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튬배터리와 관련된 차량화재 사례 및 원인조사 기법 분석
Analysis of Car Fire Cases Related to a Lithium Battery and Cause Investigation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3 no.2, 2019년, pp.98 - 106  

이의평 (전주대학교 소방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차량의 내비게이션블랙박스보조배터리리튬배터리가 사용되고 있어 리튬배터리와 관련된 차량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발화개소 내에 리튬배터리가 있을 때, 리튬배터리에서 발화된 것인지 화재로 인해 리튬배터리가 피해를 입은 것인지를 판별하는 화재조사 기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리튬배터리와 관련된 차량화재 사례들을 소개하고, 리튬배터리의 화재발생 원인을 분석하며, 리튬배터리에서 발화된 것인지 외부에서 발화된 후 리튬배터리가 화재로 인한 피해를 입은 것인지를 객관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화재조사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lithium batteries have been used for car navigation systems and as the second battery for black boxes, lithium battery-related car fires have often occurred. In the case a lithium battery is the fire origin, a fire investigation technique has not been established to determine if a battery ignites...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리튬배터리와 관련된 차량화재 사례가 다른 논문들에 소개되어 있지만(2,5) 이 논문들에는 구체적인 화재원인과 조사기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논문에서는 저자가 직접 조사하여 원인을 분석하였고 후술하는 제시하는 조사기법과 관련될만한 차량화재 사례들을 소개한다.
  • 셀 외부에 천공이 발생해 있는지를 조사한다. 셀 극판 내부에서 단락되어 발화된 경우에는 천공의 방향이 내부에서 외부로 향해 있고 단락개소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분출된 모습이 확인된다.
  • 이 논문에서는 차량화재 사례 중 리튬배터리와 관련된 사례를 소개하고, 리튬배터리가 포함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조사요원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줄 목적으로 리튬배터리에서 발화된 것인지 외부에서 발화된 후 리튬배터리 가 화재로 인한 피해를 입은 것인지를 객관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조사기법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방전은 어떻게 하면 생기는가? 방전에 의해 음극에서 Li+이 다 빠져나간 후 계속 방전모드가 지속되면 음극에서 더 이상 전자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구리극판에서 전자가 공급되면서 이로 인해 구리극판이 녹게 된다. 구리극판이 녹게 되면 집전체로서의 기능을 잃게 되고 내부 단락의 가능성이 높아져 배터리의 기능이 열화된다(18). 과방전을 하면 양극 측에 코발트가 용출되고 음극 측에 구리극판이 용출된다.
리튬배터리의 특징은? 리튬배터리는 체적에너지밀도가 높고 충전 효율이 좋아 2차전지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리튬폴리머배터리로 구분되며 전해액이 액체상태인가 겔상 고체폴리머인가의 차이일 뿐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
모든 배터리들의 요소들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모든 배터리는 4가지 요소인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리튬배터리는 아래 Figure 11과 같이 음극집전체, 음극활물질, 분리막, 양극활물질, 양극집전체로 되어 있다. 리튬배터리는 리튬이온배터리와 리튬폴리머 배터리로 구분되는데, 리튬이온배터리는 전해질로 전해액을 사용하고 리튬폴리머배터리는 전해액을 사용하지 않고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 D. Jeong, "Fire Investigation Case and Investigation Technique for Lithium Ion Batteries", Proceeding of 2019 Autumn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pp. 212-219 (2019). 

  2. Y. C. Bae, D. J. Lim, S. J. Huh, B. G. Koak and B. H. Cho, "A Study on Ignition Risks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ging Conditions", Journal of Fire Investigation Society of Korea, Vol. 9, No. 1, pp. 103-125 (2018). 

  3. B. J. Lee, G. J. Choi, S. H. Lee, Y. M. Jeong, Y. Park and D. U. Cho, "A Study on Explosion and Fire Risk of Lithium-ion and Lithium-Polymer Batter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42, No. 4, pp. 855-863 (2017). 

  4. J. M. Noh, "A Study on the Explosion Potential of Lithium Battery, Journal of Fire Investigation Society of Korea", Vol. 8, No. 1, pp. 55-85 (2017). 

  5. B. Y. Gang, "A Possibility of Fire Occurrence When Auxiliary Battery of Black-box is Overheated", Journal of Fire Investigation Society of Korea, Vol. 6, No. 3, pp. 67-74 (2015). 

  6. K. M. Park, J. H. Kim, J. Y. Park and S. B. Bang, "A Study on Fire Detection Technique fore Electric Kickboard", Proceeding of 2018 Spring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pp. 39-50 (2018). 

  7. S. H. Lee, Y. K, Kim, N. D. Sung and Y. S. Lee, "Failure Analysis of a Failed Lithium-ion Battery by Internal Short",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Vol. 8, No.1, pp. 9-15 (2014). 

  8. Y. H. Kim, "Lithium Battery Fire Cause Analysis and Identification Technique", Proceeding of 2018 Autumn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pp. 71-79 (2018). 

  9. S. B. Sim, C. H. Lee and S. K. Kim, "Study on the Explosion and Fire Risks of Lithium Batteries Due to High Temperature and Short Circuit Curre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No. 2, pp. 114-122 (2016). 

  10. H. H. Choi and E. P. Lee, "Analysis of a Fire in a Parked Camping Ca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and Mitigation, Vol. 19, No. 1, pp. 217-223 (2019). 

  11. E. P. Lee, "Analysis of Car Fire That Broke Out due to Installation of Black Box", Proceeding of 2014 Autumn Annual Conference, pp. 105-106 (2014). 

  12. Fire Investigation Section of Tokyo Fire Department, "Model Car that a Fire Broke During Charging", Actual Conditions of Fire in 2006, pp. 289-290 (2015). 

  13. Y. C. Lee, D. H. Kwon and I. C. Jeong, "Study on Fire Risk of a Battery -Focused on 9 V Alkaline and Lithium Ion Battery for Cellular Phone-", Journal of Fire Investigation Society of Korea, Vol. 6, No. 1, pp. 124-128 (2015). 

  14. Q. Wang, J. Sun and G. Chu, "Lithium Ion Battery Fire and Explosion",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Symposium,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Fire Safety Science, pp. 375-382 (2005). 

  15. Q. Wang, P. Ping, X. Zaho, G. Chu, J. Sun and C. Chen, "Thermal Runway Caused Fire and Explosion of Lithium Ion Batteries", Journal of Power Sources, pp. 210-224 (2012). 

  16. S. H. Lee, Y. K, Kim, N. D. Sung and Y. S. Lee, "Failure Analysis of a Failed Lithium-ion Battery by Internal short",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Vol. 8, No. 1, pp. 11-12 (2014). 

  17. B. J. Lee, G. J. Choi, S. H. Lee, Y. M. Jeong, Y. Park and D. U. Cho, "A Study on Explosion and Fire Risk of Lithium-Ion and Lithium-Polymer Batter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42, No. 4, pp. 855-863 (2017). 

  18. K. M. Lee, "The Improvement of Li-ion Battery's Safety for Mobile Phon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 18 (2007). 

  19. S. B. Sim, C. H. Lee and S. K. Kim, "Study on the Explosion and Fire Risks of Lithium Batteries Due to High Temperature and Short Circuit Curre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No. 2, pp. 116-117 (2016). 

  20. S. I. Hijino, "Fire from Battery pack of Cellular Phone", The 60th National Fire engineers Conference Text,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 of Japan, pp. 326-330 (2012). 

  21. NFPA 921, "Guide for Fire and Explosion Investigations",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USA, p. 53 (2017). 

  22. Y. R. Murakami, A. H. Tsuzi and Y. Y. Ineda, "Fire Case of Portable DVD player", The 65th National Fire engineers Conference Text,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 of Japan, pp. 241-253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