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서울과 경기도, 대전 지역의 중년 기혼 여성 3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와 AMOS를 이용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스트레스는 반추와 우울에 정적 상관, 고통감내력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우울은 반추와 정적 상관, 고통감내력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고통감내력과 반추도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반추가 각각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반추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 고통감내력, 반추가 우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collected 328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rom the married middle-aged women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Daejeon province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rumination in the relation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SPSS 20.0 and AMOS 20.0 were us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Following is the summarizaton of the study. First, the life str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umination and depression, and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wiith distress tolerance. Also, i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tress tolerance and rumination. Second, each distress tolerance and rumination showed meaningfu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Third, dual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rumination is showed meaningful in the relation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we verified that three variables, life stress, distress tolerance and rumination, affect depression significantly in married middle-aged women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ult,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일상에서 보편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생활 사건으로, 개인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주관적으로 느끼는 고유한 부정적 경험을 포함
무엇보다 기혼 여성들에게 중년의 시기는 이전 생애보다 외모의 변화 및 노화, 죽음 등으로 인한 심리적 충격으로 다양한 생활스트레스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 그 결과 우울증으로까지 이어지게 된다[4][5]. 여기에서 생활스트레스란, 일상에서 보편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모든 생활 사건으로, 개인이 환경과의 관계에서 주관적으로 느끼는 고유한 부정적 경험을 포함한다[6][7]. 지금까지 중년 기혼 여성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국내 연구의 대부분은 생활스트레스로서, 중년 남성보다는 더 큰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10].
반추는 부정적인 인지적 정서조절기제로서 그 능력과는 별개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가
이러한 위험요인은 심리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보호요인은 위험요인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화시켜,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응적 대처를 통해 개인 반응을 조절하거나 개선하는 긍정적 역할을 한다[11][12].이에 고통감내력은 긍정적인 정서조절기제로서 부정 정서를 감내하는 능력에 따라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시키거나 완화시킬 수 있지만, 반대로 반추는 부정적인 인지적 정서조절기제로서 그 능력과는 별개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가시킨다.
셋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반추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 고통감내력, 반추가 우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9.
신혜섭, "중년기 위기와 가족스트레스," 생활과학 연구, 제11권, pp.84-90, 2006.
10.
강 인, 중년기 가족스트레스와 가족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11.
J. Simons and R. Gather, "The Distress Tolerance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Motivation and Emotion, Vol.29, No.2, pp.83-102, 2005.
12.
M. Rutter,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57, No.3, pp.316-331, 1987.
13.
M. J. Zvolensky, A. Bernstein, and A. A. Vujanovic, Distress Tolerance, New York: Guilford Press, 2011.
14.
이경은,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6.
C. O'Cleirigh, G. Ironson, and J. A. Smits, "Does distress tolerance moderate the impact of major life events on psychosocial variables and behaviors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IV?," Behavior therapy, Vol.38, No.3, pp.314-323, 2007.
18.
오새롬, 아동, 청소년기 외상경험과 경계선 성격 성향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강도와 고통감내력의 역할,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
S. Nolen-Hoeksema, "Response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0, No.4, pp.569-582, 1991.
20.
L. B. Alloy, L. Y. Abramson, M. E. Hogan, W. G. Whitehouse, D. T. Rose, M. S. Robinson, R. S. Kim, and J. B. Lapkin, "The Temple-Wisconsin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CVD) project: Lifetime history of Axis I psychopathology in individuals at high and low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9, No.3, pp.403-418, 2000.
21.
김선혜, 스트레스와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2.
김지혜, 스트레스가 우울 및 사회불안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역기능적 태도와 반추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3.
이은지, 반추와 사고억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신경증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4.
J. M. Smith and L. B. Alloy, "A roadmap to rumination: A review of the definition, assess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this multifaceted construct,"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9, pp.116-128, 2009.
26.
J. F. Magidson, A. R. Listhaus, C. J. Seitz-Brown, K. E. Anderson, B. Lindberg, A. Wilson, and S. B. Daughters, "Rumin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substance user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37, No.3, pp.456-465, 2013.
27.
김은미, 중년 여성의 외현적 자기애.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반추 반응양식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8.
T. H. Holmes and R. H. Rahe,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11, pp.213-218, 1967.
33.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and J. Erbaugh,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4, pp.561-571, 1961.
34.
이영호, 송종용,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0권, 제1호, pp.98-113, 1991.
41.
A. Ehlers, J. Bisson, D. M. Clark, M. Creamer, S. Pilling, D. Richards, and W. Yule, "Do all psychological treatments really work the same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30, No.2 pp.269-276, 2010.
42.
박영미, 신창식, "갱년기 여성의 생활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54-264. 2015.
43.
S. C. Hayes, K. D. Strosahl, and K. G. Wils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York: Guilford Press, 1999.
45.
정지현, 고통감내력과 정신건강의 관계: 주관적 행동적 고통감내력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박사학위논문, 2015.
46.
장하연, 조용래,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구 신념과 정서적 고통감내력이 사회적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 행동 치료, 제12권, 제3호, pp.299-313, 2012.
47.
J. Kabat-Zinn,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Dell Publishing, 1990.
48.
S. L. Shapiro, L. E. Carlson, J. A. Astin, and B. Freedman "Mechanisms of mindfulnes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2, No.3, pp.373-386, 2006.
중년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고통감내력과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4
, 2019년, pp.638 - 650
김은숙
(명지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정은정
( 명지대학교 상담심리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