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물 방재 분야 정보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데이터모델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ata Model for Interoperability of Information in Building Disaster Preven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4, 2019년, pp.30 - 40  

황병주 ((주)웨이버스) ,  김장욱 ((주)웨이버스) ,  김태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 규모의 변화와 건설기술의 발전으로 생활공간이 입체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초고층 건물의 등장으로 대변되는 건설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인구가 밀집되는 고층 건물에 대한 방재 피해는 오히려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실세계를 실시간으로 제어하고 예측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기술이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미 구축된 공간정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보들을 건물 방재 분야에 재활용하고, 향후 생산되는 다양한 정보들이 방재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데이터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도시정보 모델인 CityGML 표준을 방재 분야로 확장한 데이터모델을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urban scale changes and the construction technology develops, the living space is being expanded in three dimensions. However, despite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represented by the appearance of skyscrapers, damage to high - rise buildings with dense population can be rather h...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데이터모델을 작성할 때, 각 요소들은 의미와 속성, 관계성을 고려한 복잡한 구조로 작성되어 있으나 소방활동 정보카드는 정보 작성의 편의를 위해 항목들이 단순하게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재업무에 필요한 건물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구조화하기 위해 소방활동 정보카드의 항목에 대해 항목분류, 특성별 계층화, 정규화의 과정을 거쳤다. 150여개의 정보들은 [그림 2]와 같이 7개 항목으로 분류하였으며, 이 중 소방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소방훈련 항목들은 필터링하여 건물 기하정보, 건물 속성정보, 시설물 정보, 소방정비이력, 화재발생 현황 등의 5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 건축물 방재를 위한 주요 항목 및 기준은 다수의 법령과 보고서에서 다루고 있으며, 특히 소방방재청훈령으로 지정된 소방활동 정보카드에는 소방본부나 소방서에서 화재의 경계·진압 및 인명구조 등을 위해 필요한 필수정보들이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활동 자료조사를 위해, 소방서 등 실제 현장에서 활용되는 소방활동 정보카드의 정보들을 방재 구성요소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선 연구를 통해 건물 방재를 위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 중 CityGML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확장 가능한 항목을 선정하여 건물 방재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림 6]은 건물방재 모델을 표현하기 위한 상위클래스들을 정의한 모듈이다.
  • 반면 정부는 지속적으로 공간정보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소방훈령으로 명시되어 있는 소방활동자료조사 카드는 아직 공간정보 기반으로 관리되고 있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막대한 비용을 소비하여 구축된 공간정보를 건물방재분야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표준기반의 데이터모델을 개발하였다. 공간정보표준은 국토공간정보인프라를 구성하는 5대 요소 중 하나로서 국토정보 산업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데이터와 서비스를 위한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는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12], 본 연구는 기존에 각 분야에서 구축하고 있는 소방정보와 공간정보를 결합하고, 국제표준인 CityGML을 확장하여 표준에 적합한 건물 방재 모델을 제안하는데 의미가 있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미 구축된 다양한 정보들을 건축물 방재분야에 재활용하고, 향후 생산되는 다양한 정보들이 방재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건물 방재 데이터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모델링은 복잡한 현실 세계를 추상화, 단순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정한 표기법으로 표현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 그러나 BIM은 건물모델만을 다루고 있으며, 도시모델에 대한 포괄성과 방재분야에 대한 확장성 측면에서 CityGML이 더 적합하다[7]. 즉 본 연구는 건물의 방재를 위한 모델을 제안하며, 향후 전체 도시모델로의 확장이 가능한 CityGML의 건물 모델을 기반으로 방재 모델을 한다.
  • 또한 3장에서는 도출된 방재 구성요소와 도시모델표준인 CityGML을 비교 분석하여 CityGML을 확장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한다. 최종적으로 CityGML 표준에 명시된 Extension 방법론에 따라 건물 방재 데이터모델을 개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트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공간정보구축사업의 확산과 건설기술의 발전과 같이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음에도 건물에 대한 방재 피해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실세계와 가상세계가 서로 동기화하여 방재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하여 현실세계를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CityGML이란? 공간정보는 2000년대 들어와 본격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공간정보의 표준도 매우 중요한 역할로 대두되었다. CityGML은 국제표준기구인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표준이면서,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표준인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표준의 응용 스키마로 구현된 표준이다[5]. CityGML은 3D 도시모델을 표현·저장·교환하기 위한 XML 기반의 3차원 데이터모델이며, OGC 표준으로 제정되어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는 재난을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는 재난을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자연재난은 태풍, 홍수, 호우, 강풍 등으로 세분류하고, 사회재난은 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등으로 세분류하고 있다. 이 중, 건물에 나타나는 재해는 크게 붕괴와 화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두 가지 재난이 동시에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노삼규, 김운형, 김종훈, 함은구, 김경식, 김종성, U-건물 화재안전관리표준시스템 구축, 국립방재연구원, 2009. 

  2. 김용균, 장효선, 최윤조, 손홍규, "최적 재난대응을 위한 재난유형 구분,"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제15권, 제6호, pp.179-188, 2015. 

  3. J. F. Raper, The 3-dimensional Geoscientific Mapping and Modelling System: A Conceptual Design, Taylor and Francis, London, pp.11-19, 1989. 

  4. 김은희, 여혜진, 이여경, 건축물 안전강화를 위한 합리적 정책방향 연구, 건축도시도시공간연구소, 2016. 

  5. OGC, City Geography Markup Language(CityGML) Encoding Standard, (OGC08-007rl), 2008. 

  6. 이권형, "효율적인 소방.재난분야의 예방과 대응을 위한 BIM 도입 방안,"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제11권, 제2호, pp.23-34, 2017(4). 

  7. 박상일, 송민선, 장영훈, 서경완, 이상호, "방재업무 활용을 위한 개방형 도시정보모델 생성,"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제27권, 제4호, pp.321-328, 2014(8). 

  8. 강혜영, 황정래, 이지영, "CityGML ADE를 이용한 실내공간 데이터모델 개발에 관한연구," 한국고간정보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1-21, 2013. 

  9. 송민선, 김민수, 이상호, "건물 침수피해 정보관리를 위한 개방형 정보모델의 응용방안,"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제27권, 제6호, pp.565-572, 2014. 

  10. R. Kaden, "AUGMENTING 3D CITY MODEL COMPONENTS BY GEODATA JOINS TO FACILITATE AD-HOC GEOMETRICTOPOLOGICALLY SOUND INTEGRATION," ISPRS Annal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ume I-4, 2012. 

  11. E. Arco, "AN INTEGRATED APPROACH FOR POLLUTION MONITORING: SMART ACQUIREMENT AND SMART INFORMATION," ISPRS Annal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ume IV-4/W1, 2016. 

  12. 박종택, 최병남, 서기환, 이영주, 사공호상, 한국형 공간정보인프라 모델정립 및 글로벌화 전략 연구, 국토연구원,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