복부통증 간호평가에 대한 간호활동을 확인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는 복부통증을 호소하는 노인 환자의 복부통증사정, 복부통증 간호중재, 복부통증간호평가까지의 간호기록을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로 향후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는 노인 환자에게 복부통증에 대한 양질의 응급간호서비스를 제공하며 통증간호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노인복부통증 환자의 응급실 간호기록지 분석을 통해 복부통증간호사정, 복부통증간호중재, 복부통증간호평가의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통증 간호중재를 하기 전에 간호사들은 진통제로 인한 통증의 감소가 환자의 진료 및 진단의 방해를 초래할 수 있음을 배제하기 위해 간호기록에 “환자 내원시 통증에 대한 세심한 관찰을 시행중”이라는 기록을 하며 환자를 관찰하고 의료진과 상의 후 약물 중재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복부통증을 주호소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노인의 통증간호에 대한 간호기록 분석을 통하여 응급의료센터에서 응급 복부통증 간호활동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응급실 노인복부통증 간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기록 분석을 통해 응급의료센터에 복부통증으로 내원하는 노인 환자의 복부통증 특성과 통증간호사정, 통증간호중재, 통증간호평가까지의 간호활동을 실제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응급의료센터 내원 노인 환자를 위한 복부통증에 대한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증간호지식과 통증간호실무에 대한 이해와 훈련이 필요한 이유는?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복부통증은 감별하기 가장 어려운 증상으로 보고 있으며, 복부통증을 호소하는 노인 환자의 약 63% 정도는 입원을 하며 20%정도는 응급실에서 진단 후 응급수술을 받을 수 있어(Kim, 2009) 고령 환자의 통증에 대한 접근은 보다 신중하고 섬세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적극적인 검사와 입원 진찰을 고려해야 한다(Ryu & Choi, 2012). 그러므로 통증관리와 관련이 높은 근무지인 응급실에서는 간호사들이 복부통증을 호소하고 있는 노인들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간호하기 위해 노인 복부통증 환자가 통증을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확인하고, 통증간호중재를 통해서 통증이 완화되고 있는지를 적절히 평가하는 업무는 대단히 중요하다.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복부통증의 특징은?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복부통증은 감별하기 가장 어려운 증상으로 보고 있으며, 복부통증을 호소하는 노인 환자의 약 63% 정도는 입원을 하며 20%정도는 응급실에서 진단 후 응급수술을 받을 수 있어(Kim, 2009) 고령 환자의 통증에 대한 접근은 보다 신중하고 섬세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적극적인 검사와 입원 진찰을 고려해야 한다(Ryu & Choi, 2012). 그러므로 통증관리와 관련이 높은 근무지인 응급실에서는 간호사들이 복부통증을 호소하고 있는 노인들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간호하기 위해 노인 복부통증 환자가 통증을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확인하고, 통증간호중재를 통해서 통증이 완화되고 있는지를 적절히 평가하는 업무는 대단히 중요하다.
119구급대의 이용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였는가? 응급실 내원 환자의 약 26%가 60세 이상으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노인도 증가하고 있다(KOSIS, 2018). 이에 따라 질병으로 인한 노인 환자도 증가하고 있으며 119구급대의 이용으로 응급실도 노인이 쉽게 내원하는 보건의료 접근 시설이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 Y. H. (2015). Perception of nursing performance for cancer patients at the emergency ro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 Eom, H. D., Oh, S. S., Park, S. H., Yoo, S. I., Jung, J. H., & Won, H. S. (2009). Clinical analysis of elderly patients with acute abdominal pain in emergency department.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13(2), 83-94. https://doi.org/10.4235/jkgs.2009.13.2.89 

  3. Hwang, U., Richardson, L. D., Harris, B., & Morrison, R. S. (2010). The quality of emergency department pain care for older adult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8 (11), 2122-2128. https://doi.org/10.1111/j.1532-5415.2010.03152.x 

  4. Hwang, U., Richardson, L. D., Sonuyi, T. O., & Morrison, R. S. (2006). The effect of emergency department crowding on the management of pain in older adults with hip fractur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4(2), 270-275. https://doi.org/10.1111/j.1532-5415.2005.00587.x 

  5. Im, Y. S., & Yi, Y. J. (2012). Analysis of nursing records for pain management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19(2), 173-183. https://doi.org/10.5953/JMJH.2012.19.2.173 

  6. Kim, E. K., & Park, M. H. (2012). Nurses' awareness and performance about evidence-based pain management in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1), 20-30. https://doi.org/10.7475/kjan.2012.24.1.20 

  7. Kim, H. K., Lee, H. S., Hwang, K. H., Yoo, Y. S., & Lee, S. M. (2006). Positive and negative determinants for pain management in both cancer patients and thei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1), 68-75. 

  8. Kim, J. G. (2008).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medical care use by the elderly pers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9, 273-302. 

  9. Kim, J. S. (2009). Problems of elderly patients in emergency room. Spring Conference Document of 2009,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Geriatrics. 25-31. 

  10. Kim, Y. A., & Choi, S. H. (2015). Analysis of nursing diagnoses applied to emergency room patients- Using the NANDA nursing diagnosis classif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2(1), 16-24.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6). Future population estimation. Retrieved September 21, 2018,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8). Emergency medical statistics. Retrieved September 25, 2018, from http://kosis.kr/search/search.do 

  13. Lee, B. O., & Shin, E. J. (2008). Severity of elderly patients using one region wide Emergency Medical Center.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0(2), 164-172. 

  14. Lee, S. J., Kim, S. H., Oh, S. H., Kim, H. J., & Park, K. N. (2015). Effect of rapid administration time to analgesia on adequate pain relief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6(1), 68-74. 

  15. Min, Y. H., Park, H. A., Lee, Y. G., Kim, Y. R., & Lee, M. K. (2011). Development of detailed clinical models for pain assessment.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8(2), 113-120. 

  16. Pain nursing practical guide. (201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Retrieved September 20, 2018 from http://www.khna.or.kr/main.php. 

  17. Rupp, T., & Delaney, K. A. (2004). Inadequate analgesia in emergency medicine.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43(4), 494-503. https://doi.org/10.1016/j.annemergmed.2003.11.019 

  18. Ryu, H. S., & Choi, S. C. (2012). Diagnostic approach to abdominal pain. Korean Journal of Medicine, 83(5), 553-561. 

  19. Yu, S. J., & Gang, I. S. (2014).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hospital visi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visiting to emergency medical centers.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8(1), 27-39. https://doi.org/10.12811/kshsm.2014.8.1.0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