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3세대 SNS에 표출된 공원 유형별 이용 특성 분석
Analysi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by Park Types Displayed in 3rd Generation SN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2, 2019년, pp.49 - 58  

김지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조경학과 대학원) ,  박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김아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김호걸 (청주대학교 휴먼환경디자인학부 조경도시계획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공원 이용자들의 다양한 활동을 반영하고, 공원의 특성에 따라 미래의 공원설계와 관리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공원 만족도, 선호도, 이용 후 평가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선행 연구는 주로 설문 조사를 이용하였는데, 설문은 적절한 표본 설정을 통해서 이용자로부터 직접 의견을 청취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지만,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나아가 빠르게 변화하는 공원의 이용 행태를 파악하기에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새롭게 활용되고 있는 제3세대 SNS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원 유형별 이용 행태, 새로운 이용 행태, 만족도 등을 비교 분석하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3세대 SNS로 대표되는 인스타그램과 구글 콘텐츠를 활용하였다. 인스타그램에서는 공원 이용자가 올린 키워드와 사진을 분류하여 정보를 추출하였으며, 구글에서는 이용 시간과 후기를 비교 분석하였다. 공원 간 비교 연구 결과, 주거지 인접형 공원은 가족과 나들이하거나 공원 내 시설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지 인접형 공원에서는 상업지역와 연계된 먹는 활동과 공원 내 오픈스페이스와 시설 내 프로그램이 적절하게 이용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독립형 공원인 한강공원의 경우에는 다양한 운동, 풍경 감상 활동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각 공원의 유형별로 동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새로운 이용 행태가 나타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SNS 데이터는 공원의 이용 행태와 만족요인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주며, 새로운 기술과 정책 도입에 따른 공원의 이용 행태 변화를 파악하여 추후 공원설계와 공원관리의 방향성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satisfaction, preference, and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urban parks in order to reflect users' preferences and activities,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park planning and management. Despite using questionnaires that are proven to be affective to get users' opi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원의 특성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해 보기 위해 제 3세대 SNS 데이터의 장점을 활용하여 공원의 유형별로 이용 행태를 비교하고, 새로운 공원의 이용 행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과거 수행되었던 연구와 다른 SNS 결과물을 참고하여 연구 결과를 비교논의하여 공원설계와 관리에 참고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 본 연구는 공원의 유형에 따라 동반자, 이용 행태, 이용 프로그램을 파악하기 위해 제3세대 SNS에서의 표출된 게시글을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거지 인접형 공원인 북서울꿈의숲은 가족(62%)과 강아지(24.
  • 본 연구는 공원의 특성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해 보기 위해 제 3세대 SNS 데이터의 장점을 활용하여 공원의 유형별로 이용 행태를 비교하고, 새로운 공원의 이용 행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과거 수행되었던 연구와 다른 SNS 결과물을 참고하여 연구 결과를 비교논의하여 공원설계와 관리에 참고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NS 콘텐츠는 무엇이라 불리는가? 최근 사회과학 분야는 이러한 설문지의 한계를 극복하고, 단기간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다양한 의견을 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소셜미디어(Social Network Services/Sites,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SNS 콘텐츠는 자발적 정보 생성이라 불리는데, 제작 동기가 개인적이고 상황과 감정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어(An, 2016), 이를 활용한 분석은 분명 한계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SNS 콘텐츠의 특성은 효용성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SNS는 실시간으로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계속 축적해 나가므로 연구자가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표본을 찾을 필요가 없고, SNS에 자신의 활동과 감정을 다양하게 표현하므로 여러 매체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비교논의가 가능하다.
SNS에 누적되는 빅데이터는 어떤 장치라고 할 수 있는가? 특히 새로운 콘텐츠와 연계한 공원의 이용, 전동 킥보드나 세그웨이, 드론 등 공원에서 새롭게 이용되고 있는 기기의 활용은 SNS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SNS에 누적되는 빅데이터는 새로운 공원 이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들 사이에 정보가 확산될 수 있는 장치이기 때문에 앞으로 그 가치와 활용법에 대해 지속적인 논의와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설문조사에 비해 SNS의 장점은? SNS는 실시간으로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계속 축적해 나가므로 연구자가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표본을 찾을 필요가 없고, SNS에 자신의 활동과 감정을 다양하게 표현하므로 여러 매체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비교논의가 가능하다. 따라서 설문 조사로는 확인하기 힘들었던 심리적인 사항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공원을 체험하고 그 안에서 느끼는 감정들을 사진과 텍스트로 SNS에 포스트하는 일도 일반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 D. Y.(2016) A Study on Vitalization of Participatory Monitoring and Management Program for Park using User Generated Cont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 Chae, I. Y.(2017) A Method for Analysis of Preferences of Places based on Sentimental Analysis using SNS Data: Case Study on Theme Parks in Seoul, South Kore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 Chae, I. Y., Y. M. Lee., K. Y. Yu and J. Y. Kim(2017) A method for analysis of preferences of places using social media text.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5(4): 55-64. 

  4. Cho, E. Y and D. K. Kim(2012) Analysis of visitors' behavior by blogs.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35(0): 77-86. 

  5. Joo, S. H.(2007)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lyfriendly behaviors in the urban parks.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6): 91-103. 

  6. Joo, S. H.(2008) Assessment of contemporary urban parks in Korea: Satisfaction and landscape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4): 36-47. 

  7. Kim, M. J.(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use characteristics and the sense of community by the type of urban neighborhood park.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0(10): 149-158. 

  8. Lee, H. G.(1999)An Analysis on the visitor behaviors for developing metropolitan neighborhood parks. Korea Aco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13(0): 75-97. 

  9. Lee, J. E.(2013) A Study on the Micro-Discourse about Seoul Forest in Personal Media: Focused on Sense of Plac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0. Lee, S. H.(2018)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Landscape Resources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aean Coast National Park in Social Medi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11. Lee, Y. H.(2004) Analysis of Social Networking Utilization and Major Issues in Korea.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12. Lim, S. B.(1994) EBS: Environment-behavior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1(4): 147-170. 

  13. Lim, S. B.(2007).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Human Behavior. Seoul: Bomun. 

  14. Park, S. H and Y. G. Kim(2011) The landscape of Seonyoo-do park captured in one-person mediafocusing on blog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3): 64-73. 

  15. Woo, G. S. and J. H. Su(2018) Time series analysis of park use behavior utilizing big data: Targeting Olympic Park.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46(2): 27-36. 

  16. Yang, S. R. and S. Y. Yoo(2016) Behavior patterns in an urban linear park. reusing the abandoned railroad: Focused on Gyeongui-line forest park in Seoul. Urban Design 17(1): 101-115. 

  17. Yoo, W. J.(2010) The Cognition of Place based on the Analysis of Web Image: The case of Samcheong-Dong Street.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18. http://hangang.seoul.go.kr/archives/46727 

  19. http://parks.seoul.go.kr/template/sub/dreamforest.do 

  20. http://parks.seoul.go.kr/template/sub/seoulforest.do 

  21. https://www.google.co.kr/?hlko 

  22. https://www.instagram.com/?hlk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