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철형 금, 백금, 팔라듐 나노플레이트의 촉매성 환원 효율 비교
Catalytic Reduction Efficiency Comparison between Porous Au, Pt, and Pd Nanoplates 원문보기

Composites research = 복합재료, v.32 no.2, 2019년, pp.85 - 89  

신우준 (Department of Chemistry, Kwangwoon University) ,  김영진 (Institute of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장홍제 (Department of Chemistry, Kwangwoon University) ,  박지훈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김영관 (Institute of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나노입자에 기반한 화학 촉매 반응 효율성에는 크기, 형태 및 조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체계적인 비교를 위해 갈바닉 치환 반응을 통해 100 nm 직경의 요철형 표면 구조를 갖는 금, 백금, 팔라듐 나노플레이트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조건 형성이 가능하였으며, 4-나이트로페놀과 4-나이트로아닐린을 대상으로한 촉매 반응 진행을 분광분석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동일 형태 및 형태에서 구성 원소에 따라 확연히 다른 Pd > Au > Pt의 촉매성 환원 반응 효율을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기질의 형태에 따라 추가적인 영향을 받음을 관찰 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ize, morphology and composition of nanoparticles ar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the efficiency of catalytic reduction of various chemical compounds. In order to make a systematic comparison, gold, platinum and palladium nanoplates with 100 nm diameter with rough surface morpholog...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촉매 반응에 활용되고 있는 금, 백금 및 팔라듐 나노입자의 동등한 조건에서의 비교를 통해, 실제적인 촉매성 환원 반응에 대한 효율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갈바닉 치환 반응을 통해 약 100 nm 직경의 요철형 표면 구조를 갖는 금, 백금, 팔라듐으로 구성된 세 종의 나노플레이트를 합성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작용기를 갖는 나이트로 기질의 촉매성 환원 반응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 유도 시간을 가지기에 촉매 반응 최적화가 필요하던 기존 금 나노입자에 비해, 팔라듐으로 구성된 나노입자는 모든 조건에서 최고의 효율을 보였으며, 백금 나노입자의 경우 기질 특이성을 고려한다면 우수한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촉매 반응에 활용되고 있는 금, 백금 및 팔라듐 나노입자의 동등한 조건에서의 비교를 통해, 실제적인 촉매성 환원 반응에 대한 효율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갈바닉 치환 반응을 통해 약 100 nm 직경의 요철형 표면 구조를 갖는 금, 백금, 팔라듐으로 구성된 세 종의 나노플레이트를 합성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작용기를 갖는 나이트로 기질의 촉매성 환원 반응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환원성 첨가제 존재하에서의 과량 갈바닉 치환반응이라는 접근법을 통해 앞서 언급된 갈바닉 치환 반응의 단점을 극복한 비등방성 나노구조 형성법을 활용하여, 높은 부피 대비 표면적을 보이는 요철형 표면 구조와 요철형 구조를 갖는 금, 백금, 팔라듐의 나노플레이트 구조를 개별적으로 같은 규격으로 합성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각각의 우수 응용 분야에서 적용되던 세 종의 원소 기반나노입자의 병행 비교를 위하여 4-나이트로페놀(4-nitrophenol; 4-NP)과 4-나이트로아닐린(4-nitroaniline; 4-NA)을 대상으로 한 촉매성 환원 반응의 효율을 비교해 화학 반응 분야에의 각각의 가능성과 잠재성을 확인하였다(Fig.
  • 실제적인 촉매성 환원 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 농도의 요철형 금, 백금, 팔라듐 나노플레이트에 대하여 4-NP의 촉매성 환원 반응을 UV-Vis 분광광도계를 통해 실시간 추적 분석하였다(Fig. 4a-c). 4-NP가 환원되어 4-아미노페놀로 변환됨에 따라서 400 nm에서 나타나는 4-NP의 흡광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되는데, 촉매성 나노입자가 첨가되지 않은 음성대조군 실험에서는 20분간의 관찰에서 반응이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환원성 첨가제 존재하에서의 과량 갈바닉 치환반응이라는 접근법을 통해 앞서 언급된 갈바닉 치환 반응의 단점을 극복한 비등방성 나노구조 형성법을 활용하여, 높은 부피 대비 표면적을 보이는 요철형 표면 구조와 요철형 구조를 갖는 금, 백금, 팔라듐의 나노플레이트 구조를 개별적으로 같은 규격으로 합성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각각의 우수 응용 분야에서 적용되던 세 종의 원소 기반나노입자의 병행 비교를 위하여 4-나이트로페놀(4-nitrophenol; 4-NP)과 4-나이트로아닐린(4-nitroaniline; 4-NA)을 대상으로 한 촉매성 환원 반응의 효율을 비교해 화학 반응 분야에의 각각의 가능성과 잠재성을 확인하였다(Fig. 1). 제안된 합성법을 통해 합성된 세 종의 원소로 각각 구성된 나노플레이트는 약 100 nm 내외의 직경을 보였으며, 그 형태와 크기분포가 매우 유사하여 기존 달성되기 어려웠던 다른 원소로 구성된 같은 규격의 비등방성 나노구조에 대한 특성 분석에 적합한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었다.
  • 이에 반해 각 나노플레이트가 반응에 첨가된 경우, 백금, 금, 팔라듐 순으로 우수한 촉매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정량적인 반응 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400 nm에서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초기 흡광도 비 측정시 흡광도의 로그값을 시간에 대해 도식화하여 그 기울기로부터 반응상수를 계산할 수 있었다. 대조군 실험의 경우 -0.
  • 일반적으로 4-NP나 4-NA 등에 대한 환원 반응을 비롯한 촉매성 화학 반응 효율은 나노입자의 결정성에 큰 영향을받게 되는데, 이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고해상도 투과전자 현미경(HR-TEM) 분석과 이미지의 고속 푸리에 변화(Fast Fourier transform; FFT) 이미지를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Fig. 2d-f). 세 나노플레이트 모두 면심입방구조(face-centeredcubic) 결정구조로써 우수한 결정성을 보였으며, 이는 단순한 갈바닉 치환 반응이 빠른 산화환원 반응을 통한 재구조화로부터 다결정성을 보이는 것에 반해, 환원제 기반 이차적 표면 성장으로부터의 우수한 결정성 향상이 이루어짐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이는 촉매성 환원 반응에 높은 효율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 촉매성 환원 반응은 나노입자 표면에의 기질의 접근성에 큰 영향을 받기에, 이에 대한 비교 분석을 위하여 4-NP에 비해 양전하성을 갖는 유사 분자인 4-NA를 대상으로 동일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나노플레이트 기반 촉매성 환원 반응에서 보다 빠른 반응 속도를 보였다(Fig.
  • 최적화된 환원성 과량 갈바닉 치환 반응을 위해, 4 mL의 기 합성된 은 나노플레이트를 증류수로 5배 희석한 후 20% 부피비(4 mL)에 해당하는 1 mM의금(AuCl4−), 백금(PtCl42−) 및 팔라듐(PdCl42−) 수용액을 각각 첨가하여 세 종의 요철형 나노플레이트 구조 형성을 수행한다.
  • 이후 형성된 은 나노플레이트 씨앗은 추가적인 은 반응물질과 환원성 화합물인 아스코르브산의 첨가로부터 서서히 진행되며, 첨가량에 따른 크기 조절 구현이 가능하다. 합성된 각 요철형 나노플레이트의 형태와 크기는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 분석을 통해 수행되었다. 세 종 모두 약 100 nm의 직경의 나노플레이트 형태로 확인되며, 실질적인 표면 구조와 형태는 원소에 따라 약간씩의 편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금 나노플레이트의 경우 보다 큰 요철형 형태와 함께 완만하게 연결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백금 나노플레이트의 경우 조밀하며 날카로운 외부 성장형 표면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 합성된 요철형 금, 백금, 팔라듐 나노플레이트의 흡광 및 수용액 내 표면 특성 분석을 위해 UV-Vis 분광광도계와 제타전위 측정을 수행하였다. 갈바닉 치환 반응에 의해 비등방성 치환 구조가 형성됨에 따라서 가시광선 영역 전체에서 우수한 흡광을 보이는 스펙트럼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 형성된 각 나노플레이트의 형태와 크기 분석은 에너지-여과 투과 전자 현미경(EF-TEM; LIBRA 120, Carl Zeiss, Germany)를 통해 이루어지며,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UV-Vis; Lambda 465, PerkinElmer, USA)과 수화직경(Hydrodynamic diameter) 및 제타전위(zeta-potential) 측정(Zetasizer Nano ZS, Malvern, UK)과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 (ICP-MS; iCAP-Q, Thermo Electron Corp. USA)을 통해 조성과 표면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바닉 치환반응이란? 이와 같은 구조 및 조성 조절된 나노입자 합성 기법 또한 계속해서 발전해 왔는데, 그중 괄목할 만한 요소는 2003년 최초 보고된 갈바닉 치환(galvanic replacement) 반응이라 할 수 있다[10]. 기본적으로 원소종의 환원 전위 차이에 따른 산화환원 반응에 기반하여 작동하는 구조 및 조성 치환 반응으로써, 산화되기 용이한 원소종으로 이루어진 주형(template) 나노입자와 환원에 유리한 치환 원소종 간의 반응에 기반한다. 대표적으로 구리(Cu), 니켈(Ni), 은(Ag)과 같은 원소들이 주형 나노입자 구성 원소로 활용되며, 이 중에서도 형태 조절이 용이하고 비교적 대기중의 산소에 의한 산화 구조 붕괴(collapse)에 안정한 은이 주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다[11,12].
galvanic replacement 반응의 단점은? 이에 대해서 많은 연구사례들은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으로의 자발적인 산화환원 기반 갈바닉 치환 반응을 수행하여 속이 빈 껍질 구조를 비롯한 비등방성 구조들의 합성 사례를 꾸준히 보고해 왔으며, 광학적 특성에 기반한 의료 분야 활용에의 주 연구 대상으로 관심을 받아왔다. 하지만 갈바닉 치환 반응 역시 극복해야 할단점이 산재해 있는데, 대표적으로 과량 치환 반응조건에서의 구조 붕괴 현상, 난용성 부산물 생성으로 인한 안정성 저해가 있으며, 이를 극복한 합성법의 필요성 역시 시급한 문제로 여겨진다.
갈바닉 치환 반응에서 주형 나노입자 구성 원소로 사용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원소종의 환원 전위 차이에 따른 산화환원 반응에 기반하여 작동하는 구조 및 조성 치환 반응으로써, 산화되기 용이한 원소종으로 이루어진 주형(template) 나노입자와 환원에 유리한 치환 원소종 간의 반응에 기반한다. 대표적으로 구리(Cu), 니켈(Ni), 은(Ag)과 같은 원소들이 주형 나노입자 구성 원소로 활용되며, 이 중에서도 형태 조절이 용이하고 비교적 대기중의 산소에 의한 산화 구조 붕괴(collapse)에 안정한 은이 주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다[11,12]. 이에 대해서 많은 연구사례들은 금(Au), 백금(Pt) 및 팔라듐(Pd)으로의 자발적인 산화환원 기반 갈바닉 치환 반응을 수행하여 속이 빈 껍질 구조를 비롯한 비등방성 구조들의 합성 사례를 꾸준히 보고해 왔으며, 광학적 특성에 기반한 의료 분야 활용에의 주 연구 대상으로 관심을 받아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